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주거 대안으로서의 친환경 공동주택 디자인 가이드라인 제시
An Eco-Friendly Residential Housing Design Guideline as an Elderly Housing Alternative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4 no.4 = no.111, 2015년, pp.111 - 123  

이진우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남경숙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eco-friendly residential housing design guideline as an elderly housing alternative' by mixing the concept of a 'senior citizen community' housing environment with the concept of an 'eco-friendly' housing environment, based on the directivity of an elderly housing al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본 연구는 사용자 중심 디자인을 궁극적인 목표로 설정하여 그중 예비노인(은퇴 후 베이비붐 세대)을 위한 주거 대안의 일환으로 친환경디자인 요소와 유니버설디자인 요소를 적용하기 위한기초 연구로서, 추후 단계적으로 이론 및 요소의 보완을 통한 그 연계성과 상호작용 파악, 미래 노인주거 환경의 설계지침 등에 대한 연구로 심화 발전시키고자 한다.
  • * 친환경디자인요소(국내·외 녹색건축 인증제도 비교를 통해 디자인지침 근거의 확보와 연구범위의 제한)와 유니버설디자인요소(본 연구의 연구대상인 노인에 한정)를 적용한 노인주거 공동주택디자인 지침 제시에 있어 건축설계 분야와 실내설계 분야에 해당하는 계획범위 및 계획요소가 다르므로 분야별로 구분하여 다음 과 과 같이 제시하고자 함.
  • 그에 대한 대안의 방향으로 심리적 소외감의 해소와 경제적 비용부담의 분배 등의 대안인 ‘노인 공동체’ 주거환경과 신체적으로 인간에게 직·간접적인 피해와 사회문제로 두드러지고 있는 환경문제의 대안인 ‘친환경’ 주거환경 개념의 융합을 그 목표로 하고자 한다.
  • 이에 본 논문은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하는 유니버설디자인의 관점을 바탕으로 노인 사용자즉, 예비노인인 베이비붐 세대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자 한다. 또한, 생활의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주거공간을 대상으로 연구 대상인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 후 노후를 지낼 수 있는 주거 대안으로서 공동체 형식의 녹색건축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공동주택 분야 전체항목의 비교와 인증제도 내 실내 환경 항목을 보다 구체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공기·온열·음·빛환경, 기타 항목으로 재분류하면 다음 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주거 대안의 공간적 요소의 활용을 통한 가이드라인의 제시를 위하여 본 연구의 취지에 맞도록 일부 용어의 정정을 통해 안전성, 접근성, 쾌적성, 식별성, 편리성, 사회성의 요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가이드라인 구성을 크게 단지계획, 공용공간, 단위세대공간으로 구분하고 단지배치, 옥외공간, 부대복리공간, 주동공용공간, 단위세대공간으로 세부적 공간 단위별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의 모두를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을 바탕으로 예비노인 즉, 은퇴 후 베이비붐 세대를 잠재적 사용자로 설정하여 앞으로의 ‘초고령 사회’ 노년인구를 위한 노인주거대안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자는 이를 ‘노인주거 대안으로서의 친환경 공동주택 디자인 가이드라인’이라 정의하고자 한다.
  • 앞서 제시한 알트만의 주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요소, 기술적 요소, 문화적 요소 이외에 본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노인주거환경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를 추가로 언급하고자 한다.
  • 이를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비교를 통해 재구성된 지침사항과의 연계성을 찾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노인주거 대안으로서의 친환경 공동주택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처럼 국가의 특성을 반영하는 국내·외 녹색건축 인증제도 이외에도 친환경 관련 유사한 제도나 주거공간에 관련된 제도 및 법규, 특정 사용자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제도 및 법규와도 연계하여 다방면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이에 본 논문은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하는 유니버설디자인의 관점을 바탕으로 노인 사용자즉, 예비노인인 베이비붐 세대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자 한다. 또한, 생활의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주거공간을 대상으로 연구 대상인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 후 노후를 지낼 수 있는 주거 대안으로서 공동체 형식의 녹색건축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녹색건축 인증제도들이 갖는 특성에 따라 고유의 목적과 기준, 배점의 방식, 분류방식이 다르므로 직접적인 상호비교는 불가능하나 국제적 녹색건축 인증제도 기준 및 국내의 법규 및 지침에 따른 평가항목의 비교를 기반으로 평가항목의 재분류 및 재구성을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 ‘노인주거 대안으로서의 친환경 공동주택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G-SEED18), 미국의 LEED v419), 영국의 BREEAM, 일본의 CASBEE의 녹색건축인증제도의 공동주택 분야의 항목 간의 비교를 통해 ‘노인주거 대안으로서의 친환경 공동주택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기초자료가 될 녹색건축 개념의 지침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디자인패러다임과의 연계를 통해 도식화하여 이해를 돕고자 한다.
  • 대다수의 유니버설디자인과 노인에 대한 연구는 물리적 환경의 범위에 한정되어 있으나, 본 연구자는 노화에 의한 신체적인 불편을 보완하는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심리적, 경제적, 문화적 환경 요인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유니버설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노인 사용자의 관점과 국가별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비교를 통한 친환경 공동주택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늘날 지속 가능한 거주환경에 대해 관심이 많아지게 된 배경은? 또한, 급격한 인구구조변화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예고하고 있으며 그와 연계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환경 위기는 미래기후변화로 인해 인간에게 직·간접적 피해로 이어질까 우려되고 있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의 심각성, 지구자원의 에너지 고갈현상초래 등의 대안으로 친환경, 녹색건축 인증제도 등 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개발개념이 고조되고 있다. 그로 인해 베이비붐 세대가 속할 예비 노인뿐만 아니라 인간 모두가 살아가게 될 자연환경에 대한 경각심과 지속 가능한 거주환경의 방향성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노인주거 대안으로서의 친환경 공동주택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인 노인주거 대안의 하나로 ‘노인주거 대안으로서의 친환경 공동주택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노인주거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그를 바탕으로 노인주거 대안인 친환경 공동체의 방향성 제시가 우선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친환경 주거환경의 제시를 위한 근거로써 국내·외 녹색건축 인증제도 평가항목에 대한 이해가 보다 구체적으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유니버설디자인의 기본철학은 무엇인가? 일반인뿐만 아니라 신체적 제약이 따르는 노인과 장애인들을 위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유니버설디자인의 기본철학인 ‘모두를 위한 디자인’을위해서라면, ‘모두’를 위한 디자인이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은 지속하여야 할 것이고, 이 고민은 미래에 계속해서 진행될 유니버설디자인 연구들이 다양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수행해가면서 풀어야 할 과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Rowe, J.E. & Kaha, R.I., Successful aging, Random House, New York, 1998 

  2. 김태일, 노말라이제이션의 이념실천을 위한-고령화 사회의 주거공간학, 보고사, 2008 

  3. 권영걸, 공간디자인 16강, 도서출판 국제, 2001 

  4. 곽경숙, 남경숙, 신경주, 이민아, 이영심, 장상옥, 최정신, 황연숙, 신개념 주거학, 기문당, 서울, 2005 

  5. 삼성물산 건설부문 기술연구센터,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기술연구소, LEED GUIDE BOOK : LEED인증절차를 위한 안내서, 시공문화사, 2010 

  6. 서상철, 노인복지론, 홍익재, 서울, 2004 

  7. 손해식, 안영면, 조명환, 이정실, 현대여가사회의 이해, 백산출판사, 서울, 2001 

  8. 이인수, 노인복지론, 양서원, 서울, 2001 

  9. 이연숙, 미래공간과 디자인(21세기 건설 환경문화와 주거복지패러다임),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10. 이연숙, 실내환경심리행태론,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0 

  11. 이연숙, 유니버설디자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12. 주거학연구회, 넓게 보는 주거학, 교문사, 서울, 2005 

  13. 한국LEED연구소, LEED 미래의 건축_저탄소 녹색 성장의 친환경 건축, 새로운 사람들, 서울, 2010 

  14. 한국LEED연구소 브래드 박, LEED AP_친환경 건축 전문가, 허원미디어, 2011.2, 서울 

  15. 공유리, 건축물의 친환경성 평가를 위한 통합평가모델 제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15 

  16. 김동일, 녹색건축인증제도의 환경성능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경북대 박사논문, 2015 

  17. 방문선, 한국과 미국 녹색건축 인증제도 비교분석을 통한 호환성 연구-공동주택평가를 중심으로, 건국대 석사논문, 2015 

  18. 건설교통부, 노인가구 주택개조 매뉴얼, 건설교통부, 2007 

  19. 고령화 관련 국제 행동계획과 고령자를 위한 유엔원칙 권고 제19조 및 22조, 2002 

  20. 노희진, 탄소배출권 거래 법안 통과의 의의와 향후 발전 방향, 자본시장Weekly 2012-20호, 2012 

  21. 삼성경제연구소, 베이비붐 세대 은퇴의 파급효과와 대응방안, 2010 

  22. 한상철, 진격의 5060세대, Active Senior를 주목하라, KAA FOCUS, 2013 

  23. 김보애, 이연숙, 국내 유니버설 디자인 연구동향에 대한 내용분석 연구, 디자인융복합연구, 13권 3호, 2014 

  24. 김보애, 이연숙, 국내 장애인주택 디자인가이드라인 내용분석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Vol.21 No.1, 2015 

  25. 김정곤, 방문선, 한국과 미국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비교분석을 통한 호환성 연구-공동주택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6권 2호, 2014 

  26. 신은미, 이병호, 신성우, 친환경 근린주구 인증제도 개발을 위한 국내외 인증제도 비교연구 : 탄소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Vol.12 No.3, 2013 

  27. 심재명, 김강수, CASBEE 평가분석을 통한 일본 주요도시 집합주택의 성능 동향 및 국내 친환경 건축 인증기준과의 비교 검토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Vol.13 No.2, 2013 

  28. 우미경, 박태원, 액티브 시니어 계층을 고려한 주택단지 계획기준 연구-서울시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Vol.14 No.7, 2014 

  29. 오찬옥, 초고령 사회 대응 한국형 신공동체 모형 개발을 위한 거주자간 교류증진을 위한 근린환경디자인 지표개발,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 2013 

  30. 이상호, 박소임, Universal Design 원칙에 근거한 고령친화주거지의 평가 및 개선방향 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31권 제2호, 2015 

  31. 이연숙, 이수진, 민병아, 권현주, 오소연, 노인의 지속가능한 삶을 지원해주는 부엌제품의 유니버설디자인 특성 분석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Vol.6 No.4, 2006 

  32. 이연숙, 이소영, 곽윤정, 김미선, 미국 유니버설 디자인 모델주택의 환경행태학적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Vol.6 No.4, 2006 

  33. 이정민, 인간중심디자인의 유형 및 사용자 욕구단계와의 연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3, 2013 

  34. 정경희, 정은지, 남현주, 최혜지, 고령화에 관한 마드리드 국제행동계획(MIPAA) 이행실태 및 평가-연구보고서 2012-47-1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35. 한균, 권순정, 고령사회에 대응한 고령자주택의 계획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Vol.19 No.2, 2013 

  36. 황원경, 신경주, 한국 노인주택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노년학, 제20권 3호, 2000 

  37. BREEAM http://www.bre.co.uk/ 

  38. CASBEE http://www.ibec.or.jp/CASBEE/ 

  39. LEED http://www.usgbc.org/ 

  40. G-SEED http://www.g-seed.or.kr/ 

  41.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42. 국토교통부 http://stat.molit.go.kr/portal/cate/statView.do 

  43. 건축물에너지소비총량제 http://annews.co.kr/100123037053 

  44. 경성대학교 유니버설디자인연구센터 UDRCwww.udrc.or.kr 

  45.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의 유니버설디자인센터 The Center for Universal Design desigen.ncsu.edu/cud/about_us/about_us.htm 

  46. 자본시장 연구원 http://www.ksri.org/publish/weekly_list.asp?syear2012&zno311 

  47. 한국재활복지대학 한국유니버설디자인센터 KUDC www.kudc.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