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위회귀분석법을 이용한 노인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에 따른 분위별 영향 요인
Predictors of Self-care Behaviors among Elderly with Hypertension using Quantile Regression Method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3, 2015년, pp.273 - 282  

이은주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박은아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self-care behaviors among elderly patients with hypertension using quantile regression method. Methods: A total of 253 elderly patients diagnosed with hypertension was recruited via 3 different medical clinics for the study.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지금까지의 연구는 전체 대상자의 평균 점수만을 가지고 분석하는 최소자승 분석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자가 간호의 이행 정도에 따른 노인 고혈압 환자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대상자의 자가 간호 이행 정도에 따른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다양성을 지닌 대상자 중심의 간호전략 수립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분위회귀분석으로 자가 간호 점수 분위별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노인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간호 수준에 따른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자가 간호 수준에 따른 대상자의 인구 ‧ 사회학적 특성과 임상적 특성 및 자기효능감, 질병에 관한 지식, 가족지지, 우울 및 피로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최소 자승분석법과 분위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여성이면서 65세에서 70세 사이 노인에서 고혈압 이환율이 높았고, 경제 상태는 대부분 중간 정도였으며, 학력은 무학이거나 초등학교 졸업자였다.
  • 본 연구는 자가 간호 점수에 따른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특성 및 자기효능감, 질병에 관한 지식, 가족지지, 우울 및 피로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기존 분위회귀 분석에서 주로 사용되는 분위인 10% 단위의 서로 다른 분위(θ=0.1, 0.2, 0.3, 0.4,0.5, 0.6, 0.7, 0.8, 0.9)에 대하여 추정함으로써 자가 간호의 특성이 다른 노인 고혈압 환자의 이질적인 영향을 살펴보았다[11,1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가 간호란 무엇인가? 자가 간호는 생명이나 건강을 지키기 위하여 스스로 시도하고 수행하는 행위의 실제로, 자가 간호 증진을 위해서는 관련된 프로그램이나 전략을 확인하고 적용해야 하지만 우선 그 영향요인을 밝히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고혈압 환자의 자가 간호 영향요인 연구[5]에 따르면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그리고 우울과 질병 인식의 심각도가 낮을수록 자가 간호 행위가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소득층 노인의 자가 간호 관련요인 연구[6]에서는 소득이 낮을수록 자가 간호 정도가 낮다고 지적하여 경제상태가 중요한 변수임을 제안하였다.
65세이상 노인성 질환 중 발병률 1위는 무엇인가? 이러한 인구의 고령화는 노인 부양인구의 증가와 함께 노인성 질환으로 인한 의료비 상승을 초래하여 사회적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65세 이상 노인의 약 90%가 만성질환에 이환되어 있고, 그 중에서도 고혈압은 50% 이상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2]. 고혈압은 즉각적으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조기 발견이 어렵고, 발견이 되더라도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므로 지속적인 자가 간호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결국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등의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2].
고혈압의 특징은 무엇인가? 65세 이상 노인의 약 90%가 만성질환에 이환되어 있고, 그 중에서도 고혈압은 50% 이상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2]. 고혈압은 즉각적으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조기 발견이 어렵고, 발견이 되더라도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므로 지속적인 자가 간호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결국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등의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tatistics Korea. 2011 Estimating future population.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1 [cited 2015 1-28].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35001&vw_cdMT_ZTITLE&list_idA41_10_10&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IV-3). Report. Seoul. 2009. No.:11-131159-000027-10. 

  3. Jeon HO. Influencing factors on self-care in the elderly with essential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8;19(1):66-75. 

  4. Cho MC. New strategies in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9;76(4):409-15. 

  5. Chang AK, Lee EJ. Factors affecting self-care in elderly patients with hypertension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14. June. E-pub. http://dx.doi.org:10.1111/ijn.12271 

  6. Choi YS, Kim HL. Factors related to self-care behavior and the control of hypertension in the low-incom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6;17(4):441-50. 

  7. Ordunez P, Barcelo A, Bernal JL, Espinosa A, Silva LC, Cooper RS.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uncontrolled hypertension: findings from the baseline CARMEN survey in Cienfuegos, Cuba. Journal of Hypertension. 2008;26(4):663-71. http://dx.doi.org/10.1097/HJH.0b013e3282f4309f 

  8. Connelly CE. Self-care and the chronically ill patient.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1987;22(3):621-9. 

  9. Ku JU. The correlation between support of family, fatigue and self-care of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dissertation]. Chuncheon: Hallym University; 2001. 

  10. Lee IH. Easy flow regression analysis. Seoul: Hannarae; 2014. 

  11. Koenker R, Hallock KF. Quantile regression. The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2001;15(4):143-56. http://dx.doi.org/10.2307/2696522 

  12. Okada K, Samreth S. The effect of foreign aid on corruption: a quantile regression approach. Economics Letters. 2012;115 (2):240-3. http://dx.doi.org/10.1016/j.econlet.2011.12.051 

  13. Kim KM, Lee HJ, Kim YS. Self care behavior according to the risk of vascular complications in hypertensive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8;20(1):102-12. 

  14. Lin G, He X, Portnoy S. Quantile regression with doubly censored data.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2012;56 (4):797-812. http://dx.doi.org/10.1016/j.csda.2011.03.009 

  15. Chaturvedi S.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JNC 7): Is it really practical? National Medical Journal of India. 2004;17(4):227. PubMed PMID: WOS: 000223414100019. 

  16. Lee YH. A study of the effect of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self-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95;7:212-7. 

  17. Park YI. Hong SH. Effect of the self-regul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s.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94;5:109-29. 

  18. Cobb S.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1976;38(5):300-14. 

  19. Kang HS.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care activiti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4. 

  20. Sheikh JA, Yesavage JA.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Clinical Gerontologist. 1986;5(1-2):165-73. http://dx.doi.org/10.1300/J018v05n01_09 

  21. Gi B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6;35(2):298-307. 

  22. Neuberger GB. Measures of fatigue: the fatigue questionnaire, fatigue severity scale,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tigue scale, and Short Form-36 vitality (Energy/Fatigue) subscale of the short form health survey. Arthritis Care & Research. 2003;49(S5):S175-83. http://dx.doi.org/10.1002/art.11405 

  23. Lee YI. Factor associated with chronic pain in senior citizens residing in a certain distract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 

  24. Kim HR, Son HK.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its risk factors among aged 65 and over in Korea.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2;14(4):282-90. http://dx.doi.org/10.7586/jkbns.2012.14.4.282 

  25. Breaux-Shropshire TL, Brown KC, Pryor ER, Maples EH. Relationship of blood pressure self-monitoring, medication adherence, self-efficacy, stage of change, and blood pressure control among municipal workers with hypertension. Workplace Health & Safety. 2012;60(7):303-11. http://dx.doi.org/10.3928/21650799-20120625-04 

  26. Spichiger E, Rieder E, Muller-Frohlich C, Kesselring A. Fatigue in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their self-care and the role of health professionals: a qualitative study.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2;16:165-71. http://dx.doi.org/10.1016/j.ejon.2011.05.002 

  27. Son YJ, Song EK. Impact of health literacy on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adherence to self-car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2;19(1):6-15. 

  28. Kyeong JH, Park EJ, Shin YK, Shin JS, Yang BM, Lee SK, et al. The influence of internet literacy to hypertension knowledge and self care of the elderly having hypertension. The Korean Journal of Ewha. 2012;46:15-26. 

  29. Gi MY, Park YH. The Effects of hypertension self-help program on hypertension-related knowledge, self-efficacy, selfmanagement compliance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in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 Health Nursing. 2012;21(1):1-9. http://dx.doi.org/10.5807/kjohn.2012.21.1.1 

  30. Warren-Findlow J, Seymour R, Brunner Huber L. The associ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hypertension self-care activities among African American adults. Journal of Community Health. 2012;37(1):15-24. http://dx.doi.org/10.1007/s10900-011-9410-6 

  31. Sung KW, Kim MH. Self-care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of low-income elderly women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4):593-602. 

  32. Jun WH, Lee EJ. Effects of S-PBL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um among nursing students: comparison analysis of a ordinary least square and a quantile regression fo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Korea Contents Society. 2013;13(11):1036-45. http://dx.doi.org/10.3928/01484834-20131121-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