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0세 이상 한국성인의 결혼상태와 채소섭취와의 연관성 분석: 2007~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The association between vegetable intake and marital status in Korean adults aged 30 years and over: based on the 2007~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8 no.2, 2015년, pp.192 - 198  

백예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정효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신상아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30세 이상 한국성인의 결혼상태와 채소섭취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7~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조사 참가자의 성별, 연령대별 채소섭취량을 비교하고, 채소를 권장섭취횟수보다 부족하게 섭취할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결혼상태에 따라 성별, 연령대별 채소섭취량에 차이가 있었다. 남녀 모두 유배우자 동거 집단의 김치를 포함한 채소섭취량이 결혼한 적 없는 집단과 별거/이혼/사별 집단과 비교해 가장 높았다. 김치를 포함한 채소를 권장섭취횟수보다 적게 섭취할 위험도는 유배우자 동거집단에 비해 결혼한 적 없거나 별거/이혼/사별인 경우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65세 이상 남자의 경우 결혼한 적 없음/별거/이혼/사별 집단은 유배우자 동거 집단과 비교해 채소섭취량이 낮았으며, 채소를 권장섭취횟수보다 적게 섭취할 위험도는 높았다. 결혼상태와 채소섭취량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결혼상태와 식생활의 변화를 함께 조사할 수 있는 코호트 연구가 수행돼야 한다. 또한 결혼상태의 지속기간, 결혼상태의 만족도 등 결혼상태를 다양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정보와 함께, 식생활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marital status and vegetable intake. Methods: Data were from participants 30 years and over (n = 18,190) in the 2007~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arital statu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marri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유배우 보호작용 이론은 결혼이 사회통제, 경제적 도움, 정서적 지지와 같은 보호적인 환경을 제공함으 로써 남녀 모두를 사망으로부터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는 이론이다.3 이러한 이론들을 토대로 결혼상태와 건강 상태와의 연관성은 여러 연구에서 다뤄진 바 있으며 주로 결혼 상태와 수명 , 日 결혼상태와 우울, 7-1。결혼상태와 식생활 및 영양상태 11-14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했다. 그 외에도 결혼상태가 인지기능, 체중, 식품안정성 또는 주관적 건강인지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연구15-20들도 있다.
  • 본 연구는 30세 이상 한국성인의 결혼상태와 채소 섭취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7~2010 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조사 참가자의 성별, 연령대별 채소섭취량을 비교하고, 채소를 권장 섭취 횟수보다 부족하게 섭취할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결혼상태와 채소섭취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2007~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30세 이상 한국성인의 결혼상태에 따른 채소섭취량을 비교하고, 채소를 권장섭취횟수보다 부족하게 섭취할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김치를 제외한 채소류와 김치를 포함한 채소류 섭취량 모두, 30~64세에서 결혼한적 없는 집단의 채소섭취량이 유배우자 동거집단, 별거/이혼/사별 집단과 비교해 낮았다.
  • 이에 본 연구는 2007~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이용하여 한국성인의 결혼상태와 채소섭취와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결혼상태에 따른 채소섭취량을 성별, 연령대별로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hun SS. A study on the indices of life expectancy by marital status.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1999; 25(1): 83-99. 

  2. Son JY, Han GH. The effects of marital status on health among older adults: the mediating effects of economic resources and social networks. Korean J Fam Welf 2012; 35: 5-40. 

  3. Park K. Marital status effects on sex-specific mortality: a theoretical integration. Korean J Sociol 1994; 28: 117-137. 

  4. Kaplan RM, Kronick RG. Marital status and longevity in the United States population.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6; 60(9): 760-765. 

  5. Dupre ME, Beck AN, Meadows SO. Marital trajectories and mortality among US adults. Am J Epidemiol 2009; 170(5): 546-555. 

  6. Choi H, Marks NF. Socioeconomic status, marital status continuity and change, marital conflict, and mortality. J Aging Health 2011; 23(4): 714-742. 

  7. Jang SN, Kawachi I, Chang J, Boo K, Shin HG, Lee H, Cho SI. Marital status, gender, and depression: analysis of the baseline survey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Soc Sci Med 2009; 69(11): 1608-1615. 

  8. Clavarino A, Hayatbakhsh MR, Williams GM, Bor W, O'Callaghan M, Najman JM. Depression following marital problems: different impacts on mothers and their children? A 21-year prospective study.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2011; 46(9): 833-841. 

  9. Gabriel B, Beach SR, Bodenmann G. Depression, marital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in couples: investigating gender differences. Behav Ther 2010; 41(3): 306-316. 

  10. Jeon GS, Lee JY. Impact of marital status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ults: focused on the difference by age and sex. Korean J Health Serv Manag 2011; 5(3): 179-190. 

  11. Schafer RB, Schafer E, Dunbar M, Keith PM. Marital food interaction and dietary behavior. Soc Sci Med 1999; 48(6): 787-796. 

  12. Haapala I, Prattala R, Patja K, Mannikko R, Hassinen M, Komulainen P, Rauramaa R. Age, marital status and changes in dietary habits in later life: a 21-year follow-up among Finnish women. Public Health Nutr 2012; 15(7): 1174-1181. 

  13. Eng PM, Kawachi I, Fitzmaurice G, Rimm EB. Effects of marital transitions on changes in dietary and other health behaviours in US male health professional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5; 59(1): 56-62. 

  14. Lee S, Cho E, Grodstein F, Kawachi I, Hu FB, Colditz GA. Effects of marital transitions on changes in dietary and other health behaviours in US women. Int J Epidemiol 2005; 34(1): 69-78. 

  15. Hughes ME, Waite LJ. Marital biography and health at mid-life. J Health Soc Behav 2009; 50(3): 344-358. 

  16. Liu H, Umberson DJ. The times they are a changin': marital status and health differentials from 1972 to 2003. J Health Soc Behav 2008; 49(3): 239-253. 

  17. Shahar DR, Schultz R, Shahar A, Wing RR. The effect of widowhood on weight change, dietary intake, and eating behavior in the elderly population. J Aging Health 2001; 13(2): 189-199. 

  18. Hakansson K, Rovio S, Helkala EL, Vilska AR, Winblad B, Soininen H, Nissinen A, Mohammed AH, Kivipelto M. Association between mid-life marit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in later life: population based cohort study. BMJ 2009; 339: b2462. 

  19. Hanson KL, Sobal J, Frongillo EA. Gender and marital status clarify associations between food insecurity and body weight. J Nutr 2007; 137(6): 1460-1465. 

  20. Lindstrom M. Marital status, social capital, material conditions and self-rated health: a population-based study. Health Policy 2009; 93(2-3): 172-179. 

  21. Yim HJ, Park HA, Kang JH, Kim KW, Cho YG, Hur YI, Sung EJ. Marital status and health behaviors in middle-aged Korean adults: from the 2007-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Health Promot 2012; 12(4): 178-186.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Dietary guideline for Korean.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23. Bazzano LA, He J, Ogden LG, Loria CM, Vupputuri S, Myers L, Whelton PK.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US adults: the first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Am J Clin Nutr 2002; 76(1): 93-99. 

  24. Lee SY, Choi KY, Kim MK, Kim KM, Lee JH, Meng KH, Lee WC. The relationship between intake of vegetables and fruits and colorectal adenoma-carcinoma sequence. Korean J Gastroenterol 2005; 45(1): 23-33. 

  25. Boggs DA, Palmer JR, Wise LA, Spiegelman D, Stampfer MJ, Adams-Campbell LL, Rosenberg L. Fruit and vegetable intake in relation to risk of breast cancer in the Black Women's Health Study. Am J Epidemiol 2010; 172(11): 1268-1279. 

  26. Kwon JH, Shim JE, Park MK, Paik HY. Evalu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for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in Korean adults aged 30 years and over: using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Korean J Nutr 2009; 42(2): 146-157. 

  2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2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29. Jung HJ. Analysis of dietary factor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s: based on adherence to the Korean food guidance system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30. Billson H, Pryer JA, Nichols R. Variation i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mong adults in Britain. An analysis from the dietary and nutritional survey of British adults. Eur J Clin Nutr 1999; 53(12): 946-952. 

  31. Pollard J, Greenwood D, Kirk S, Cade J. Lifestyle factors affecting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in the UK women's cohort study. Appetite 2001; 37(1): 71-79. 

  32. Riediger ND, Moghadasian MH. Patterns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the influence of sex, age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among Canadian elderly. J Am Coll Nutr 2008; 27(2): 306-313. 

  33. Li Y, Li D, Ma CY, Liu CY, Hui D, Wen ZM, Peng LP. Consumption of, and factors influencing consumption of, fruit and vegetables among elderly Chinese people. Nutrition 2012; 28(5): 504-508. 

  34. Satheannoppakao W, Aekplakorn W, Pradipasen M.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its recommended intake associated with sociodemographic factors: Thailand National Health Examination Survey III. Public Health Nutr 2009; 12(11): 2192-2198. 

  35. Choe JS, Ji SM, Paik HY, Hong SM. A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dietary consciousness of adults in urb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3; 32(7): 1132-1146. 

  36. Kamphuis CB, Giskes K, de Bruijn GJ, Wendel-Vos W, Brug J, van Lenthe FJ.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mong adults: a systematic review. Br J Nutr 2006; 96(4): 620-6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