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노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관련 요인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under Visiting Health Care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5 no.3, 2015년, pp.325 - 332  

이근유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조영식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임순연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충남 A시 보건소 방문보건팀에 등록된 방문건강사업 대상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관련 요인을 조사하여 취약계층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과 구강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기 위한 지역사회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연구되었으며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방문건강사업 대상 노인의 평균 연령은 77.1세였고, 평균 잔존 치아 수는 12.7개, 주관적 건강인지도 평균은 2.27, 일상생활점수 평균은 7.39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91.0%가 1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GOHAI 점수의 평균은 37.36으로 나타났으며 점수가 낮았던 문항은 구강상태에 행복한 경험이 없음, 걱정이 있음, 단단한 음식을 씹을 때 문제가 있음의 순이었다.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GOHAI의 관계는 점심식사 후 칫솔질, 구강위생용품 사용, 무자격자에 의한 진료경험, 구강검진, 스케일링 경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미 충족 치과진료 여부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GOHAI의 총점에서는 잔존 치아수(p<0.001)와 나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요인에서는 남성이 통증과 불편요인에서 점수가 높았고(p<0.05), 74세 이하에서 기능제한요인의 점수가 높았다(p<0.01) 잔존 치아 수에서는 통증과 불편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01). GOHAI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p<0.05), 잔존 치아수(p<0.001), 주관적 건강 인지도(p<0.001)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방문건강사업 대상 노인의 구강건강평가지수 점수는 낮은 편이며 연령, 치아수, 주관적 건강 인지도와 연관성이 부분적으로 확인되었기에, 방문건강대상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치아기능 회복을 위한 보철물 제작 등 틀니 지원 확대를 위한 국가 재원 외에 지방자치단체 예산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장착된 의치 관리 및 구강건강증진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health status of elderly under visiting health care and their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were 300 elderly under visiting health care program over 65 years old in Asan city and they were interviewe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또한 지역 특성에 따라 주민의 요구와 상황에 근거하여 방문건강관리 서비스를 대상자 중심으로 제공함으로써 건강문제 해결 및 자가 관리 역량을 높여 건강한 생활태도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4). 그러나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은 대부분 만성질환에 치우쳐 있어 노인구강관리서비스는 미흡한 실정이다.
  • 또한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자의 구강상태를 조사하고 구강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연구는 Cho와 Jang16)의 연구와, 현존 자연치아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Lim과 Lee17)의 연구, 구강상태를 알아보는 Cho18)의 연구를 제외하고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방문건강관리사업대상 노인의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일상생활수행능력, 구강건강행태 등을 조사하고, GOHAI를 이용하여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 구강보건 프로그램 개발 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한계점은? 또한 지역 특성에 따라 주민의 요구와 상황에 근거하여 방문건강관리 서비스를 대상자 중심으로 제공함으로써 건강문제 해결 및 자가 관리 역량을 높여 건강한 생활태도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4). 그러나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은 대부분 만성질환에 치우쳐 있어 노인구강관리서비스는 미흡한 실정이다. 2007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실시로 구강보건을 담당할 치과위생사 인력이 충원되었으나 방문간호사가 관리하는 대상자수로 사업을 평가하다 보니 간호사 위주의 채용이 이루어져 치과위생사 배치는 그 수가 적어 방문구강건강관리사업 필요도에 충족하지 못하는 실정이다5).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이란? 보건소에서 실시하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은 빈곤, 질병, 장애, 고령 등 건강위험 요인이 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가정방문을 통하여 질병관리, 합병증 예방, 건강증진 등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의뢰 ∙ 연계함으로써 건강격차 해소 및 건강형평성을 제고하는 포괄적 사업으로 취약계층 노인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사업이다3). 또한 지역 특성에 따라 주민의 요구와 상황에 근거하여 방문건강관리 서비스를 대상자 중심으로 제공함으로써 건강문제 해결 및 자가 관리 역량을 높여 건강한 생활태도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4).
GOHAI 하위 요인 중 기능제한, 심리요인, 행동요인이 잔존 치아수와 관련성을 통해 알수 있는것은? GOHAI 하위 요인 중 기능제한, 심리요인, 행동요인이 잔존 치아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점과도 관련이 있어 Park과 Ryu24)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따라서 노인들의 치아상실로 인한 구강기능의 제한은 심각한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하므로 구강기능을 회복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National population data: Old age proportion.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Retrieved May 20, 2015, from http://kosis.kr/nsportalStats/nsportalStats_0102Body.jsp?menuId1&NUM1(2014, December 11). 

  2. Jang HS: Development of monitoring system and activation plan for public health center based home healthcar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pp.23-29, 2006.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ask analysis of managers in the customized visiting health service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3: 165-178, 2012.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s yearbook; visiting health care par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pp.6-83, 2014. 

  5. Shin SJ, Ma DS, Park DY, Jung SH: The status on visiting oral health programs for elders in public health center. J Korean Acad Oral Health 31: 355-365, 2007.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enters for Disease Control: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pp.68-69, 2013. 

  7. Kim NH, Kim HD, Han DH, Jin BH, Paik DI: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al symptoms and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among the elderly in welfare institutions in Seoul. J Korean Acad Oral Health 30: 141-150, 2006. 

  8. Choi JS, Jung SH: Policy planning for oral health promo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pp.17-18, 2000. 

  9. Atchison KA, Dolan TA: Development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J Dent Edu 54: 680-687, 1990. 

  10. Locker D: Measuring oral health: a conceptual framework. Community Dent Health 5: 3-18, 1988. 

  11. Slade GD, Spencer A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Health 11: 3-11, 1994. 

  12. Kim MH, Kim KW, Lee KS: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J Korean Dent Hyg Soc 4: 488-494, 2014. 

  13. Cho YS, Lim SR, Hang HR: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HQoL) and oral health outcome in adults over 50 years old. J Korean Dent Hyg Soc 4: 305-310, 2011. 

  14. Kim AJ, Kang EJ: A study on the oral symptom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of industrial workers. J Korean Dent Hyg Soc 1: 51-58, 2014. 

  15. Lee MS, Shin SJ, Jung SH: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HRQoL) and socio-economic position in the elderly in rural area of Gangwon province. J Korean Soc Dent Hyg 11: 707-715, 2011. 

  16. Cho KS, Jang JH: Clinical predictors related to oral health in elderly for visiting health care. J Korean Soc Dent Hyg 10:983-990, 2010. 

  17. Lim HJ, Lee EK: Factors influencing the number of remaining natural teeth in elderly people visiting dental care service. J Korean Soc Dent Hyg 13: 693-700, 2013. 

  18. Cho KA: Oral health status of aged people who are subject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in rural commun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2007. 

  19. Cho 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equity and socioeconomic positions in Korean adul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009. 

  20. Song MS. Construction of a functional status predictive models for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91. 

  21. Asan-Si, Soonchunhyang University: Community health survey. Asan-Si, Asan, pp.152-158, 2014. 

  22. Shin SJ, Jung SH: A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in elderly populations: validity and reliability. J Korean Acad Oral Health 35: 187-195, 2011. 

  23. Patcharapol S: Appetite loss and related factors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Int J Clin Prev Dent 10: 23-30, 2014. 

  24. Park MS, Ryu SA: Degree of dry mouth and factors influenc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community-dwelling elders. J Korean Acad Nurs 40: 747-755, 2010. 

  25. Hur IK: The effects of dental prostheses to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using social welfare cent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University, Daejeon,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