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간호사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기효능, 감정노동, 아동간호사-환아부모 파트너십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of Pediatric Nurses: Focusing on Self-Efficacy, Emotional Labor,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1 no.3, 2015년, pp.236 - 243  

홍은영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양윤정 (거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self-efficacy, emotional labor,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and job stress of pediatric nurses were examined.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of pediatric nurses were also investigated. Methods: The study was done between June and September 2014, with a convenience samp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일반 간호사 대상의 직무 스트레스 관련 연구에서 중요한 변인으로 밝혀진 요인과 가족중심간호를 수행하는 아동간호사의 업무특성에 맞추어 일반적 특성, 자기효능, 감정노동 및 아동간호사와 환아부모의 파트너십을 포함시켜 이들 변수가 아동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향후 아동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전략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아동간호사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아동간호사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이해와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아동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자기효능, 감정노동 및 아동간호사-환아부모 파트너십이 아동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향후 아동간호사 직무스트레스 감소 및 예방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정노동은 무엇인가? 감정노동은 업무수행을 하면서 감정을 알아차리고, 감정을 평가하고 최선의 반응을 결정하고 적절한 감정이 표현되도록 행동하는 것이다[12]. 아동간호사는 다양한 발달단계에 있는 대상자뿐만 아니라 환아보호자와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과정에서 감정노동을 빈번히 수행할 것으로 생각된다.
신규간호사가 소아과 병동 근무를 꺼리는 이유는? 특히, 소아과 병동 간호사는 신생아부터 청소년기까지 아동의 질병뿐만 아니라 각 발달단계에 따른 개별성을 고려하여 간호를 제공해야 하며, 아동병동에 보호자가 상주하는 것이 일반화된 우리나라에서 그 대상자가 아동뿐 아니라 아동의 가족까지 포함되는 상황적 특성으로 인해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보다 간호사들이 어렵게 느끼는 경우가 많다[7,8]. 이러한 이유로 신규간호사는 소아과 병동 근무를 잘 선택하지 않으려 하며, 이러한 스트레스가 아동간호사가 임상 현장을 떠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7].
장기적 치료를 요하는 아동의 관리에 부모를 참여시키는 것에 대한 가족 중심 간호와 파트너십 개념합성 연구에 나타난 세 가지 차원은? 장기적 치료를 요하는 아동의 관리에 부모를 참여시키는 것에 대한 가족중심 간호와 파트너십의 개념합성 연구[11]에 따르면 이들 개념에는 부모의 지식과 경험 중시하기, 간호제공자로서의 부모의 역할 지지하기와 임상적 심리사회적 간호에 부모의 전문지식을 통합하기와 같은 세 가지 차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세 가지 차원별로 나타난 협동과정은 효과적 부모-전문가 관계 형성하기,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지지수준에 대해 부모와 협상하기, 참여적 과정에 대한 투명성을 보장하고 간호에 환아부모의 기여 정도를 문서화하기로 분석되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TW, Kang KH, Ko YK, Cho SH, Kim EY. Issues and challenges of nurse workforce policy: A critical review and impl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1):106-116.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1.106 

  2. Canadian Health Services Research Foundation. Monitoring the health of nurses in Canada[Internet]. Ottawa: Canadian Health Services Research Foundation; 2002[Cited 2015 March 28]. Available from: http://www.cfhi-fcass.ca/Migrated/PDF/ResearchReports/OGC/kerr_e.pdf 

  3. Zeytinoglu IU, Denton M, Davies S, Bauman A, Blythe J, Boos L. Associations between work intensific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case of nurses in Ontario. Relations Industrielles/Industrial Relations. 2007;62(2):201-225. 

  4. Koh SB. The work related psychosocial factor and disease among health professional. Journal of Korean Medicine Association. 2010;53(6): 467-473. 

  5. Hardy GE, Shapiro DA, Borrill CS. Fatigue in the workforce of national health service trusts: Levels of symptomatology and links with minor psychiatric disorder, demographic, occupational and work role factor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997;43(1):83-92. http://dx.doi.org/doi:10.1016/S0022-3999(97)00019-6 

  6. Wall TD, Bolden RI, Borrill CS, Carter AJ, Golya DA, Hardy GE, et al. Minor psychiatric disorder in NHS trust staff: Occupational and gender difference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97;171:519-523. 

  7. Choi EJ, Bang KS. Nursing professionalism, self-efficacy and nurse parent partnership in pediatric nurs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2):94-101. http://dx.doi.org/10.4094/chnr.2013.19.2.94 

  8. Choi MY, Bang KS.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pediatric nurse parent partnership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 43(2):194-202. http://dx.doi.org/10.4040/jkan.2013.43.2.194 

  9. Harrison TM. Family centered pediatric nursing care: State of the science.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10;25(5):335-343. http://dx.doi.org/10.1016/j.pedn.2009.01.006 

  10. Espezel HJ, Canam CJ. Parent-nurse interaction: Care of hospitalized childre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3;44(1):34-41.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3.02765.x 

  11. Smith J, Swallow V, Coyne I. Involving parents in managing their child's long-term condition-A concept synthesis of family-centered care and partnership in care.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15;30(1):143-159. http://dx.doi.org/10.1016/j.pedn.2014.10.014 

  12. Guy ME, Lee HJ. How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es emotional labor in public service jobs.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Published online before print November 29, 2013. http://dx.doi.org/10.1177/0734371X13514095 

  13. Shin MK, Kang HL.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n somatiza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2):158-167.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2.158 

  14. Kim JH, Lee YM, Joung HY, Choo HS, Won SJ, Kwon, SY, et al. Effects of Emotional lab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3;20(2):157-167. http://dx.doi.org/10.7739/jkafn.2013.20.2.157 

  15. Kim JH, Park E. The effect of job-stress and self-efficacy on depression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21(2):134-144. http://dx.doi.org/10.5807/kjohn.2012.21.2.134 

  16. Lee KH, Song JS.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self-efficacy and job stress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1):17-25.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1.17 

  17. Kim JH, Lee YM, Joung HY, Choo HS, Won SJ, Kwon, SY, et al. Effects of Emotional lab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3;20(2):157-167. http://dx.doi.org/10.7739/jkafn.2013.20.2.157 

  18. Lee YM, Schwarzer R, Jerusalem M. Korean adaptation of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Internet]. 1994 [cited 2014 June 8]. Available from: http://userpage.fu-berlin.de/-health/korean.htm 

  19. Morris JA, Feldman DC. The dimens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6;21(4):986-1010. 

  20. Kim MJ. Effects of the hotel employee's emotional labor upon the jobrelated attitudes. Journal of Tourism Science. 1998;21(2):129-141. 

  21. Chang SJ, Koh SB, Kang DM, Kim SA, Kang MG, Lee C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2005;17(4):297-317. 

  22. Yang YK. A study on burnout,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 423-431.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4.423 

  23. Kim SH, Lee MA.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3):332-341.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332 

  24. Kim HJ, Kim JH.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of clinical nurses in a province, Korea.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3):308-318. http://dx.doi.org/10.5807/kjohn.2011.20.3.308 

  25. Hong E. Factors affecting nurse's health promoting behavior: Focusing on self-efficacy and emotional labor.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4;23(3):154-162. http://dx.doi.org/10.5807/kjohn.2014.23.3.154 

  26. Choi M, Kim J. Associated factors in pediatric nurse parent partnership.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3):176-184. http://dx.doi.org/10.4094/chnr.2014.20.3.176 

  27. Lee Y, Lee M, Bernstein K.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13;22(2):77-87. http://dx.doi.org/10.12934/jkpmhn.2013.22.2.77 

  28. Yoon GS, Kim SY. "Influence of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4):507-516. 

  29. Hunter B, Smith P. Emotional labour: Just another buzz word?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7;44(6):859-861.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6.12.015 

  30. Lloyd M, Urquhart G, Heard A, Kroese B. When a child says 'no': Experiences of nurses working with children having invasive procedures. Paediatric Nursing. 2008;20(4):29-3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