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KFRI 490의 2핵균사와 KFR 536의 1핵균사를 Di-mon 교잡을 시도하여 새로운 품종 풍년고를 개발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원목재배와 톱밥재배 실험을 통하여 생산성 및 재배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풍년고의 발생유형은 여름, 가을의 하추형(夏秋型)으로 집중발생 한다. 최적 발생 온도는 $17{\sim}24^{\circ}C$로 고온재배에 적합하다. 원목에서 건중량 $22kg/m^3$, 톱밥재배에서 3차 발생까지 649 g/2 kg으로 원목 및 톱밥의 겸용 재배가 기능함을 알 수 있었다. 톱밥재배의 배양기간은 110~130일이다. 공조시설의 발생온도 $18{\pm}1^{\circ}C$, 습도 $90{\pm}5%$에서 버섯을 가장 많이 발생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KFRI 490의 2핵균사와 KFR 536의 1핵균사를 Di-mon 교잡을 시도하여 새로운 품종 풍년고를 개발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원목재배와 톱밥재배 실험을 통하여 생산성 및 재배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풍년고의 발생유형은 여름, 가을의 하추형(夏秋型)으로 집중발생 한다. 최적 발생 온도는 $17{\sim}24^{\circ}C$로 고온재배에 적합하다. 원목에서 건중량 $22kg/m^3$, 톱밥재배에서 3차 발생까지 649 g/2 kg으로 원목 및 톱밥의 겸용 재배가 기능함을 알 수 있었다. 톱밥재배의 배양기간은 110~130일이다. 공조시설의 발생온도 $18{\pm}1^{\circ}C$, 습도 $90{\pm}5%$에서 버섯을 가장 많이 발생시켰다.
In this study, a new strain of Lentinula edodes (Shiitake) Poongnyunko was bred from dikaryotic KFRI 490 and monokaryotic KFRI 536 by Di-mon crossing method. In this study, the productivity was conducted through bed-log and sawdust substrate cultivation. The Poongnyunko showed significant intensive ...
In this study, a new strain of Lentinula edodes (Shiitake) Poongnyunko was bred from dikaryotic KFRI 490 and monokaryotic KFRI 536 by Di-mon crossing method. In this study, the productivity was conducted through bed-log and sawdust substrate cultivation. The Poongnyunko showed significant intensive production from summer to autumn. Optimum temperatures of fruit-body formation were $17{\sim}24^{\circ}C$. The total amount of fruit-body production during 4 years by bed-log cultivation was $22kg/m^3$, and total yield of fruit-body until the 3rd flush was 648 g/ 2 kg. In case of sawdust substrate cultivation, the mycelial incubation period was 110~130 days. The suitabl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18{\pm}1^{\circ}C$ and $90{\pm}5%$ respectively.
In this study, a new strain of Lentinula edodes (Shiitake) Poongnyunko was bred from dikaryotic KFRI 490 and monokaryotic KFRI 536 by Di-mon crossing method. In this study, the productivity was conducted through bed-log and sawdust substrate cultivation. The Poongnyunko showed significant intensive production from summer to autumn. Optimum temperatures of fruit-body formation were $17{\sim}24^{\circ}C$. The total amount of fruit-body production during 4 years by bed-log cultivation was $22kg/m^3$, and total yield of fruit-body until the 3rd flush was 648 g/ 2 kg. In case of sawdust substrate cultivation, the mycelial incubation period was 110~130 days. The suitabl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18{\pm}1^{\circ}C$ and $90{\pm}5%$ respectivel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후)내충내 병성">내충내병성 품종 등 다양한 특성의 품종 개발이 여러 방법을 이용하여 전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밀려들어 오는 외국계 품종에 대응하여,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일환으로서 Di-mon 교배 품종의 원목과 톱밥재배법으로 재배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KFRI 490의 2핵균사와 KFR 536의 1핵균사를 Di-mon 교잡을 시도하여 새로운 품종 풍년고를 개발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본 연구에서는 KFRI 490의 2핵균사와 KFR 536의 1핵균사를 Di-mon 교잡을 시도하여 새로운 품종 풍년고를 개발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원목재배와 톱밥재배 실험을 통하여 생산성 및 재배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풍년고의
제안 방법
수확한 자실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크기를 상위 30%, 중위 40%, 하위 30%의 비율로 나누어 버섯의 품질과 생산성을 ‘신품종 심사를 위한 표고 특성조사요령’[1]에 의해 조사하였다.
직경">1A). 직경 10~15 cm 정도의 원목에 직경 1.2 cm, 깊이 2.5 cm의 구멍을 10 cm 간격으로 원목 1개당 약 80개의 구멍을 천공하여 준비된 톱밥 종균을 1.5 g 넣고 스티로폼 마개로 마감하였다(Fig. 1B, 1C).
후)낙우 송">낙우송 임지 내에 70% 비음망을 약 2 m 높이에 설치한 재배장을 이용하였다. 접종된 골목을 바닥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원목을 깔고 장작쌓기로 쌓은 다음 직사광선과 바람에 노출되지 않게 관리하는 방법으로 1~2개월 동안 균사 활착을 유도하였다(Fig. 1D).
후)임시 눕히기를">임시눕히기를 1~2개월 실시하여 균이 안정화되었을 시점이 되면 고온다습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5월에 본눕히기인 베갯목쌓기(갑옷쌓기)를 하였으며, 골목에 표고균이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장마가 끝난 7~8월경에 뒤집기를 실시하였다. 뒤집기는 이듬해 봄 첫 발생에 들어가기 전까지 2회 더
접종 후 1년 정도 배양된 시점인 이듬해 봄 세워져 있던 골목을 쓰러뜨린 다음 1일 8시간씩 3일간 살수해 주는 도목살수(倒木撒水) 방법으로 발생 작업을 실시했다(Fig. 1G, 1H). 약 3~7일 후 버섯이 발이 된 것을 확인한 다음 골목을 다시 세워 버섯을 성장시켰다.
약 3~7일 후 버섯이 발이 된 것을 확인한 다음 골목을 다시 세워 버섯을 성장시켰다. 발생 작업은 추운 시기인 12~2월과 한여름인 7~8월을 제외한 기간 동안에 1개월 정도의 간격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작업은 1주기 이후 즉 접종 후 첫 버섯 발생이 이루어지는 이듬해 봄부터 4년 간 지속되었다. 그리고 골목관리는 Bak
후)자실체가발이">자실체가 발이 되면 골목을 세우고 5~10일 생육시켜 자실체의 갓이 80% 정도 개산되었을 때 수확하여 자실체의 생산성 및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확은 1주기 즉, 접종 후 첫
수확한 자실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크기를 상위 30%, 중위 40%, 하위 30%의 비율로 나누어 버섯의 품질과 생산성을 ‘신품종 심사를 위한 표고 특성조사요령’[1]에 의해 조사하였다. 갓의 직경과 두께, 갓과 대의 위치, 버섯의 외형(측면), 갓의 절단한 면, 갓 표면의 색깔, 인피의 유무 및 위치와 색깔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밖에 주름살의 모양과 조밀도, 색, 주름살 밑 부분의 균일성, 주름살에서 포자 형성 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특성의 대의 모양, 색깔, 털의 유무 및 색깔, 대길이 및 굵기, 갓의 직경에 대한 대의 길이 및 갓의 직경에 대한 대의 굵기의 비율 등을 조사하였다.
갓의 직경과 두께, 갓과 대의 위치, 버섯의 외형(측면), 갓의 절단한 면, 갓 표면의 색깔, 인피의 유무 및 위치와 색깔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밖에 주름살의 모양과 조밀도, 색, 주름살 밑 부분의 균일성, 주름살에서 포자 형성 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특성의 대의 모양, 색깔, 털의 유무 및 색깔, 대길이 및 굵기, 갓의 직경에 대한 대의 길이 및 갓의 직경에 대한 대의 굵기의 비율 등을 조사하였다.
접종 이후 시간 경과에 따른 해균 변화와 원목 수종(상수리나무, 신갈나무)에 대한 특이적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국립산림과학원과 충북 충주의 재배사에서 진행되었으며 접종 1년차부터 3년차까지의 골목을 조사하였다.
접종된 배지는 22 ± 1˚C 내외의 항온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기간을 0~120일까지 30일 간격으로 중량을 측정하여 중량 감소율을 조사하였다. 일반적인 배지 관리는 Bak 등[5]의 방법에 준해서 진행되었다.
후)배양기간은">배양 기간은 110~13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배양하였으며, 배양이 완료된 배지는 발생실로 옮겨 침수 작업하고 버섯 발생을 유도하였다.
후)버섯 발생">버섯발생 및 배지휴양에 소요되는 1개월을 1차로 하여 총 3차 즉 3개월간 수확하였다.
대상 데이터
배지는 신갈나무 톱밥과 미강을 8:2의 부피 비율로 혼합, 함수율 60 ± 5%로 제작 후 650 g씩 입병하여 121˚C에서 90분 고압살균하고 냉각시킨 후에 무균상에서 접종한 다음 22 ± 1 ˚C로 배양실로 옮겨 1.5~2개월 배양하여 종균을 준비하였다.
후)원목 재배">원목재배 시험은 풍년고와 대조 품종 산림4호, 톱밥재배 시험은 풍년고와 실제로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톱밥재배용 계통 KFRI 1514와 생산성을 비교하였으며, 온도형 간의 비교를 위하여 고온성 품종인 산림9호, 저온성 품종인 KFRI 485 및 KFRI 766, 중온성 품종 백화향을 시험 계통 및 품종으로 사용하였다.
5~2개월 배양하여 종균을 준비하였다. 전년도 낙엽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10월 중순에서 11월 사이에 벌목된 참나무류를 1.0~1.2 m 길이로 절단하여 함수율 40% 내외의 원목을 준비하였다(Fig. 1A). 직경 10~15 cm 정도의 원목에 직경 1.
배양 및 발생은 국립산림과학원 구내의 편백나무 및 낙우송 임지 내에 70% 비음망을 약 2 m 높이에 설치한 재배장을 이용하였다. 접종된 골목을 바닥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원목을 깔고
접종 이후 시간 경과에 따른 해균 변화와 원목 수종(상수리나무, 신갈나무)에 대한 특이적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국립산림과학원과 충북 충주의 재배사에서 진행되었으며 접종 1년차부터 3년차까지의 골목을 조사하였다. 조사 시기는 2014년 2월 중순경에 실시하였다.
조사는 국립산림과학원과 충북 충주의 재배사에서 진행되었으며 접종 1년차부터 3년차까지의 골목을 조사하였다. 조사 시기는 2014년 2월 중순경에 실시하였다.
후)평반 구형으로">평반구형으로 대는 갓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갓의 직경은 47 mm이고, 갓의 두께는 14 mm이다. 갓의 색깔은 갈색을 띤다.
후)평반 구형으로">평반구형으로 대는 갓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갓의 직경은 46 mm이고, 갓의 두께 14 mm, 대길이 45 mm, 대 굵기 13 mm이다.
대조품종인">7). 대조품종인 산림4호는 갓 직경 45 mm, 갓 두께 13 mm이고 대 길이 41 mm, 대 굵기 12 mm로 출원품종이 대조 품종에 비해 전반적으로 자실체가 크고 실하다. 품종의 형태인 갓의 모양, 주름의 유·무, 주름의 형태, 또한 대의 위치, 대의 모양 등으로 품종의 형태적 특성을 구분하는 하나의 방법이 된다.
이론/모형
종균은 원목재배용 종균제조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하였다.
성능/효과
">있었다[3]. 그러나 온도형간의 균사생장 차이를 비교한 실험에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DA배지에서 균사생장 속도는 톱밥배지에서 균사생장 속도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Ryu
후)내 양분이">내양분이 동시에 발생되는 많은 버섯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자실체의 크기가 작아지고, 발생 초기에 생산이 집중되어 결과적으로 전체 수확기간이 짧아진다. 또한 총 4년의 발생 기간 동안 1년차 발생이 약 49%로(Fig. 4) 초기 투자비용 회수에 적합한 품종이다. 표고의 경제성 분석에서 고온성 표고는 1세대에 원목 1 m3당 100 kg, 중온성은 90 kg, 저온성은 80 kg 이상 생산되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4) 초기 투자비용 회수에 적합한 품종이다. 표고의 경제성 분석에서 고온성 표고는 1세대에 원목 1 m3당 100 kg, 중온성은 90 kg, 저온성은 80 kg 이상 생산되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데[7], 개발된 풍년고는 4년 재배 기간 동안의 수확량을 조사한 결과 1 m3당 153 kg의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풍년고의 경우 생산량이 3년차에 약 10%에서 4년차 생산량이 18.
후)해균 조사는">해균조사는 풍년고 재배장인 충북 충주와 서울(국립산림과학원내 버섯 재배장) 두 곳에서 접종 이후 1, 2, 3년 경과에 따른 해균 양상과 원목의 수종 별 특이성 조사 결과 총 17종의 해균이 관찰되었다(Fig. 6). 이것은 Lee 등[8]에 의해 관찰되었던 점박이팥버섯(Hypoxylon fragiforme) 을 제외한 13종 모두가 관찰된 것이며 오히려 당시에는 확인되지 않았던 조개껍질버섯(Lenzites betulina), 도장버섯 (Daedaleopsis contragosa), 아교버섯(Merulius tremellosus), 이중껍질버섯(Graphstroma platystoma) 등과 같은
후)원목 재배에서">원목재배에서 가장 중요한 해균으로 분류하는 주홍꼬리버섯, 검은혹버섯, 푸른곰팡이류는 Lee 등[8]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지역 구분 없이 표고골목의 주요 해균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할 만큼 발생률이 높았다. 우리나라의 봄철 건조와 여름철
풍년고,">7A). 풍년고, 산림9호, 천백고, 백화향, KFRI 485, KFRI 766, KFRI 1514 등 7개 균주에 대한 생산성 확인 결과 풍년고가 수확량이 가장 좋았으나(Fig. 8) 대길이가 다소 길었다(Fig. 7B, 7D).
후)원목에서건중량">원목에서 건중량 22 kg/m3, 톱밥재배에서 3차 발생까지 649 g/2 kg으로 원목 및 톱밥의 겸용 재배가 기능함을 알 수 있었다.
대조 품종 산림4호는 가을, 봄에 산발 발생하지만, 풍년고는 여름, 가을에 집중 발생으로 수확 시 효율적이므로 노동력 절감의 효과가 있다. 교잡계통으로 사용된 KFRI 490은 톱밥재배용으로 개발되었고 발생 온도 범위는 가을, 봄의 중온성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본 실험에서는 원목재배에서 발생 온도가 17~25˚C의 고온형을 보였고, 산림5호 또한, 톱밥재배에서의 발생온도가 11~22˚C의 고온성으로 알려졌으나 원목재배에서 9~18˚C의 중온성에 가까운 현상을 보인 점이 특이하다(Table 1). 풍년고는 17~24˚C의 고온성으로
후속연구
후)지역구분">지역 구분
없이 표고골목의 주요 해균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할 만큼 발생률이 높았다. 우리나라의 봄철 건조와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은 해균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직사광선, 건조, 고온다습 등 해균 침입의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으로부터 철저한 관리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9)
Yoon KH, Kim YY. Test guideline for Shiitake.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2008.
Jang CS, Suk HD, Kim YD. Forest observatio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08;4:1-4.
Ryu SR, Bak WC, Koo CD, Lee BH. Studies on breeding and cultivation characterisrics of Lentinula edodes Strains for sawdust cultivation. Kor J Mycol 2009;37:65-72.
With shiitake mushrooms [Internet]. Seoul: Naver Blog; 2009 [cited 2015 May 15]. Available from: http://www.blog.naver.com/bonghun90.
Bak WC, Yoon KH, Ka KH, Park H, Lee BH. Shiitake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and pest control technique. Seoul: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6.
Bak WC, Park YA, Lee BH, Ka KH. Characteristics of newly bred Lentinula edodes strain "Soohyangko". J Mushroom Sci Prod 2013;11:9-14.
Bak WC, Lee TS, Lee WK, Byun BH, Yi CK. Selective breeding and hybridization of Lentinus edodes strains for bed-log cultivation. J Kor For Soc 1996;85:309-15.
Lee BH, Bak WC, Ka KH, Yoon KH, Ryu SR. Harmful microorganisms occurred on the bed-logs of several Quercus spp. for shiitake cultivation. Kor J Mycol 2007;35:33-6.
Bak W, Yoon KH, Ka KH, Kim MK, Ryu SH, Park H, Lee BH, Ryu SR, Park YA, Lee HJ, et al. Development of excellent strains and cultivation techniques of forest mushroom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1.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