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 동궁과 월지의 현존 식물상과 조경식재종의 분석
Analysis of Actual Flora and Landscape Planting Species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n Gyeongju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3, 2015년, pp.1 - 12  

최승해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유주한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주역사유적지구의 경주 동궁과 월지에 분포하는 현존 식물상과 조경식재종을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전통 문화재의 조경식재에 대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식물상 현황은 65과 117속 134종 1아종 10변종 4품종 등 총 149분류군이 나타났으며, 귀화식물소리쟁이, 토끼풀, 가죽나무, 큰개불알풀, 개쑥갓, 들묵새 등 1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생태계교란식물은 애기수영으로 나타났다. 식재종의 시대적 변화 분석 결과, 1979년에는 23분류군이 식재된 반면, 2014년에는 48분류군이 식재되어 25분류군이 증가하였다. 조경식재종은 상록교목 6분류군, 상록관목 2분류군, 낙엽교목 27분류군, 낙엽관목 12분류군, 기타 1분류군으로 총 48분류군이 식재되어 있었다. 구역별 식재현황의 경우, A구역은 25분류군, B구역은 15분류군, C구역은 13분류군, D구역은 29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식재된 종은 소나무, 단풍나무, 산철쭉, 화살나무 4분류군이었다. 조경식재 현황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자연발생종, 잡목 및 덩굴식물의 발생 및 생태계교란식물의 확산이었다. 따라서 식재경관의 회복과 개선, 원활한 수목생육을 위해서는 이들의 제거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raw data regarding landscape plantings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s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actual flora and landscape planting species distributed in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in Gyeongju,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lora were sum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주역사유적지구의 대표적인 문화재인 동궁과월지의 식물상과 조경식재종을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문화재의 조경식재에 대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재인 경주 동궁과 월지에 대해 생태학적, 조경학적 관점에서 식물상 및 식재종에 대한 현황, 문제점 및 이에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식물종만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종합적인 환경정보가 부족하다.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정원을 대표하며, 경주역사유적지구에서 핵심 문화재에 속하는 경주 동궁과 월지에 분포하는 식물상과 조경식재종에 대해 조경학적, 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문제점과 이에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문화재 조경식재의 기초 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각 경주역사유적지구 구성의 특징은? 2000년에 지정된 경주역사유적지구는 남산지구, 월성지구, 대능원지구, 황룡사지구, 산성지구 등 5개 지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라의 고도인 경주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문화재의 중심이자 종합적인 역사지구이다. 본 지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남산지구는 경주남산용장사곡 삼층석탑, 천룡사지 삼층석탑, 경주 삼릉계 석불좌상 등, 월성지구는 경주 동궁과 월지, 계림, 월성, 첨성대 등, 대능원지구는 경주황남리고분군, 경주노서리고 분군 등, 황룡사지구는 황룡사지, 분황사 석탑, 산성지구는 명활산성이 있어 불교유적과 왕경유적이 잘 보존되어 있다(http:// www.unesco.or.kr). 특히 월성지구는 신라왕경 문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며, 문화재 밀집지역인 동시에 중요 관광지이다.
경주 동궁과 월지의 특징은? 본 연구대상지인 경주 동궁과 월지는 신라의 별궁이면서 역사적 가치가 높은 전통정원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경관이 수려하고 주변 문화자원과 관광여건이 우수하여 많은 탐방객들이 찾고 있어, 경주의 대표적인 명소 중 하나이다. 특히 경관조명이 아름다워 야간에 탐방객이 집중되는 특징을 가진다.
경주역사유적지구의 구성은? 2000년에 지정된 경주역사유적지구는 남산지구, 월성지구, 대능원지구, 황룡사지구, 산성지구 등 5개 지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라의 고도인 경주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문화재의 중심이자 종합적인 역사지구이다. 본 지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남산지구는 경주남산용장사곡 삼층석탑, 천룡사지 삼층석탑, 경주 삼릉계 석불좌상 등, 월성지구는 경주 동궁과 월지, 계림, 월성, 첨성대 등, 대능원지구는 경주황남리고분군, 경주노서리고 분군 등, 황룡사지구는 황룡사지, 분황사 석탑, 산성지구는 명활산성이 있어 불교유적과 왕경유적이 잘 보존되어 있다(http:// www.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G. B.(1999) A study on historical background of landscape design in Anapji(I).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7(4): 57-71. 

  2. An, S. H.(2014)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water intake region of Wolji, a palace garden from the period of Unified Shilla. MS thesis.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3. Chang, K. H.(1984) A study on the landscape architectural intention expressed through architectural form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in Korea.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 211-220. 

  4. Cheong, W. I. and K. Y. Huh(2004) The estimation of maintenance condition level based on understanding of An-ap pond in Shilla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2): 91-107. 

  5. Chung, J. H.(1975) On the Anap-Ji, the pond of the Silla pal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6: 21-27. 

  6.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2012) The Report of Excavation Research on Donggung and Wolji, Gyeongju.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Gyeongju. 

  7. http://www.unesco.or.kr 

  8. Jo, S. Y.(2006) A study of Anapji construction focusing on the roof tiles of the Silla Period. Buddihist Archaeology 6: 57-74. 

  9. Jung, K. H.(2001) A study on the design motive of 'Anabji', considering on the design process.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9(2): 38-48. 

  10. Kang, T. H.and W. D. Wu(2014) The landscape management system on the Gyeongju Donggung and Wolji.The Journal of the Center of Research for Silla Culture 44: 95-114. 

  11. Kil, B. S., Y. S. Kim, H. G. Yoo, S. E. Shin and S. O. Baik(1997)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troduced species, Rumex acetosella. Korean J. Ecol. 20(6): 413-421. 

  12. Kim. K. H.(2012) Authenticity of cultural heritage and its development as tourism resources: with reference to Donggung and Wolji in Gyeongju, South Korea.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6(5): 115-133. 

  13.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s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Seoul. 

  14. Lee, T. 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Seoul: Hyangmunsa. 

  15. Lee, Y. M., S. H. Park, S. Y. Jung, S. H. Oh and J. C. Yang(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 87-101. 

  16. Lee, I. Y., J. E. Park, S. M. Oh, C. S. Kim, B. C. Moon, S. T. Lim and J. W. Jeong(2001)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and rhizomes growth of Rumex acetosella. Kor. J. Weed Sci. 21(3): 259-267. 

  17. Lee, S.(1984) Th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the Korean old garden and Japanese on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 263-285. 

  18. Li, H. and T. H. Kang(2012) A study on the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of Donggung and Wolji, Gyeongju-centering around the used pattern and damage degree of trail routes-.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6): 70-78. 

  19.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Berlin: Gebruder Borntraeger.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12)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21. Pan, X., H. Xu and T. H. Kang(2012) A study on the carrying capacity of Donggung and Wolji, Gyoengju-centering around the physical.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0(3): 21-28. 

  22. Park, K. J. and B. E. Yang(1998) A study on the building of An-ap pond and the customs of royal family during Shilla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1): 21-27. 

  23. Park, K. J.(1995) A study on the mode of landscape architecture at Anapji during the Silla Dynasty. Journal of Korean Cultural History 4: 23-86. 

  24. Park, K. J., G. G. Lee and B. E. Yang(2001) An analysis on the visual structure from the building area around An-ap pon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9(2): 14-21. 

  25. Park, S. 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Seoul: Ilchokak. 

  26. You, J. H., S. J. Mun, D. P. Kim and T. H. Kang(2011)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Wolseong and Gyerim, Gyeongju historic areas,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5(1): 11-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