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개인의 행동 변화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인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을 적용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임신부의 구강건강증진과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2014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8개의 산부인과의원과 1개의 산모교실을 방문한 임신부 총 21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신부의 건강신념 수준은 총 3.61점이었으며 인지된 유익성이 4.37점으로 가장 높았고 자기 효능감 4.04점, 인지된 민감성 3.98점, 인지된 장애성 3.15점 순이었으며 인지된 심각성이 2.91점으로 가장 낮았다. 건강신념요인과 구강건강관련행위의 상관관계로 인지된 심각성은 치아에 좋은 식품섭취 노력, 임신 중 구강검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인지된 유익성은 임신 중 구강검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지된 장애성은 매 간식 후 칫솔질, 회전법 칫솔질, 임신 중 구강검진, 임신 전 구강검진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 효능감은 매 칫솔질 후 구강위생용품 사용, 임신 중 구강검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신념요인으로 인지된 심각성은 임신 중 구강검진, 임신 중 치과치료에, 인지된 유익성은 임신 중 구강검진에, 인지된 장애성은 매 간 식 후 칫솔질, 회전법 칫솔질, 임신 중 구강검진에, 자기 효능감은 매 칫솔질 후 구강위생용품 사용, 임신 중 구강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건강신념요인의 인지된 심각성, 인지된 유익성, 인지된 장애성, 자기 효능감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제시하며, 임신부의 인지된 심각성, 인지된 유익성, 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인지된 장애성을 낮출 수 있는 임신부를 위한 구체적인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data for oral health improvement of pregnant woman and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the oral health related behavior of pregnant woman applying health belief model which is theoretical model of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등을 대상으로 건강신념과 구강건강관련행위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된 바 있으나 임신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의 행동 변화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인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임신부의 구강건강증진과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 사회심리학적 모형의 하나인 건강신념모형은 그 이유를 신념으로 설명한다13).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임신부의 구강건강증진과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의 방법모색에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개인의 행동 변화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인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을 적용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임신부의 구강건강증진과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2014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8개의 산부인과의원과 1개의 산모교실을 방문한 임신부 총 21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 따라서 심층면접, 인터뷰, 사례연구 등의 연구방법을 보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위와 같은 한계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아직 시도되지 않은 건강신념과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한 점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성 치은염을 방치하게 될 경우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가? 2%로 발병률이 증가함을 보고하였다5). 임신성 치은염을 방치하게 될 경우에 치아와 치은 사이에 치주낭이 형성되면서 치주질환으로 빠르게 이행되는데, 치주질환이 있는 임신부는 조산 또는 저체중아 출산의 가능성이 높다3). Siqueira 등6)은 조산의 위험이 1.8배, 저체중아를 출산할 위험이 1.7배 높아진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치주질환을 발생시키는 병원체 및 독소는 전신적으로도 염증반응을 야기하기 때문에 전신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제기되고 있으며7) 최근에는 치주질환과 임신성 고혈압과 단백뇨를 초래하는 자간전증(preeclampsia)의 관련성이 제시되고 있다8).
임산부가 구강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임신기간 동안에 신체적, 정신적으로 많은 변화를 경험하고 임신부와 태아에게 위험을 초래하거나 건강상태를 저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항상 존재한다1). 특히 임신부의 구강은 입덧으로 인한 구강건강관리의 소홀, 잦은 간식의 섭취, 음식에 대한 기호의 변화, 호르몬 변화 등으로 구강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2).
치주질환이 있는 임신부의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의 위험도는 어느 정도로 나타나는가? 임신성 치은염을 방치하게 될 경우에 치아와 치은 사이에 치주낭이 형성되면서 치주질환으로 빠르게 이행되는데, 치주질환이 있는 임신부는 조산 또는 저체중아 출산의 가능성이 높다3). Siqueira 등6)은 조산의 위험이 1.8배, 저체중아를 출산할 위험이 1.7배 높아진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치주질환을 발생시키는 병원체 및 독소는 전신적으로도 염증반응을 야기하기 때문에 전신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제기되고 있으며7) 최근에는 치주질환과 임신성 고혈압과 단백뇨를 초래하는 자간전증(preeclampsia)의 관련성이 제시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a H: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prenatal care of pregnant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99. 

  2. Kim JS, Go EH, Kim CH: A study of oral hygiene status for pregnant women in some areas. J Dent Hyg Sci 6: 101-105, 2006.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ral care during a pregnancy period. 1th e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pp.21-26, 2001. 

  4. Kumar A, Basra M, Begum N, et al.: Association of maternal periodontal health with adverse pregnancy outcome. J Obstet Gynaecol Res 39: 40-45, 2013. 

  5. Hu CZ, Guo JJ, Yang YZ, Wang B, Tao Q, Zhou XY: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pregnancy gingivitis in 700 pregnancy women. Shanghai Kou Qiang Yi Xue 8: 15-17, 1999. 

  6. Siqueira FM, Cota LO, Costa JE, Haddad JP, Lana AM, Costa FO: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low birth weight, and preterm birth: adverse pregnancy outcomes and their association with maternal periodontitis. J Periodontol 78:2266-2276, 2007. 

  7. Seymour GJ, Ford PJ, Cullinan MP, Leishman S, Yamazaki K: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infections and systemic disease. Clin Microbiol Infect 13: 3-10, 2007. 

  8. Boggess KA, Lieff S, Murtha AP, Moss K, Beck J, Offenbacher S: Maternal periodontal disease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for preeclampsia. Obstet Gynecol 101:227-231, 2003. 

  9. Kabaya S, Hwang YS: Unexpected dental common sense you should know, just brushing your teeth well can prevent obesity and dementia. 1st ed. Door Book, Seoul, pp.97-98, 2014. 

  10. Lee SY: The influence that dental hygiene awareness and practice has before and after childbir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2010. 

  11. Lee KH: Influence of awareness of necessity of oral health management during pregnancy and childbirth on oral heal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2012. 

  12. Oh YB, Lee HS, Kim SN: Children's dental health behavior in relation to their mother's socioeconomic factors and dental health beliefs. J Korean Acad Dent Health 18: 62-83, 1994. 

  13. Lee HS: Association between dental health belief and dental health related behavior in mothers and children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 11-30, 1996. 

  14. Lee KS, Mun HL, Kim HL, Jang HS, Lee KM: Health education by applying nursing process. 3th ed. Hyunmoon, Seoul, pp.66, 2006. 

  15. Lee GJ: Factors affecting activities for oral health promo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san, 2011. 

  16. So MH, Choi HJ: Influencing facors of oral health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health belief model. J Korean Soc Dent Hyg 13: 623-629, 2013. 

  17. Song JY: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liefs to oral health practices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in part areas. J Dent Hyg Sci 12: 227-233, 2012. 

  18. Park MS: The effect of oral health behavior by oral health belief of student in dental hygiene department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J Dent Hyg Sci 11: 107-119, 2011. 

  19. Choi YJ: The effects of oral health belief on the oral disease preventive activities and oral health management capacity: focused on the patients visiting a dental clinic.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sin University, Busan, 2012. 

  20. Park JB: The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lief, oral health practice and OHIP-14 amang adult vistors at Gijang public health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Busan, 2013. 

  21. Kim SM: Oral health belief and oral health behavior of taxi driver in Jeonju.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2013. 

  22. Cho SR: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belief, hopelessness, quality of sleep and happiness index according to exercise participation of middle-ag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Yongin, 2012. 

  23. Lee YJ: A study of effect of health belief on health information processing and health behavior inten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013. 

  24. Song JJ: SPSS, AMOS statistical analysis method which is necessary to write paper. 2nd ed. 21c book, Paju, pp.71-106, 2014. 

  25. Park JH: Comparison on the oral care pattern before and after the pregna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2010. 

  26. Hwang HR: The effects of oral health belief influence on the preventive oral health behaviors in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2011. 

  27. Kim YJ: The effect of maternal stress on nutrient intake and pregnancy outcome in pregnant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08. 

  28. Karen G, Barbara KR, Viswanath K: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4th ed. Jossey bass, Hoboken, p.51,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