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3 no.1, 2015년, pp.47 - 56
김남철 (조선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 김상훈 (조선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 임홍규 (조선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 김정호 (조선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 정형식 (조선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 , 박종철 (조선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 , 김영심 (조선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
연구목적 일반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정도와 유형, 삶의 만족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등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13년 11월과 2014년 3월부터 4월까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소재 4개 대학교의 일반대학생 863명, 의과대학생 851명, 총 1,71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정보와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행복도, 음주, 니코틴 의존, 우울증상 등을 포함하는 건강 관련 요인들에 대해 자기보고 질문지를 이용하여 현장 조사하였다. 결 과 첫째, 일반대학생은 의과대학생보다 스트레스 총점이 유의하게 높았다. 일반대학생은 의과대학생에 비해 취업문제에서, 의과대학생은 일반대학생에 비해 학업성취도, 사교 활동의 변화, 친구의 죽음이나 질병에서 유의하게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일반대학생은 의과대학생에 비하여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셋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서 일반대학생은 행복도가, 의과대학생은 우울증상이 가장 설명력이 높은 변인이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일반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수준과 유형, 삶의 만족도 정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관련요인 등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생들에게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신건강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y differences between non-medical and medical college students for : 1) a level and the nature of perceived stress, 2) a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3) the related factors affecting to life satisfaction. Methods:We measured self-reported ques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대학생은 어떠한 시기인가? | 대학생들은 발달 상, 후기 청소년기 혹은 초기 성인기에 해당되는 과도기적인 단계로 정신적, 사회적 및 경제적으로 아직 미숙한 단계에 있는 동시에 정서적인 독립과 사회적으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며, 향후 직업 선택과 같은 과업을 이루어야 하는 시기에 있다.2-4) | |
일반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정도와 유형, 삶의 만족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등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 방 법 2013년 11월과 2014년 3월부터 4월까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소재 4개 대학교의 일반대학생 863명, 의과대학생 851명, 총 1,71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정보와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행복도, 음주, 니코틴 의존, 우울증상 등을 포함하는 건강 관련 요인들에 대해 자기보고 질문지를 이용하여 현장 조사하였다. 결 과 첫째, 일반대학생은 의과대학생보다 스트레스 총점이 유의하게 높았다. 일반대학생은 의과대학생에 비해 취업문제에서, 의과대학생은 일반대학생에 비해 학업성취도, 사교 활동의 변화, 친구의 죽음이나 질병에서 유의하게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일반대학생은 의과대학생에 비하여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셋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서 일반대학생은 행복도가, 의과대학생은 우울증상이 가장 설명력이 높은 변인이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일반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수준과 유형, 삶의 만족도 정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관련요인 등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생들에게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정신건강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
삶의 만족도는 무슨 지각인가? | 한편, 삶의 만족도는 한 개인이 속해 있는 문화권과 가치 체계 안에서 자신의 목표, 기대, 규범, 관심과 관련하여 자신의 상태에 대한 개인적인 지각이다.15) 선행 연구에 의하면, 대학생의 스트레스는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16) 이들의 만족도는 다른 연령대보다 유의하게 더 낮으며,17)이 시기의 삶의 만족도는 성인이 된 후 삶의 만족도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
Lee MR, Park CS. Influences of psychological distress, social support and mental fitness on quality of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focused on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and Chungnam. J of Soc Sci Res 2013;22:66-87.
Rutter M. Twenty five years of child psychiatric epidemiolog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89;28:633-653.
Park KH, Hah YS. Depression, self-efficacy, life satisfaction and coping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Str Res 2007;15:17-25.
Beak OK, Kim CJ. The factor of self-determination that affect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J Kor Inst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2013;11:31-38.
e-Country Indicators[homepage on the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c2009-14 [Trend of Employees and Unemployment Rate]; [updated 2014 Dec 16; cited 2015 Apr 21].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
Seo IK, Lee YS. To verify a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s job-seeking stress and considering suicide: comparing between a female group and male group. J Adolesc Welfare 2014;16:25-53.
Hwang CH. Analysis of stress for a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012;4:73-82.
Kim MS, Kim MS. The study of the effect of life stress and the mediator of stress coping on the depression and alcohol use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Psychother 2010;2:25-37.
Cohn AM, Hagman BT, Graff FS, Noel NE. Modeling the severity of drinking consequences in first-year college women: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the Rutgers Alcohol Problem Index. J Stud Alcohol Drugs 2011;72:981-990.
Fergusson DM, Woodward LJ, Horwood LJ. Risk factors and life processes associated with the onset of suicidal behaviour during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Psychol Med 2000; 30:23-39.
Lee KH, Ko YK, Kang KH, Lee HK, Kang JK, Hur YR. Mental health and coping strategies among medical students. Korean J Med Edu 2012;24:55-63.
Ryu SH. Quality of life and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in medical college students. J Soonchunhyang Med Sci 2009;14:149-158.
Han SS, Lee SY, Choi WS, Kim SJ, Park SB, Lee SY. Depression and engineering students in urban areas using Zung self-rating depression scale. Korean J Fam Med 2009;30:539-548.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WHOQOL study protocol. 1993; WHO(MNH/PSF/93.9). WHO, Geneva.
Kim NE. The relationships among stress,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in college students. J Adolesc Welfare 2011;13:1-19.
Park HS, Koo HY, Won SH. Sexual func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in women and their predictor. J Korean Acad Psych Mental Health Nurs 2004;13:505-513.
Park HM. Longitudinal analysis of achievement and quality of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employees [dissertation]. Incheon; Inha university;2009.
Yoo HJ, Hwang SH, Hong JP, Kim HS, Lee C, Han OS. The influence of IMF-related economic stress upon mental health.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0;1:65-77.
Lee EK, Lee KH.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positive emotions on subjective well-being-focused on neuroticism and extraversion-.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5;6:325-338.
Yoon SM, Shin HC.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positive psychotherapy inventory. Kor J Counsel Psychoth 2010;22:707-732.
Lee BO, Lee CH, Lee PG, Choi MJ, Namkoong K.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AUDIT-K):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J Korean Acad Addict Psychiatry 2000;4:83-92.
Ahn HK, Lee HJ, Jung DS, Lee SY, Kim SW, Kang JH.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questionnaire for nicotine dependence. J Korean Acad Fam Med 2002;23:999-1008.
Hahn HM, Yum TH, Shin YW, Kim KH, Yoon DJ, Chung KJ. 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6;25:487-502.
Shin MS, Kim ZS, Park KB. The cut-off scores for the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Korean J Clin Psychol 1993;12:71-81.
Cho MK, Choi EJ, Lee JW, Lee YN, Chae JY. Correlation in appearance,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in undergraduate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Perspect Nurs Sci 2013;10:141-150.
Cho DY. Behavioral science. Seoul: Ilchokak;2001. p.269-273.
Lee HS, Son YS, Kim MK. A study of developing check list on college student's problem and problem-solving behavior. Haksaeng Saenghwal Yoengu 1989;25:80-92.
Kwak DI, Choi YK, Lim HJ, Oh HJ, Jung IK, Lee MS. A study on the stress, coping and general well-being of medical students. Korean J Med Educ 2000;12:227-239.
Lee CI, Hong SC, Kim HJ, Kim MD. Prevalence of severe distress and its correlates among Cheju medical college students. Korean J Med Educ 2007;19:235-249.
Supe AN. A study of stress in medical students ad Seth G.S. medical college. J Postgrad Med 1998;44:1-6.
Coles C. Medicine and stress. Med Educ 1994;28:3-4.
Khan MS, Mahmood S, Badshah A, Ali SU, Jamal Y. Prevalence of depression, anxiety and their associated factors among medical students in Karachi, Pakistan. J Pak Med Assoc 2006;56:583-586.
Firth J. Levels and sources of stress in medical students. BMJ 1986;292:1177-1180.
Shaikh BT, Kahloon A, Kazmi M, Khalid H, Nawaz K, Khan N, Khan S. Students,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a case of Pakistani medical school. Educ Health(Abingdon) 2004;17:346-353.
Diener E, Suh E, Smith H, Shao L. National differences in reported subjective well-being: Why do they occur?. Soc Indicator Res 1995;34:7-32.
Park HS, Kwon BS. Satisfaction with life and it's predictors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Psych Mental Health Nurs 2006;15:48-56.
Kim JW, Han DH, Lee YS, Min KJ, Park JY, Lee KS. The effect of depression, anxiety, self-esteem, temperament, and character on life satisfaction in college stud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3;52:150-156.
Min SG, Shin WC, Kim KI, Chung JI, Kim DG.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tween medical and general college studen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0;39:1054-1060.
Ko YG, Kim JY. Mental fitness positive psychology program. Seoul: Hakjisa;2014. p.167.
Vaillant GE. Adaptive mental mechanisms: their role in a positive psychology. Am Psychologist 2000;55:89-98.
Wood AM, Tarrier N. Positive clinical psychology: a new vision and strategy for integrated research and practice. Clin Psychology Review 2010;30:819-829.
Carnelley KB, Pietromonaco PR, Jaffe K. Depression, working models of others, and relationship functioning. J Pers Soc Psychol 1994;66:127-140.
Siddall J, Huebner ES, Jiang X. A prospective study of differential sources of school-related social support and adolescent global life satisfaction. Am J Orthopsychiatry 2013;83:107-114.
Papakostas GI, Petersen T, Mahal Y, Mischoulon D, Nierenberg AA, Fava M. Quality of life assessments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Gen Hosp Psychiatry 2004;26:13-17.
Park SW, Park JH, Lee SW, Kim HS, Lee JT, Kang YS. Smoking behaviors and its relationships with other health behaviors among medical students. J Prev Med Public Health 2004;37:238-245.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