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야간 근무 및 장시간 노동과 주관적 불면증 여부의 관계: 제3차 근로환경조사
Association Night-Shift and Long Working-Hours Effects on Subjective Insomnia in Korean Workers: The Third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9 no.1, 2015년, pp.41 - 55  

김채봉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학협동과정) ,  정태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BK21PLUS 인간생명-사회환경 상호작용 융합사업) ,  한성민 (경운대학교 사회복지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orking the night-shift and long working hours may be linked to insomn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night-shift work and long working-hours with regard to subjective insomnia in Korean worker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ird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수면으로 인한 불면증은 직업 분류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 바, 직업분류별 산업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가 필요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분류에 따른 근로자의 불면증 실태를 파악하고, 불면증 증상 여부에 따라 야간 근무 및 장시간 노동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4년 우리나라의 1인당 GDP는 몇 달러이며 세계 몇위인가? 2014년 우리나라의 1인당 GDP는 2만 8,793달러로 세계 29위이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빠른 경제성장을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업무상질환의 피해를 입증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업무상질환은 업무상의 인과관계가 명확할 때 보상책임을 규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호흡기 질환, 신경계 질환, 피부 질환, 간 질환 등은 진단만으로 관련 업무상질환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피해를 입증하기가 어려웠다.
KWCS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에서 불면증이 야간 근무와 장시간 노동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 한 결과는? 본 연구는 KWCS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에서 불면증이 야간 근무와 장시간 노동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야간 근무는 전문·관리직, 사무직 그리고 기술직에서 불면증 발생 위험이 높았고, 장시간 노동에서는 사무직과 판매·서비스직에서 불면증 발생 위험이 높았다. 이 결과를 통해 야간 근무와 장시간 노동에 대한 취약 집단을 파악할 수 있었고, 야간 근무와 장시간 노동에 대한 보건학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N. Ha, S.C. Roh, J.S. Park(2003), Shift work duration and metabolic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15(2);132-139. 

  2. S.W. Lockley, L.K. Barger, N.T. Ayas, J.M. Rothschild, C.A. Czeisler, C.P. Landrigan(2007), Effects of health care provider work hours and sleep deprivation on safety and performance, Jt Comm J Qual Patient Saf, Vol.33(11);7-18. 

  3. H.J. Kim, S.Y. Kim, S.Y. Lim, G.J. Cheon(2011), Prolongation and night and holiday overweight business achievement worker government official plan such as labor,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pp.1-276. 

  4. M. Daley, C.M. Morin, M. LeBlanc, J.P. Gregoire, Savard, L. Baillargeon(2009), Insomnia and its relationship to health-care utilization, work absenteeism, productivity and accidents, Sleep Med, Vol.10(4);427-438. 

  5. B. Sivertsen, S. Overland, S. Pallesen, B. Bjorvatn, I.H. Nordhus, J.G. Maeland, A. Mykletun(2009), Insomnia and long sleep duration are risk factors for later work disability, The Hordaland health study, J Sleep Res, Vol.18(1);122-128. 

  6. K.H. Son, S.G. Kim, Y.W. Jin, S.H. Kim, S.Y. Kim, Y.S. Bang, S.S. Kweon, M.H. Shin, S.K. Jeong, H.S. Nam(2005), Daytime sleepiness and fatigue in male adults in relation to shift work,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17(3);199-207. 

  7. J.S. Yoon, S.H. Kook, H.Y. Lee, I.S. Shin, A.J. Kim(1999), Sleep patter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nurse on rotating shit and daytime fixed work schedule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38(4);713-721. 

  8. I.Y. Ku, S.J. Moon, K.H. Ka, M.S. Lee(2013), The Comparison between Periodontal Health Status and the Findings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Disease of some Workers,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2);81-91. 

  9. A. Nakata(2011), Effects of long work hours and poor sleep characteristics on workplace injury among full-time male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 scale businesses, J Sleep Res, Vol.20(4);576-584. 

  10. B.C. Lee(2004), A study on the fatigue of shorter working hours office workers, 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pp.1- 44. 

  11. E.S. Choi, Y. Ha(2009), Work-related stress and risk factors among Korean employees, J Korean Acad Nurs, Vol.39(4);549-561. 

  12. T.W. Jang, H.R. Kim, H.E. Lee, J.P. Myong, J.W. Koo(2014), Long work hours and obesity in Korean adult workers, J Occup Health, Vol.55(5);359-566. 

  13. Y.S. Heo, S.J. Chang, S.G. Park, J.H. Leem, S.H. Jeon, B.J. Lee, K.Y. Rhee, H.C. Kim(2013), Association between workplace risk factor exposure and sleep disturbance: analysis of the 2nd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Ann Occup Environ Med, Vol.25(1);41. 

  14. K.S. Lee, D.B. Lee, I.S. Kwon, Y.C. Cho(2011), Depressive symptoms and their association with sleep quality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among small-scaled manufacturing male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23(2);99-111. 

  15. E. Kleppa, B. Sanne, G.S. Tell(2008), Working overtime is associated with anxiety and depression: the Hordaland health study, J Occup Environ Med, Vol.50(6);658-666. 

  16. A. Tamakoshi, Y. Ohno(2004), Self-reported sleep duration as a predictor of all-cause mortality: results from the JACC study, Japan, Sleep, Vol.54;1-51. 

  17. C.L. Drake, T. Roehrs, G. Richardson, J.K. Walsh, T. Roth(2004), shift work sleep disorder: prevalence and consequences beyond that of symptomatic day workers, sleep, Vol.27(8);1453-1462. 

  18. K.H. Sun, S.P. Kim, S.H. Cho, S.J. Kim, N.S. Cho, D.H. Kim, J.R. Son(2009), Effect of sleep quality and health in emergency medical doctors on duty at night, J Soci Emergen Med, Vol.20(1);138-147. 

  19. M.A. Son(2003), The relationship of working hours and work intensity with sleep disturbance among continuous 12 hours day and night shift workers in an automobile factory in Korea,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16(1);13-24. 

  20. C.C. Caruso, T. Bushnell, D. Eggerth, A. Heitmann, B. Kojola, K. Newman, R.R. Rosa, S.L. Sauter, B. Vila(2006), Long working hours, safety, and health: toward a national research agenda, Am J Ind Med, Vol.49(11);930-942. 

  21. M. Virtanen, J.E. Ferrie, A. Singh-Manoux, M.J. Shipley, J. Vahtera, M.G. Marmot, M. Kivimaki(2010), Overtime work and incident coronary heart disease: the Whitehall II prospective cohort study, Eur Heart J, Vol.31(14);1737-1744. 

  22. J.K. Rho, K.H. Yoo, Y.S. Lee, Y.C. Gho(1994), A Study on the sleep disorder of a part of manufacturing plant workers, J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6(2);377-383. 

  23. S.H. Shin, D.H. Kim, J.H. Ahn, H.D. Kim, J.H. Kim, H.M. Kang, J.T. Lee(2008), Factor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injuries of ship-building supply workers in Busan,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20(1);15-24. 

  24. S.O. Hur, S.S. Chang, J.W. Koo, C.Y. Park(1996), The assessment of stress between white and blue collar workers by using psychosocial well-bing index, Korean J of Preventive Med, Vol.29(3);609-616. 

  25. D.J. Maume, R.A. Sebastian, A.R. Bardo(2009), Gender difference in sleep disruption among retail food worker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74(6);989-1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