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균의 산업적 배양을 위한 미역의 유용성 평가
Application of a Undaria pinnatifida for industrial cultivation of Lactobacillu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2 no.2, 2015년, pp.251 - 255  

장보윤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약품연구소) ,  한지혜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약품연구소) ,  김주희 (영사이언스샬라우코리아) ,  차범석 (영사이언스샬라우코리아) ,  안성호 (영사이언스샬라우코리아) ,  김성연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약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업적 유산균 배양의 가격대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질소원, 탄소원 및 무기염물을 기본량으로 기본배지를 제조하고, 효율적인 고농도 유산균체를 수득하기 위하여 pH 조절제로서 따로 첨가되어지는 합성 화학물질을 대신하여 미역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미역의 최적의 첨가 방법을 찾고자 추출, 착즙, 분말의 형태로 배지를 제조하여 유산균증식능 평가한 결과, 착즙의 형태에서 유산균 증식능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해, 폐기되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가식부 외 미역을 유산균 배양배지에 착즙형태로 첨가함으로서 종래 pH 조절을 위해 완충액으로 첨가되는 합성 화학물질을 대체하여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역첨가 기본배지 선정에 따른 배지 단가를 절감하면서 높은 균체 수율을 얻는 등 충분한 경제적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미역을 이용함으로써 배양 시 해조류의 식이섬유 등이 정장작용에 유산균의 시너지 효과뿐만 아니라 폐기되는 천연 식물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과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optimize the medium composition of Undaria pinnatifida as a pH modulator the growth of Lactobacillus plantarum industrial scale, we analyzed the pH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L. plantarum in basal medium. Subsequently, the medium compositions addition of carbon, nitrogen sources and buffer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폐기되는 미역을 미생물 배양용 배지, 특히, 유산균 배양용 배지에 있어 종래 pH 조절을 위해 완충액으로 첨가되는 합성 화학물질을 대체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도 단가가 낮으면서 유산균 배양이 충분이이루어져 산업적 규모로 활용이 가능한 배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Vijayakumar M, Ilavenil S, Kim DH, Arasu MV, Priya K, Choi KC (2015) In-vitro assessment of the probiotic potential of Lactobacillus plantarum KCC-24 isolated from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forage. Anaerobe, 32, 90-97 

  2. Shen X1, Yi D, Ni X, Zeng D, Jing B, Lei M, Bian Z, Zeng Y, Li T, Xin J (2014)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on production performance, immune characteristics, antioxidant status, and intestinal microflora of bursin-immunized broilers. Can J Microbiol, 60, 193-202 

  3. Ha DM (2002) Food microbiology. Shinkw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21-272 

  4. Christian C, Madec MN, Patrick B (1992) Production of concentrated Bifidobacterium bifidum. J Chem Technol Biotechnol, 53, 189-198 

  5. Open U, Thames P (1992) The effect pH on growth. In vitro cultivation of microorganisms, Jordan Hill, Utterworth-Heinemann Ltd Linacre House, Oxford, UK, p 35-36 

  6. Kim KH, Kim CS (1982) Studies on the manufacture of Underia pinnatifida laver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 I. Histochemical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336-341 

  7. Kim HS (2004) Studies on extracts processing of a by-products of Undaria pinnatifida and growth response to horticultural crops treated with seaweed materials.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Korea, p 36-38 

  8. Erdene G, Eom HJ, Kim BS, Ko JH, Han NS (2011) Mannitol production by Leuconostoc citreum KACC 91348P isolated from kimchi. J Microbiol Biotechnol, 21, 968-971 

  9. Gao X, Qiao S, Lu W (2009) Determination of an economical medium for growth of Lactobacillus fermentum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Lett Appl Microbiol, 49, 556-561 

  10. Hauhan K. Trivedi U, Patel KC (2007) Statistical screening of medium components by Plackett-Burman design for lactic acid production by Lactobacillus sp. KCP01 using date juice. Bioresour Technol, 98, 98-103 

  11. Abdel-Fattah Y (2002) Optimization of thermostable lipase production from a thermophilic Geobacillus sp. using Box-Behnken experimental design. Biotechnol Lett, 24, 1217-1222 

  12. Bas D, Boyaci I (2007) Modeling and optimization I : usability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Food Eng, 78, 836-845 

  13. Chhaya U, Gupte A (2010) Optimization of media components for laccase production by litter dwelling fungal isolate Fusarium incarnatum LD-3. J Basic Microbiol, 50, 1-9 

  14. Adamberg K, Kask S, Laht TM, Paalme T (2003)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a pH-auxostat study. Int J Food Microbiol, 85 171-183 

  15. Herbert D, Elsworth R, Telling R C (1956) The continuous culture of bacteria; a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y. J Gen Microbiol, 14, 601-622 

  16. Janet R Stein (1975) Handbook of phycological methods, culture Methods and growth measurem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24-48 

  17. Takai M, Miyazaki Y, Tachibana H, Yamada K (2014) The enhancing effect of fucoidan derived from Undaria pinnatifida on immunoglobulin production by mouse spleen lymphocytes. Biosci Biotechnol Biochem, 78, 1743-1747 

  18. Itoh M, Kashiwagi M, Arimochi H, Morita K (2012) In vitro cytotoxic effect of ethanol extract prepared from sporophyll of Undaria pinnatifida o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Phytother Res, 26, 191-1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