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임금근로자의 근무환경과 업무상 손상과의 관계
Associations between working conditions and Occupational injury of Korean Employe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2, 2018년, pp.523 - 531  

현혜순 (상명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임금근로자의 근무환경과 업무상 손상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자료는 4차 근로환경조사(2014) 자료를 이용하여 임금근로자 총 36,29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임금근로자의 개인적 요인을 통제한 후, 업무상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개인적 요인을 보정한 상태에서 건강이나 안전에의 위협정도(OR=3.77, 95% CI=2.934-4.844), 주당 49-59시간(OR=1.63, 95% CI=1.023-2.601) 혹은 60시간 이상(OR=2.66, 95% CI=1.683-4.197)의 근무시간, 육체노동직군의 직업분류(OR=1.76, 95% CI=1.218-2.536)가 업무상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업무상 손상 위험에 취약한 근로자 집단을 위한 업무상 손상 예방 및 관리 전략에 초점을 맞춘 정책적, 사회적 지원 노력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working conditions and occupational injuries among Korean employee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4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KWCS) and a total of 36,292 data were analyz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investigate ...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여러 측면에서의 업무상 손상 관련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최근의 국내 연구들은 손상과 사회경제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검증하거나[9], 우울이나 질환 등의 개인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다루고 있으며[11, 12], 일부 남성근로자의 손상과 근무환경과의 관련성을 다루고 있으나[16] 여성 근로자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등의 제한점이 있다. 그러므로, 한국 임금근로자의 대규모 자료를 이용하여 인구학적 요인과 건강 특성 등의 개인적 요인을 통제한 후, 근무환경 특성이 업무상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 둘째, 한국 임금근로자의 업무상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근무환경 요인을 파악한다.
  • 우리나라의 근무 환경은 선진국 대비 열악한 수준이며, 특히 업무상 손상은 개인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및 삶의 질, 사회적 손실과 의료비용의 증가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임금근로자의 업무상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근무환경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제4차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업무의 건강 및 안전에 대한 위협을 느끼는 경우와 육체적 노동군에 속하는 임금근로자들이 전문직군 혹은 서비스직군보다 업무손상 위험성이 더 높았으며, 장시간 근무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업무상 손상 발생이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한국 임금근로자의 근무환경과 업무상 손상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한국 임금근로자의 업무상 손상과 관련된 근무환경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근로환경조사(KNHANES)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임금근로자의 인구학적․건강 특성 등의 개인적 요인 및 근로환경 특성과 업무상 손상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지난 12개월 동안 업무상 손상 경험이 있는 비율은 약 1.
  • 본 연구는 근로자들의 개인적 요인을 통제한 후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근로 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최근 지속적 이슈가 되고 있는 근무 환경개선과 맞물려 건강이나 안전에 대한 위협, 직무분류와 장시간의 근로시간 등의 취약한 근로조건이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근로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근로환경 개선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손상은 어떠한 노력이 요구되는가? 손상은 가족과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적이고 전 세계적인 문제로, 예측과 예방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는 개인의 행동과 환경, 기술적 측면에서의 노력이 요구된다[1]. 그러므로 손상은 산업보건 분야에서도 중요한 문제로 여겨진다.
우리나라의 산업재해율은 어떠한가? 업무와 이와 관련된 위험은 업무 관련 손상을 초래할 수 있고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2]. 우리나라의 산업재해율은 2004년의 0.85%에서 서서히 감소하여 2013년 0.59%에 이르렀고[3], 산업재해 사망만인율(1만명당 사망자수)과 업무상부상사망10만인율에 의한 사업재해 발생은 장기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4]. 그러나, 산업현장에서의 다양한 산업재해예방사업 시행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는 낮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5], 여전히 우리나라의 산업재해율은 선진국에 비해 높은 실정이다.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정책은 어디에 초점을 두는 것이 중요한가? 최근 손상에 대한 기전의 이해와 인식의 변화에 따라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정책을 개발하고 분석하기 위한 노력이 강구되고 있다[15]. 즉, 손상은 예방 가능한 측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취약인구집단을 파악하고 이들에 대한 손상 위험 관리에 중요한 초점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D. A. Sleet & D. B. Moffett. (2009). Framing the problem: injuries and public health. Family & Community Health, 32(2), 88-97. DOI : 10.1097/01.FCH.0000347985.67681.9d. 

  2. P. A. Schulte, S. Pandalai, V. Wulsin & H. Chun. (2012). Interaction of occupational and personal risk factors in workforce health and safet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2(3), 434-448. 

  3.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4). The reports of occupational injury 2013. Sejong :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4. E. Choi, G. Jeon, W. K. Lee & Y. S. Kim. (2016). The prediction of industrial accident rate in Korea: a time series analysi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5(1), 65-74. DOI : 10.5807/kjohn.2016.25.1.65 

  5. J. W. Won, J. S. Song, J. Y. Jung & Y. G. Phee. (2013). Deep evaluation of industrial accidents prevention business III(policy). Inche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6. D. Kachan et al. (2012). Worker populations at risk for work-related injuries across the life course.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55(4), 361-366. DOI : 10.1002/ajim.21994. 

  7. K. Wilkins & S. G. Mackenzie. (2007). Work injuries. Health Reports, 18(3), 25-42. 

  8. J. Shi, K. K. Wheeler, B. Lu, D. M. Bishai, L. Stallones & H. Xiang. (2015). Medical expenditures associated with nonfatal occupational injuries among U.S. workers reporting persistent disabilities. Disability and Health Journal, 8(2015), 397-406. 

  9. S. Kim, H. Kim, K. Lee, H. Kang, S. Oh & S. B. Ko.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Injury and Socioeconomic Status in Reference to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6(1). DOI : http://www.aoemj.com/content/26/1/1 

  10. N. K. Baidwan, S. G. Gerberich, H. Kim, A. D. Ryan, T. R. Church & B. Capistrant. (2018). A longitudinal study of work-related injuries: comparisons of health and work-related consequences between injured and uninjured aging United States adults. Injury Epidenilolgy, 5(35). DOI : 10.1186/s40621-018-0166-7 

  11. J. Kim & Y. Choi. (2016). Gender Differences in the Longitudinal Association between Work-Related Injury and Depres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16(13), 1077. DOI : 10.3390/ijerph13111077 

  12. B. Shin & M. Cho. (2016). The Effects of Working Hours on the Rates of Work-related Injuries and Illnesses. Korean Journal of Public Finance, 9(2), 23-45. 

  13. I. Janssen, E. Bacon & W. Pickett. (2011). Obes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Occupational Injury in the Canadian Workforce. Journal of Obesity, 2011. DOI : 10.1155/2011/531403 

  14. B. Barafaba, S. Alghnalm & E. J. Bernachi. (2016) Work-Related Injur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US Workers: A Longitudinal Study of a Population-Based Sampl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8(4), 385-390. 

  15. E. J. Lee, J. S. Lee, Y. Kim, K. H. Park, S. J. Eun, S. K. Suh & Y. I. Kim. (2010). Patterns of Unintentional Domestic Injuries in Ko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 Public Health, 43, 84-92. 

  16. K. Choi & K. Yang. (201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jured Workers Rate and Work Environment of Male Workers for over 40 year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0(1), 131-142. DOI : 10.12811/kshsm.2016.10.1.131 

  17. Y. N. Xiao, Z. X. Huang, S. B. Huang, X. O. Cao, X. M. Chen, X. H. Liu. & W. Q. Chen. (2012). Associations of occupational safety atmosphere and behaviors with unintentional injuries. Zhonghua Lao Dong Wei Sheng Zhi Ye Bing Za Zhi, 30(7), 488-492. 

  18. J. M. Cook, M. D. Slade, L. F. Cantley & C. J. Sakr. (1016). Evaluation of safety climate and employee injury rates in healthcar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6(73), 95-599. DOI : 10.1136/oemed-2015-103218 

  19. D. Zohar. (2010). Thirty years of safety climate research: reflections and future direction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42, 1517-1522. 

  20. S. Clark.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limate and safety performance: 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and Psycholocy, 11(4), 315-327. DOI : 10.1037/1076-8998.11.4.315 

  21. P. Spielholz, J. Cullen, C. Smith, N. Howard, B. Silverstein & D. Bonauto. (2008). Assessment of perceived injury risks and priorities among truck drivers and trucking companies in Washington State. Journal of Safety Research, 39, 569-576. 

  22. Y. H. Huang, M. Ho, G. S. Smith & P. Y. Chen. (2006). Safety climate and self-reported injury: Assessing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 safety control.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8(2006), 425-433. 

  23.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7). occupational accidents in 2016. http://www.shai.or.kr/bbs/data_view.asp?num123. 9, November, 2018. 

  24. Y. Kim & B. Lee. (2016). Comparison of Occupational Health Providers' Perception on Workers' Health Promotion Program by Business Types: Focusing on Need, Necessity, Performance, Barriers, and Effectiveness of Progra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5(1), 29-40. DOI : 10.5807/kjohn.2016.25.1.29 

  25. S. Shin, D. H. Kim, J. H. Ahn, H. Kim, J. H. Kim, H. M. Kang & J. T. Lee. (2008). Factor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Injuries of Ship-building Supply Workers in Busan.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 20(1), 15-24. 

  26. K. S. Lee, H. Kim, S. H. Chang, K. J. Choi, W. K. Oh, J. W. Choi, K. H. Yi & J. Y. Oh. (2006). Relationship between injury occurrence and workplace organization in small-sized manufacturing factori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8(2), 73-86. 

  27. H. S. Hyun & Y. Kim. (2018) Associations between working environment and weight control efforts among workers with obesity in Korea. Journal of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 46(6), 2307-2316. 

  28. S. E. Luckhaupt, M. A. Cohen, J. Li & G. M. Calvert. (2014). Prevalence of Obesity Among U.S. Workers and Associations with Occupational Factor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46(3), 237-248. 

  29. I. Janssen, E. Bacon & W. Pickett. (2011). Obes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Occupational Injury in the Canadian Workforce. Journal of Obesity, 2011. DOI : 10.1155/2011/531403 

  30. A. Kouvonen, M. Kivimaki, T. Oksanen, J. Pentti, R. De Vogli, M. Virtanen & J. Vahtera. (2013). Obesity and Occupational Injury: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69,515 Public Sector Employees. PLoS ONE 8(10), e77178. DOI : 10.1371/journal.pone.0077178 

  31. Z. Zeng, Y. Guo, L. Lu, L. Han, W. Chen & L. Ling. (2014). Mental health status and work environment among workers in small-and medium-sezed enterprises in Guangdong, China; a cross sectional survey. BMC Public Health, 14, 1162. DOI : 10.1186/1471-2458-14-1162 

  32. B. Park & Y. Oh. (2018). The Association between Working Condition with Depression among Wage Workers. Health and Social Science, 47, 31-56. DOI :10.21489/hass.2018.04.47.31 

  33. Y. Lee. (2018). A Convergence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Work-Life Balance in Foreign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9(10), 477-485. DOI : 10.15207/JKCS.2018.9.10.4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