$\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써클콘택트렌즈가 눈물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ircle Contact Lens on the Stability of Tear Film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0 no.2, 2015년, pp.125 - 131  

이세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형성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고승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소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에서는 써클콘택트렌즈의 착색이 눈물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눈물량이 정상인 20대 54안을 대상으로 콘택트렌즈 착용 전후의 비침입성 눈물막파괴시간 및 눈물막 깨짐이 시작되는 부위를 측정하였으며, 콘택트렌즈 전후면의 표면 거칠기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콘택트렌즈는 hilafilcon B재질의 투명 및 써클콘택트렌즈, polymacon 재질 및 HEMA NVP 공중합 재질의 써클콘택트렌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콘택트렌즈 착용 시 나안에 비해 눈물막파괴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써클콘택트렌즈 간에 눈물막파괴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의 상방부 보다는 하방부에서, 코방향 보다는 귀방향에서 좀 더 높은 빈도로 눈물막이 깨지기 시작하였으나 렌즈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Hilafilcon B 투명렌즈에 비해 동일 재질 써클콘택트렌즈 주변부(착색부분)에서의 눈물막 깨짐이 더 많았다. 결론: 써클콘택트렌즈의 착용으로 인해 눈물막 안정성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결과는 써클콘택트렌즈 착용 시 착색으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 해결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effect of pigmentation in circle contact lens on lens wearers' tear film stability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Methods: Non-invasive tear film break-up times of 54 normal eyes before and after lens wearing in twenties and the portion of first tear breakup were measured. The frontal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1-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착색상태가 상이한 써클렌즈의 착용 30분 후 눈물막파괴시간 및 눈물막 깨짐의 시작부위를 측정하여 눈물성분의 침착이 눈물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대한 배제한 상태에서 착색부위와 투명부위의 눈물막 안정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착색으로 인한 표면거칠기와 재질이 상이한 써클렌즈들에서 눈물막 안정성을 비교하여 착색공법 및 재질에 따른 눈물막 안정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11-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착색상태가 상이한 써클렌즈의 착용 30분 후 눈물막파괴시간 및 눈물막 깨짐의 시작부위를 측정하여 눈물성분의 침착이 눈물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대한 배제한 상태에서 착색부위와 투명부위의 눈물막 안정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착색으로 인한 표면거칠기와 재질이 상이한 써클렌즈들에서 눈물막 안정성을 비교하여 착색공법 및 재질에 따른 눈물막 안정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16] 박 등[16]은 이러한 불편감의 원인으로 착색제로 인한 습윤성 저하나 착색으로 인한 거친 표면에 눈물 성분 등이 침착되어 습윤성 저하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착용 30분 후의 눈물막 안정성을 평가하여 렌즈표면에 침착된 눈물 성분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시키고 착색제 자체의 영향에 대해 평가해 볼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써클렌즈의 착색이 눈물막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본 연구결과는 무엇인가? 써클렌즈 착용으로 인해 눈물막파괴시간이 감소하였으며 hilafilcon B 재질 써클렌즈와 polymacon 재질 써클렌즈의 눈물막파괴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써클렌즈 간에 차이가 있는 경우도 있었다. 모든 써클렌즈에서 하방부 보다는 상방부에서, 코방향 보다는 귀방향에서 눈물막이 깨지는 경우가 더 많았다. 또한, 전면에 착색으로 인한 거칠기가 존재하는 hilafilcon B 재질 써클렌즈와 HEMA·NVP 공중합 재질 써클렌즈는 착색부위인 주변부에서 눈물막 깨짐이 우세하게 나타났고, 후면에 착색으로 인한 거칠기가 존재하는 polymacon 재질 써클렌즈의 경우는 주변부와 중심부의 눈물막 깨짐이 고르게 시작되어 써클렌즈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Hilafilcon B 재질 투명렌즈에 비해 동일 재질 써클렌즈의 착색 위치에서의 눈물막 깨짐이 증가하여 착색이 눈물막 깨짐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감 저하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장시간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들은 대부분 착용감의 저하를 느끼게 되고 이러한 착용감의 저하는 렌즈의 재질 및 디자인 등과 같은 렌즈 자체의 변수와 착용자의 눈물량, 눈물성분 및 pH, 순목, 관리방법 등과 같은 착용자에 기인한 변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1-6]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불편감을 해결하기 위해 유발원인을 분석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착용자의 눈물량과 질, 순목횟수 및 순목의 질에 따라 눈물층의 안정성이 차이가 날 수 있고[1,6,7] 이러한 눈물층의 불안정이 착용감 저하의 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 시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어떤 렌즈가 개발되었는가?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 시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많은 연구들은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와 같은 새로운 재질 및 습윤 인자가 함유된 소프트콘택트렌즈 개발 등과 같은 발전을 이끌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하였다. 최근에는 미용을 목적으로 개발된 써클콘택트렌즈(이하 써클렌즈)의 사용이 아시아를 중심으로 크게 증가되고 있으며[10] 이와 더불어 써클렌즈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 역시 점점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McMonnies CW. Psychological and other mechanisms for end-of-day soft lens symptoms. Optom Vis Sci. 2013;90(6):e175-181. 

  2. Kastelan S, Lukenda A, Salopek-Rabatiæ J, Pavan J, Gotovac M. Dry eye symptoms and signs in long-term contact lens wearers. Coll Antropol. 2013;37:199-203. 

  3. Park M, Cho GT, Shin SH, Lee HS, Kim DS. The diameter and base curve changes of soft contact lens by protein deposition.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5;10(3):173-171. 

  4. Park M, Kwon MJ, Hyun SH, Kim DS. The adsorption pattern of protein to the soft contact lens and its effect on the visible light transmission and the contact angle.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4;9(1):53-68. 

  5. Young G, Keir N, Hunt C, Woods CA. Clinical evaluation of long-term users of two contact lens care preservative systems. Eye Contact Lens. 2009;35(2):50-58. 

  6. Tyagi G, Alonso-Caneiro D, Collins M, Read S. Tear film surface quality with rigid and soft contact lenses. Eye Contact Lens. 2012;38(3):171-178. 

  7. Golding TR, Bruce AS, Gaterell LL, Little SA, Macnamara J. Soft lens movement: effect of blink rate on lens settling. Acta Ophthalmol Scand. 1995;73(6):506-511. 

  8. Subbaraman LN, Glasier MA, Varikooty J, Srinivasan S, Jones L. Protein deposition and clinical symptoms in daily wear of etafilcon lenses. Optom Vis Sci. 2012;89(10):1450-1459. 

  9. Riley C, Young G, Chalmers R. Prevalence of ocular surface symptoms, signs, and uncomfortable hours of wear in contact lens wearers: the effect of refitting with dailywear silicone hydrogel lenses (senofilcon A). Eye Contact Lens. 2006;32(6):281-286. 

  10. Lee JY. Domestic circle color contact lenses increasing popularity of cosmetic purposes. The financial news. 2013. http://www.fnnews.com/view?raSent0601m_View&corpfnnews&arcid201305270200003780013099&cDateYear2013&cDateMonth05&cDateDay24(15 March 2015). 

  11. Kim DH, Oh SJ, Hwang JH, Sung DY, Jeon IC, Choi HY, et al. The analysi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smetic color contact lenses. Korean J Vis Sci. 2008;10(3):239-259. 

  12. The Korea Optical News.Netizens "Circle lens dye experiment" there's credibility?, 2011.http://www.opt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8071(15 March 2015). 

  13. Kim SR, Kang UR, Seo BM, Park M. A study on dye elution from the circle contact lens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4;19(2):171-177. 

  14. Park M, Kwon HL, Choi SA, Kim SR. Changes in subjective/objective symptoms and the light transmissibility of lens associated with overusage of daily disposable circle contact lenses in normal ey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3;18(4):429-439. 

  15. Kim SR, Park SH, Joo SO, Lee HR, Park M. A comparison of the movements of circle contact lens and soft contact lens with identical material on cornea.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17(1):27-35. 

  16. Kojima T, Matsumoto Y, Ibrahim OM, Wakamatsu TH, Uchino M, Fukagawa K, et al. Effect of controlled adverse chamber environment exposure on tear functions in silicon hydrogel and hydrogel soft contact lens wearers.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1;52(12):8811-8817. 

  17. Park SH, Kim SR, Park M. The effect of circle lens and soft contact lens with identical material in clinical application on the ey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1;16(2):147-15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