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자기효능감이 입원아동 부모와의 파트너십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of Nurses at Children's Hospital on their Partnership with Parents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5 no.1, 2018년, pp.15 - 24  

윤수진 (온누리아동병원 간호과) ,  노준희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self-efficacy, and partnership with parents in nurses working at children's hospital, an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partnership of nurses with par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208 nurses working at nine children's hospi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아동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자기효능감, 입원 아동 부모와의 파트너십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와 파트너십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사와 부모와의 파트너십을 향상시켜 아동에게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와 부모와의 긍정적 파트너십은 어떤 요인으로 보이는가? 파트너십은 개인 또는 그룹이 자발적 합의하에 상호 협조와 책임감을 전제로 공동된 목표를 가지고 활동하는 협력관 계를 의미하며[17], 간호사와 부모와의 긍정적 파트너십은 서로를 임파워먼트 시키며, 아동에게 최적의 간호를 제공하여 더 나은 건강결과와 아동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18]. 입원기간동안 부모는 언어적 표현이 미숙한 자녀의 대리인 역할, 돌봄 제공자, 정보제공자로서 아동간호의 많은 부분에 참여하고 있어[19], 간호사와 부모는 아동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동 목표를 세우고, 아동에 대한 정보와 책임을 공유하며, 서로간의 이해와 공감적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한 파트너로서의 의미를 지닌다[18].
파트너십과 관련된 선행연구 외의 연구는 어떻게 되가는가? 그동안 아동병원 간호사와 입원아동 부모와의 파트너십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대부분 파트너십에 대한 개념[18]이나 파트너십의 영향요인으로 개인적 특성 변수인 임파워먼트, 자기효능감, 임상의사 결정능력, 간호전문직관에 관한 연구[16,19]가 대부분 이었다. 특히 아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입원아동 부모와의 파트너십과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간호사와 부모와의 협력적 관계는 아동의 입원생활 적응과 아동의 질병회복에 기여하는 요소로 간호사와 부모와의 파트너십 영향요인을 파악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과도한 감정노동은 무엇을 유발하는가? 감정노동이란 조직이 요구하는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려는 노력[4]으로, 간호사는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대상자와 공감하고 긍정적 유대관계를 형성하여야 하며[5] 친절함, 배려심 등이 강조되어, 높은 수준의 감정노동을 경험하고 있다[6,7]. 과도한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를 높이고[7], 업무성과 감소와 신체적 정서적 소진과 이직의 도를 높여[8], 조직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반면, 감정노동은 환자에 대한 공감을 촉진시키는 요소로 간호사가 내면행위를 통해 환자와의 긍정적 유대관계 형성과 관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며, 직무 성취감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된 연구 결과도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KJ, Lee E.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labor, empowerment,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2):130-142. http://10.5807/kjohn.2011.20.2.130. 

  2. Baik DW, Yom YH.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2;18(3):271-280. 

  3. Kim JK, Kim JH. Meta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emotional labor of hospit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6;23(2):115-125. https://doi.org/10.7739/jkafn. 2016.23.2.115. 

  4. Morris JA, Feldma DC.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6;21(4):986-1010. 

  5. Ko HR, Kim JH.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3):413-423. https://doi.org/10.5977/jkasne. 2014.20.3.413. 

  6. Choi HK, Ha YM, Yang SK.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self efficacy, and burnout of employees in public health cent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6;25(1):75-82. https://doi.org/10.5807/kjohn.2016.25.1.75. 

  7. Hong EY, Yang YJ.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of pediatric nurses focusing on self-efficacy, emotional labor,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5;21(3):236-243. https://doi.org/10.4094/chnr.2015.21.3.236. 

  8. Wi SM, Yi YJ.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intent to leave, and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2;18(3):310-319. 

  9. Zapf D, Holz M. On the positive and negatives effects of emotion work in organizations. European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06;15(1):1-28. https://doi.org/10. 1080/13594320500412199. 

  10. Jeong E, Kwon IS. Nursing needs and nursing performance as perceived by caregivers with hospitalized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5;21(3):244-252. https://doi.org/10.4094/chnr.2015.21.3.244. 

  11. Kang JM, Kim WS, Cho HH. Effects of social capital, labor intensity and incivility on job burnout in pediatric nurs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7;23(1):61-69. https://doi.org/ 10.4094/chnr.2017.23.1.61. 

  12. Jeong Yh, Lee CS, Choe HN, Park JY.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regional general hospital.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7(1): 699-715.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708. 

  13. Lee OG. The effect of hospital nurses' emotional labor, self-efficacy and reward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aster's thesis]. Gimhae: Kaya University; 2016. 

  14.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1977;84(2):191-215. http://dx.doi.org/10.1037/0033-295X.84.2.191. 

  15. Kim JH, Park YS.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on psychosocial stress of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5;21(1):111-121.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1.111. 

  16. Cho EJ, Bang KS. Nursing professionalism, self-efficacy and nurse parent partnership in pediatric nurs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2):94-101. 

  17. Houghton Mifflin Harcourt.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Boston: MA; 2006. 

  18. Choi, MY, Bang KS.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pediatric nurse parent partnership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2):194-202. 

  19. Choi MY, Kim JS. Associated factors in pediatric nurse parent partnership.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3):176-184. 

  20.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1149-1160. https://doi.org/10.3758/BRM.41.4.1149. 

  21. Hong, J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r scale for nurses.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6. p. 1-135. 

  22. Sherer M, Maddux J,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Rogers R.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1982;51:663-671. 

  23. Oh H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of korean women with 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3;23(4):617-630. https://doi.org/10.4040/jnas.1993.23.4.617. 

  24. Jeong MR, Jeong E. Influence of vitality on nursing professionalism, emotional labor among pediatric nurse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7;17(1):699-715. 

  25. Song MR, Park KJ.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ambulatory care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1;17(4):451-461.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4.451. 

  26. Yu MO. Stress coping styles and nurse-parents partnership.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6;24(1):47-56. 

  27. Bae SY. The sffect of child's mother and nurse partnership on the anxiety and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of hospitalized child's mother. [master's thesis]. Changw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5. 

  28. Rosa, M. J. Emotional skill-key components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Governance. 2011;1(1):237-251. https://doi.org/10.5296/jpag.v1i1.737. 

  29. Rice, E. W. Predictors of sucessful clinical performance in associate degre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2015;40(4):207-211. https://10.0.4.73/NNE.00000000000. 

  30. Kim JH, Park EO. The effect of job-stress and self-efficacy on depression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21(2):134-144. https://10.5807/kjohn.2012.21.2.1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