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의무기록사의 융복합적 직무능력표준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vergenc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for Medical Record Specialis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7, 2015년, pp.229 - 238  

최은미 (가톨릭관동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이현주 (중원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김옥남 (대한의무기록협회 보건의료정보연구소) ,  최연희 (동의과학대학 의무행정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직무의 표준화 방안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여 이를 교육과정 전반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6월 21일부터 2014년 11월 30일 까지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진 외 산업현장전문가, 교육훈련전문가, 직무분석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풀을 구성하였다. 의무기록 분야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직무명을 의료정보관리로 정의하고 산업현장의 요구와 특성이 향후 교육훈련에 조화롭게 적용될 수 있도록 직무에 필요한 능력단위 총 12개, 능력단위요소 총 43개, 경력수준 별 필요한 능력단위 등을 도출하여 의료정보관리 국가직무능력표준안을 개발하였다. 끝으로 개발된 표준안은 산업현장 검증을 거친 다음 국가직무능력표준으로 완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aimed to develop a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as a method of job standardization, and then to be applicated as a baseline data on overall university curriculum by using the NCS. Study period is from June 21, 2014 to November 30, 2014. To accomplish the aims, a pool of rese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육관련 연구에서도 실습 교과목만을 다루었거나 암등록에 대한 사항만을 다루는등 일부 교과목에 대해서만 분석하여 교육과정 전반을 총체적으로 포함하여 연구한 사례가 미흡한 실정이다[12,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의무기록사 직무에 대해 의료기관 종별 특성을 모두 반영하여 NCS를 개발하고 개발된 NCS를 바탕으로 교육주체, 교육내용 등을 포함한 교육과정 전반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의무기록사 직무인 ‘의료정보관리’에 필요한 능력단위 및 능력요소에 따른 활동을 표준화 즉, NCS개발을 위하여 진행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중심의 인재 양성을 위한 직무 표준화 및 교육의 기초가 되는 NCS를 개발하는 것이다. NCS개발을 위한 단계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직무능력표준이란 무엇인가?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이하 NCS)란 산업현장에서 직무수행에 요구 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의 능력을 국가차원에서 표준화하는 개념이다[3]. 이와 관련하여 2013년 2월부터 고용노동부와 산업인력관리공단에서는 직종별로 NCS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개발 매뉴얼에 따른 NCS 구성은 어떻게 되어있는가? 또한 NCS 개발에 필요한 국가단위의 개발 매뉴얼을 제작하여 영역별 분야와 수준, 양식의 표준화에 기여하고 있다[4]. 개발 매뉴얼에 따른 NCS의 구성은 능력단위명, 능력단위 정의, 능력단위요소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능력단위는 해당 직업에서 요구되는 전체 직업능력을 구성하는 개별 직업능력이다.
현장 맞춤형 인력을 양성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산업 분야의 변화는 무엇인가? 교육관련 최근 이슈를 분석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자료에 따르면 융복합 산업이 등장하는 등 산업구조가 급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산업기술 인력도 현장관리 능력을 갖춘 고숙련 인력으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고 한다[1]. 이러한 산업분야의 변화는 단순히 학교에서 이론만을 습득하여 배출하는 수준이 아니라 졸업과 동시에 산업현장에 바로 투입되어도 한사람 몫을 해 낼수 있는 완전히 갖추어진 인력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The manual for development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Ministry of Emplpyment and labor & Human Resoured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14. 

  2. I. J. Ju, University Specialization and the application plan of Competency Standards. University specialization symposium, pp. 43-76. 2013. 

  3. Framework Act on Qualifications(No. 10339), Article 2 (definitions). the Minister of Education &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0. 

  4. The manual for development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draft).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13. 

  5. D. Y. Park, Current Promotion State and Assignment on Competence Education us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pp. 52-53, 2013. 

  6. J. M. Baek, Y. G. Park, An Exploratory Research into the Possibility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Introduced Into Four-Year Colleges, Employment and Career Research, Vol. 2, No. 2, pp. 1-19, 2012. 

  7. O. N. Kim,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Data Collection for Winter Training of Korea Medical Record History Professors Association, pp. 12-13, 2015. 

  8. A Research into National Examination Systems for Health and Medical Manpower in Foreign Countries.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2002. 

  9. A Research into Schemes to Implement the Improvement of National Examination Subjects on Medical Record History.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2008. 

  10. 2nd Job Analysis and Research for Medical Record History.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2012. 

  11. Y. K. Boo, O. N. Kim, S. W. Seo, S. W. Kang, H. O. Kang, K. H. Kim, M. S. Lim, Task Analysis of the Job Description of Health Record Administration based on DACUM, The Journal of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Vol. 22, pp. 49-59, 2010. 

  12. Y. H. Nam, H. J. Kweon, The Need for Standardization of Hospital Practicum for Students majoring in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The Journal of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Vol. 21, pp. 17-22, 2010. 

  13. H. S. Kim, H. L. Kim, The Application of core skill-Tip to Tumor registry course. The Journal of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Institute, Vol. 20, pp. 65-90, 2009. 

  14. J. DeOnna, DACUM : A versatile competency-based framework for staff development, Journal for Nurs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Vol. 18, No. 1, pp. 5-13, 2002. 

  15. DACUM Archive and Resource. accessed at http://www.dacum.org/ 

  16. Korean Medical Records Association. accessed at http://www.kmra.or.kr/ 

  17.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039 

  18. Canadian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Association accessed at https://www.echima.ca/ 

  19. American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Association accessed at http://www.ahima.org/ 

  20.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Association of Australia accessed at http://himaa.org.au/ 

  21. Approval of NCS Final Review Council. Human Resoured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14 

  22. M. Y. Jung, H. S. Kim, K. N. Kim, A Study on the Job Description of Medical Record Administrator in Busan and Gyeongnam,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6, No. 4, pp. 1-72, 2012. 

  23. J. H. Hong. Medical Record Information management 7th ed Komun publishing Co. p.22-23,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