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미료의 종류를 달리한 수삼정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ungKwa made with Ginseng and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Sweetners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1 no.3, 2015년, pp.248 - 258  

조은희 (배화여자대학교 전통조리과) ,  김현아 (연성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과) ,  김용식 (연성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삼정과를 저열량 감미료인 자일리톨, 올리고당, 스테비오시드, 에리스리톨을 이용하여 전기밥솥으로 205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수삼정과의 수분 함량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 스테비오시드는 다른 시료들에 비해 수분 함량이 현저하게 높았다. 당도는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설탕으로 전기밥솥에 제조한 수삼정과의 명도와 적색도는 유의적으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자일리톨로 제조한 수삼정과의 황색도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 수삼에 설탕을 넣고 제조한 대조군의 경도는 설탕으로 제조한 수삼정과가 유의적으로 가장 컷으며, 부착성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경도에 따른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탄력성은 설탕으로 제조한 것이 가장 컸고, 씹힘성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검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응집성은 자일리톨과 올리고당으로 제조한 수삼정과의 응집성이 유의적으로 가장 컸다. 관능적인 특성을 검토해본 결과, 정과의 외관, 향, 맛,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선호한 올리고당으로 제조한 수삼정과를 다른 대체 감미료로 만든 시료에 비해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정과의 윤기, 갈색의 정도, 인삼의 향, 맛도 선호하였다. 따라서 설탕을 대신하여 올리고당을 사용하여 정과를 제조하면 현대인들의 건강에 대한 염려에도 부합하는 칼로리가 낮은 정과의 제조도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ungkwa is traditional food in Korea and difficult to prepare. This study proposes to use a rice cooker to simplify the process of preparing ginseng jungkwa.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study. This study examined low calorie sweeteners (xylitol, oligosaccharide, stevioside, erythritol) ins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수삼을 선택하여 가정에서 손쉽게 제조 가능하게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기밥솥에 제조하고, 졸임액을 설탕 대신 저열량 감미료를 사용하여 정과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과에 주로 이용되어져 온 채소의 종류는 무엇인가? 예로부터 내려오는 정과는 전과(煎果)라고 하며, 채소의 뿌리나 열매, 줄기 등을 이용하여 살짝 데치거나 날것을 꿀에 오랫동안 졸여서 달콤하고 쫄깃한 형태가 되도록 제조한다. 정과에 주로 이용되어져 온 채소의 종류는 인삼, 생강, 도라지 및 당근 등 약간 단단한 식재료이다(신승미 등 2005). 정과를 포함하는 한과류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에 궁중의 잔칫상, 의례상, 제사에 사용되었으며, 양반층과 왕실의 기호 음식으로 주로 고급스럽게 발달하여 왔다(강인희 1999).
정과란 어떻게 제조하는가? 예로부터 내려오는 정과는 전과(煎果)라고 하며, 채소의 뿌리나 열매, 줄기 등을 이용하여 살짝 데치거나 날것을 꿀에 오랫동안 졸여서 달콤하고 쫄깃한 형태가 되도록 제조한다. 정과에 주로 이용되어져 온 채소의 종류는 인삼, 생강, 도라지 및 당근 등 약간 단단한 식재료이다(신승미 등 2005).
수삼정과 제조 시, 설탕 대신 사용한 저열량 감미료 시료들에 따라 수분 함량이 다르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이라고 판단되는가? 001), 스테비오시드는 다른 시료들에 비해 수분 함량이 현저하게 높았다. 감미도는 각각의 특색을 가지고 있어 장시간 뜨거운 액체로 졸여질 때 결정의 모양과 형태, 물의 흡수력 등이 달라서 수분을 머금고 있는 양이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인희 (1999). 한국의 상차림. 효일, 27-43, 서울. 

  2. 박형우 (2002). 한과의 기호성과 수출천략. 농수산물 무역정보, 4-5. 

  3. 신승미, 손정우, 오미영, 송태희, 김동희, 안채경, 고정순, 이숙미, 조민오, 박금미, 김영숙 (2005). 우리고유의 상차림. 교문사, 238-239, 서울. 

  4. 오성훈, 최희숙 (2002) 감미료 핸드북. 효일, 13, 75, 114, 137, 187, 312. 서울. 

  5. Cho EH, Kim M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JungKwa made with ginseng by different manufacturing methods.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Culinary 20(3):161-170. 

  6. Cho SH, Park BY, Wyi JJ, Hwang IH, Kim JH, Chae HS, Lee JM, Kim YK (2003).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cutlet containing ginseng saponin. J Anim Sci & Technol 45(4):633-640. 

  7. Choi SH, Kang RK, Lee HG (1984). A study on the ingredients preperation method of lotus root jungkwa. J Korean Soc Food Sci Nutr 13(1): 42-50. 

  8. Kamel BS, Rasper VF (1988). Effects of emulsifiers, sorbitol, polydextrose, and crystalline cellulose on the texture of reduced-calorie cakes. J Texture Studies 19:307-320. 

  9. Kee HJ, Hong YH (1993). Ginseng-whey beverage production and sensory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Nutr 22(2):202-207. 

  10. Kim HA, Lee K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jungkwa made with carrot, using different manufacturing methods.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4(2):242-251. 

  11. Kim HJ, Jung DK, Joo HK (1985). The effect of honey concentration on he quality of honeyed ginseng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honeyed ginseng. Korean J Ginseng Sci 9:128-134. 

  12. Kim HJ, Lee JC, Lee GS, Jeon BS, Kim NM, Lee JS (2002).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raditional ginseng liquor.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6(2):74-78. 

  13. Kim HS, Jung HH, Lee YS, Kim HY (2007).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Dasik processing with varied levels of oligosaccharid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22(5):615-620. 

  14. Kim HY, Park JH (2006).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umpkin cookies using ginseng powde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2(6):855-863. 

  15. Kim KT, Im JS, Kim SS (1996). A study of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inseng soybean curd prepared with various coagu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5):965-969. 

  16. Kim MY, Jun SS (2000). The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16(6):530-537. 

  17. Kim MY, Lee YM, Kim Y (2006). Relative sweetness of sucralose in a cookie system and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low calorie cookies containing sucralose.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38(4):501-505. 

  18. Kim NY, Han MJ (2005). Development of ginseng yogurt fermented by Bifidobacterium spp.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1(5):575-584. 

  19. Kim JS (1999). Effect of ginseng on the shelf-life of bread. Journal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p. 325. 

  20. Korea Customs Service (2007). The annuals of trade statistics. Available online: http://www.customs.go.kr 

  21. Korean Ginseng & Tabacco Research Experiment Station (1996). The latest Koran ginseng(chamical constituents and pharmacological effects). Chunil Press, Daejon, Korea. pp. 56-153. 

  22. Kwon HJ, Park C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llflower and lotus root Jeonggwa added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6(1):52-59. 

  23. Lee HG, Kim HJ (2001).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wax gourd Jungkwa by different recipes. Korean Journal of Society Food Cookery Science 17:412-420. 

  24. Lee sj, Han mr, Back JE (2008). Effect of xylitol on bread proper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1(1):56-63. 

  25. Lim HJ, Shin SM, Choi YJ, Kwon HS, Yum CA (1996). A study on Nabak-kimchi added fresh ginseng. Korean J Soc Food Sci 12(3):513-520. 

  26. Moon SW, Shin HK, Gi GE (2003). Effects of xylitol and grapefruit seed extract on sensory value and fermentation of Baechu Kimchi.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35(2):246-253. 

  27. Oh HI, Kwon SM, Shin TS (1996). Changes in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chiml juice during fermentation with the addition of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Ginseng Science 20(3):307-317. 

  28. Park MK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jam containing sugar alcohols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39(1):44-49. 

  29. Peak JK, Kim JH, Yoon SJ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kwa after different soaking times in sugar syrup. Korean J Food Cookery Sci 22(6):792-798. 

  30. Ryu GH (2010). Present statues of red ginseng products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3(1):209-214. 

  31. Song CR, Kim HA, Kim YS, Choi SK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eriyaki sauce made whit different sweetener.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Culinary 18(2):197-205. 

  32. Song IS, Lee KM, Kim MR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jam when sucrose was replaced with oligosaccharides during storage.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20(3):279-286. 

  33. Song MR, Kim MR, Kim HO, Chu S, Lee G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 kwa obtained by different sugar treat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9(7):999-1004. 

  34. Song TH, Kim SS (1991). A study on the effect of ginseng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7(2):81-88 

  35. Yang MO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leaf dasik prpared with various sweeteners.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9(3):437-443. 

  36. Yoo GN, Kim YA (2001). Effect of oligosaccharide addition on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of backsulgies.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17(2):156-163. 

  37. Yoon SR, Lee MH, Park JH, Lee IS, Kwon JH, Lee GD (2005). Changes in physicochemical compounds with heating treatment of ginseng. J Korean Soc Food Nutr 34(10):1572-15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