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디(Morus bombycis) 추출물 침지 커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ffee Brewed from Green Beans Soaked in Mulberry (Morus bombycis)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4, 2015년, pp.579 - 585  

임현화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지석근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곽한섭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엄태길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숙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영승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도재욱 ,  유성률 (세명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최근표 (강원도립대학 식품가공제과제빵과) ,  정진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식품의약품연구실) ,  정윤화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커피 생두를 오디 추출액에 2~6시간 침지시켜 오디 침지 커피를 제조하고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 활성, 소비자 기호도 등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오디 침지 커피는 대조군보다 신맛이 더 강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갈색도는 오디 침지 커피가 대조군보다 낮았다. 오디 침지 커피는 대조군보다 높은 a값(적색도) 및 b값(황색도)을 보여 일반 커피색보다 주황빛을 띠었다. 항산화 활성은 오디 침지 커피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침지 시간에 따라 비례하지는 않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2H 및 4H에서 가장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H 및 6H에서 가장 높았다. 통계적으로 4H에서 DPPH, FRAP, ORAC의 항산화 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4시간 침지 오디 침지 커피(4H)가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한 커피로 여겨진다. 소비자 기호도 조사에서 4H가 가장 높은 전반 기호도를 보여주었으며, 색, 향, 풍미, 쓴맛에서도 높은 기호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군집분석을 통해서 소비자는 오디 침지 커피를 좋아하는 약 61%의 소비자와 대조군을 좋아하는 약 39%의 소비자로 나누어졌다. 군집분석 결과는 오디 침지를 통한 기능성 커피의 시장성을 보여준다.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 활성, 소비자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4시간의 침지 시간이 오디 커피 제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ffee soaked in Morus bombycis extract. Green coffee beans were soaked in M. bombycis extract for 2, 4, and 6 hours (sample codes: 2H, 4H, and 6H) at $4^{\circ}C$. Soaked green beans were dried and roasted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커피 생두를 오디 추출액에 2~6시간 침지시켜 오디 침지 커피를 제조하고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 활성, 소비자 기호도 등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오디 침지 커피는 대조군보다 신맛이 더 강하였다.
  • 또한 Choi 등 (18)은 로스팅 커피에 홍삼 분말을 첨가하여 추출한 커피추출액의 항균 및 항산화에 관한 연구를 보고하였다. 연구에서는 커피음료의 다양화와 품질 향상을 위하여오디 추출액을 커피에 적용하여 커피의 쓴맛을 감소시키고신맛을 높여 커피의 기호도를 향상시키며 항산화 활성을 가진 기능성 커피를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CS. 2014. Statistics of import and export of coffee. http://www.customs.go.kr/kcsweb/user.tdf?auser.newTradestatistics.NewTradestatisticsApp&c1003&mcSTATS_INQU_TRADE_020. Korea Customs Service, Daejeon, Korea (accessed Oct 2014). 

  2. Moreira DP, Monteiro MC, Ribeiro-Alves M, Donangelo CM, Trugo LC. 2005. Contribution of chlorogenic acids to the iron-reducing activity of coffee beverages. J Agric Food Chem 53: 1399-1402. 

  3. Hecimovic I, Belscak-Cvitanovic A, Horzic D, Komes D. 2011. Comparative study of polyphenols and caffeine in different coffee varieties affected by the degree of roasting. Food Chem 129: 991-1000. 

  4. Parras P, Martinez-Tome M, Jimenez AM, Murcia MA. 2007. Antioxidant capacity of coffees of several origins brewed following three different procedures. Food Chem 102: 582-592. 

  5. Kim MJ, Park JE, Lee JH, Choi NR, Hong MH, Pyo YH. 2013. Antioxidant capacity and bioactive composition of a single serving size of regular coffee varieties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299-304. 

  6. Sung GB, Kim KY, Ji SD. 2013. Survey and analysis of mulberry tree for mulberry production. J Seric Entomol Sci 51: 48-55. 

  7. Lee JA. 2011. A study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processed product developments of mulberry (Morus alba L) fruit products. Korean J Culinary Res 17: 231-243. 

  8. MIFAFF. 2012. Agricultural statistic on silkworm rearing and current state of sericulture in 2011. Ministry of Food,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Sejong, Korea. p 1-56. 

  9. Chang SW, Kim HJ, Song JH, Lee KY, Kim IH, Rho YT. 2011. Determination of several phenolic compounds in cultivars of grape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8: 328-334. 

  10. Kim HB, Kim JB, Kim SL. 2005. Varietal analysis and quantification of resveratrol in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c Sci 47: 51-55. 

  11. Lee EJ, Bae JH. 2011. Study on the alleviation of an alcohol induced hangover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by mulberry fruit. Korean J Food & Nutr 24: 204-209. 

  12. Kim HR, Kwon YH, Kim HB, Ahn BH. 2006.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and wine with varieti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209-214. 

  13. Moon HK, Lee SW, Moon JN, Yoon SJ, Lee S, Kim GY.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mulberry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797-804. 

  14. Kim J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ea with mulberry fruit. Korean J Culinary Res 18: 206-215. 

  15. Lee JA, Choi S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added with mulberry concentrate. Korean J Culinary Res 17: 285-294. 

  16. Andueza S, Cid C, Cristina Nicoli M. 2004.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y in coffee beverages prepared with conventional and "Torrefacto" coffee. LWT-Food Sci Technol 37: 893-897. 

  17. Kim HK, Jung H, Ahn E, Huh D, Kim HC, Paik JE. 2010.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ffee with the addition of the Polygonatum sibiricum.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947-956. 

  18. Choi YH, Kim SE, Huh J, Han YH, Lee MJ. 2012.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roasted coffee and red ginseng mixtur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320-326. 

  19. Mendes LC, de Menezes HC, Aparecida M, Da Silva AP. 2001. Optimization of the roasting of robusta coffee (C. canephora conillon) using acceptability tests and RSM. Food Qual Pref 12: 153-162. 

  20. Ludwig IA, Sanchez L, Caemmerer B, Kroh LW, De Pena MP, Cid C. 2012. Extraction of coffee antioxidants: Impact of brewing time and method. Food Res Int 48: 57-64. 

  2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2. Benzie IF, Strain JJ. 1999.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assay: Direct measure of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biological fluids and modified version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otal antioxidant power and ascorbic acid concentration. Method Enzymol 299: 15-27. 

  23. Ou B, Hampsch-Woodill M, Prior RL.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mprov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using fluorescein as the fluorescent probe. J Agric Food Chem 49: 4619-4626. 

  24.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2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Stand and specification of functional foo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No. 2011-68, III3.6.3-1-III3.6.3-3. 

  26. Wakeling IN, MacFie HJH. 1995. Designing consumer trials balanced for first and higher orders of carry-over effect when only a subset of k samples from t may be tested. Food Qual Pref 6: 299-308. 

  27. Illy A, Viani R. 1995. Espresso coffee: the chemistry of quality. Academic Press, London, UK. p 290-299. 

  28. Kim HJ, Shin SK, Kim MR. 2013.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dried mulberry poma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9: 769-776. 

  29. Hwang MH, Jeon HL, Kim HD, Lee SW, Kim MR.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ocolate added with mulberry poma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479-487. 

  30. Lee YJ, Ryu HS, Chun S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prepared with mulberry frui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537-5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