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간 무인항공기시스템 카테고리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ivil Unmanned Aerial System Category Classification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43 no.7, 2015년, pp.657 - 667  

안효정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적으로 무인기 기술이 발전하고, 민간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각국에서도 제도마련 및 보완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무인기 기술은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 운용범위, 성능 및 운용방법 등으로 개발되고 있어 각각의 경우에 대한 안전 규정을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민간 무인기 분류를 위한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그에 따른 범주를 구분하여 적합한 규정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무인기 분류에 있어서 국가별로 다양한 기준과 방법이 고려되고 있으며,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도 국제 표준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무인기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방식 및 관련 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하여 국내 관련 제도의 보완점 및 민간 무인기 분류방안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increase of commercial demand for unmanned aerial system(UAS), the related regulation has been prepared and complemented with the advanced countries such as Unite States and European Union(EU). However it is difficult for regulation to cover all areas of UASs pr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무인기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방식 및 관련 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하여 국내 제도의 보완사항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 무인항공기를 분류하기 위해서는 항공기 기체의 특성(중량, 운동에너지, 속도, 추진계통, 형상, 체공시간, 범위), 운용 환경(운용 범위, 공역, 임무, 지상의 인구밀도), 시스템 성능(자동화 수준, 고장 모드, 비행종단시스템, 발사회수방법) 등을 기준으로 고려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무인기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방식 및 관련 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하여 국내 제도의 보완사항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그 결과 현재는 항공기 자체 중량을 기준으로 우선적으로 분류하고, 이후에 운용고도, 범위, 임무 목적 등에 따라 세분화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ble 16).
  •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를 바탕으로 현재 국내 무인기 개발 현황 및 수요를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무인기 카테고리 분류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Table 17). 앞서 정리한 바와 같이, 현재 국내 항공법에서는 150 kg의 중량(연료의 중량을 제외한 자체중량)을 기준으로 그 이하는 항공기가 아닌 초소형 비행장치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에 해당하는 무인기도 초소형 비행장치로 분류되고 기준 중량을 초과하는 무인기는 항공기에 포함하고 있다.
  • 이러한 소형 무인기는 활용이 용이하고 경우에 따라 다양 하게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수요가 많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안전, 보안, 사생활 침해 등의 문제에 쉽게 노출될 수 있어 구체적인 관련 규제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항공법 상의 초소형비행장치(자체중량 150 kg 이하의 무인기) 규정에서 12 kg 이하의 장치를 위한 일부 면제 규정은 현실적인 문제점을 반영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있으므로 이를 세분화할 방안을 고려해 보았다. 현재 대부분의 초소형무인기는 초소형 초경량 카메라(500만~1200만화소)를 장착하더라도 2 kg 이하이며, 더 나아가 고성능 촬영을 위한 DSLR(Digital Single Lens Reflex) 카메라를 장착할 경우에는 2~25 kg 정도의 범위에 해당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주는 민간 무인기 운용 규정에 따라 무인기를 어떻게 구분하는가? 호주는 세계 최초로 무인기 규정을 제정하였으며 호주의 감항당국(CASA)은 2002년에 민간 무인기운용 규정을 출간하였다[4]. 호주의 규정에 따르면 무인기를 비행선(airship), 동력낙하장치(Powered Parachute), 비행기(Aeroplane), 회전익기(Rotorcraft), 동력 리프트장치(powered Lift)로 구분하여 각각 중량을 기준으로 초소형(micro), 소형(small), 대형 (large)으로 분류하고 있다[13]. Table 11에서는고정익 및 회전익 무인기에 대한 카테고리 분류 내용을 정리하였다.
소형무인기 규정 개발을 위한 권고사항의 17개 권고 기준은 무엇인가? 여기서 17개의 권고 기준은 다음과 같다. ① 구조 건전성(structural integrity), ② 제조 규격(manufacturing specification), ③ 안전 시스템 착수(safe system start-up), ④ 비행 제어 케이블(flight control cables), ⑤ 화재 방지(fire protection), ⑥ 연결장치(connectors), ⑦ 통제소 동기화(control station synchronization), ⑧ 통신 범위 시험(communication range test), ⑨ 운용자 매뉴얼(operators manual), ⑩ 정비 및 검사 절차(maintenance and inspection procedures), ⑪ 구성품 고장 방지(component failure protection), ⑫ 동력장치 고장안전(powerplant fail safe), ⑬ 연료 및 전원 정보(fuel/power information), ⑭ 연료 및 전원 표시(fuel/power marking), ⑮ 구조한계초과명령 예방(prevention of commands which exceed structural limits), ⑯ 재료(materials), ⑰ 중량배분(weight balance) 또한 FAA는 규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외부의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 이나 RTCA(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Aeronautics)와 같은 외부 단체에서 개발한 기준을 기초자료로 활용하기도 한다. 현재 ASTM 기술 위원회 F-38에서는 무인기 표준 및 안내 자료를 개발하고 있다.
RTCA SC-203에서 무인기 운용과 관련하여 분류한 카테고리 A, B, C, D의 내용은 무엇인가? RTCA SC-203에서는 무인기 운용과 관련하여 카테고리 A, B, C, D의 4가지 범주로 분류하고 있다[7]. 카테고리 A는 레크레이션이나 스포츠 목적으로 운용하는 모형 항공기로 육안확인 가능한 거리에서 운용되는 것이며, 카테고리 B는 육안 확인 가능한 범위에서 운용되는 소형 무인기로 안전을 위하여 운용과 조종자에 대한 최소한 제한적인 규제가 필요하다. 카테고리 C는 육안확인 가능 범위를 벗어나서 운용하는데 있어서 카테고리 B와 차이가 있으며 승인된 DSA(Detect, Sense and Avoid) 시스템을 장착해야 한다. 카테고리 D는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되는 유인기와 유사하게 운용되는 경우를 포함하며, 유인기와 같이 적합한 인증을 받아야 하고 카테고리 C와 같이 승인된 DSA 시스템을 장착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viation Ac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mended by Act No. 12817, Oct. 15, 2014 

  2. Enforcement Decree of the Aviation Ac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mended by Presidential Decree No. 25840, Dec. 09, 2014 

  3. www.law.go.kr 

  4. Hyojung Ahn, Jonghyuk Park, Seungwoo Yoo, "A Study of the Status of UAS Certification System and Airworthiness Standards", J.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 Vol. 42, No. 10, 2014, pp. 893-901 

  5. Hyojung Ahn, Jonghyuk Park, "A Study on Certification Requirements for Small Unmanned Aerial System",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C, Vol. 3, No. 1, 2015, pp. 71-78 

  6. Standard Practice for Application of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Federal Aviation Regulations Part 21 Requirements to Unmanned, ASTM International, 2006 

  7. Guidance Material and Considerations for Unmanned Aircraft Systems, RTCA, Inc. Mar. 22, 2007 

  8. Unmanned Systems Integrated Roadmap, Department of Defense, 2013 

  9. Roland E. Weibel, R. John Hansman, "Safety Considerations for Oper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in the National Airspace System", ICAT, No. ICAT-2002-1, 2005, pp. 40-41 

  10. Policy Statement Airworthiness Certification of Unmanned Aircraft Systems, EASA, 2009 

  11. The Swedish Transport Agency's regulations on unmanned aircraft systems (UAS), Swedish Transport Agency, 2009 

  12. Unmanned Aircraft System Classification Schemes Study Final Report, MTSI, Ver. 1.0, 2012 

  13. www.casa.gov.au 

  14. www.tc.gc.ca 

  15. Benny Davidor, "RPAS Symposium Workshop 1 - Airworthiness", ICAO RPAS Symposium, March 24, 2015 

  16. Ales Bohivi, "National Regulation of Unmanned Aircraft Systems Czech Republic", ICAO RPAS Symposium, March 24, 2015 

  17. Sam Twala, "South African Civil Aviation Authority", ICAO RPAS Symposium, March 24, 2015 

  18. Strategic Concept of Employment for Unmanned Aircraft Systems in NATO, JAPCC, 2010, pp. 6. 

  19. RPAS The Global Perspective 2014/2015 12th Edition, UVS International, 2014. 

  20. Manual on Remotely Piloted Aircraft Systems(RPAS),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