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들레 열수 추출물을 첨가한 분쇄돈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ound Pork Meat containing Hot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5 no.4, 2015년, pp.651 - 659  

최영준 (대구공업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계열) ,  박경숙 (대구공업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계열) ,  정인철 (대구공업대학교 호텔외식조리계열)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민들레 추출물이 분쇄돈육의 품질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분쇄돈육은 돈육등심과 지방에 냉수 10% 첨가(대조군), 민들레 잎 추출물 10% 첨가(DL), 민들레 뿌리 추출물 10% 첨가(DR), 그리고 전체 부위 추출물 10% 첨가(DW)하여 네 종류를 제조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대조군, DL, DR 및 DW가 각각 2,07, 6.49, 3.85 및 5.77 mg/100 g으로 DL이 다른 분쇄돈육들보다 더 높았다. 명도($L^*$) 및 황색도($b^*$)는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적색도($a^*$)는 DL이 가장 높았다. pH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VBN 함량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BARS는 대조군, DL, DR 및 DW가 각각 0.52, 0.20, 0.31 및 0.24 mg MA/kg으로 DL에서 가장 낮았다. 생육 및 가열육의 수분, 단백질, 지방 및 회분함량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분쇄돈육의 수율, 보수력, 수분 보유율, 지방 보유율 및 직경 감소율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343.65~2,395.39 ppm으로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맛, 조직감,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풍미는 DL이 가장 우수하였다. 민들레 추출물 첨가의 경우, 다른 부위보다 잎 추출물의 첨가가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으며, 적색도와 관능적 풍미를 개선하고, 지방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육제품의 천연 항산화제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 of dandelion leaf, root and whole part extract on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round pork meat. Four types of ground pork were evaluated: 10% ice water added (control), 10% dandelion leaf extract added (DL), 10% dandel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식품에 적용한 사례는 민들레 추출액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개발(Song NE et al 2013), 민들레 약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Lee JB et al 2012), 민들레 다당류가 새우의 품질변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Wang HB 2014), 민들레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Yoo KM et al 2005), 민들레 분말 첨가 요쿠르트의 품질 특성(Jung YH et al 2011) 등 민들레를 첨가한 분쇄육제품에 대한 연구 사례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민들레 잎, 뿌리 및 전체 부위의 열수 추출물을 분쇄돈육 제조과정에 첨가하고, 품질 및 관능특성을 검토하여 기능성 육제품 제조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육제품 산패 억제를 위한 페놀성 합성산화방지제의 종류는? 소비자들은 소득이 증대하면서 건강한 식생활을 선호하고, 매스컴 발달로 합성식품첨가물의 위해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불법 첨가물 사용에 대해 불신하고 있어 천연 첨가물로 기능성을 부각시킨 가공식품에 대하여 선호도가 높다(Choi YJ et al 2012). 특히 육제품은 지질함량이 높아 가공 및 유통과정 중의 산패를 억제하기 위하여 BHA, BHT 등의 페놀성 합성산화방지제를 사용하고 있다(Brettonnet A et al 2010). 또한,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하여 합성보존료로 sorbic acid(Montesinos-Herroro C et al 2009), 육색을 발현시키기 위한 발색제로는 sodium nitrite(Zhang X et al 2007)를 사용하고 있지만,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이들이 인체에 유해하다는 인식들이 팽배하다.
분쇄육제품의 장점은? 육제품 중에서 분쇄육제품은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시장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업계에서도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천연물질을 이용한 제품의 생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민들레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우리나라는 민들레(T.
국화과에 속하는 민들레에 함유된 약리작용이 있는 성분은? lae- vigatum) 등이 자생하고 있다(Min KC & Jhoo JW 2013). 민들레에는 페놀화합물, sesquiterpene 화합물, phytosterol류, flavonoid류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약리작용이 있다. 특히 육제품에서의 페놀화합물은 항산화작용이 있으며, metmyoglobin의 형성을 억제하여 색깔을 개선시킨다(Huang B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n JH, Grun IV, Mustapha A (2007) Effects of plant extract on microbial growth color change and lipid oxidation in cooked beef. Food Microbiol 24: 7-14. 

  2. Aleson-Carbonell L, Fernandez-Lopez J, Perez-Alvarez JA, Kuri V (2005) Characteristics of beef burger as influenced by various types of lemon albedo. Innovative Food Sci Emerging Technol 6: 247-225. 

  3. Anderson ET, Berry BW (2001) Effects of inner pea fiber on fat retention and cooking yield in high fat ground beef. Food Res Inter 34: 689-694. 

  4. AOAC (197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s. Association of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5. Brand JG, Bryant BP (1994) Receptor mechanisms for flavour stimuli. Food Qual Prefer 5: 31-40. 

  6. Brettonnet A, Hewavitarana A, Dejong S, Lanari MC (2010) Phenolic acids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anola extracts in cooked beef, chicken and pork. Food Chem 121: 927-933. 

  7. Buege AJ, Aust SD (1978) Microsimal lipid peroxidation, In Methods in Enzymology, Gleischer S. and Parker L. (ed.), Academic Press Inc., New York pp. 302-310. 

  8. Calkins CR, Hodgen JM (2007) A flesh look at meat flavor. Meat Sci 77: 63-80. 

  9. Choi YJ, Park HS, Park KS, Lee KS, Moon YH, Kim MJ, Jung IC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y containing lotus root and leaf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33-40. 

  10. Dias MI, Barros L, Alves RC, Oliveira MBPP, Santos-Buelga C, Ferreira ICFR (2014) Nutritional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of wild Taraxacum sect. Ruderalia. Food Res Inter 56: 266-271. 

  11. El-Magoli SB, Laroia S, Hansen PTM (1996) Flavor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low fat ground beef patties formulated with whey protein concentrate. Meat Sci 42: 179-193. 

  12. Fu X, Lin Q, Xu S, Wang Z (2015) Effect of drying methods and antioxidants on the flavor and lipid oxidation of silver carp slices. LWT-Food Sci Technol 61: 251-257. 

  13. Han EK, Lee JY, Jung EJ, Jin YX, Chung CK (2010)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officina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580-1586. 

  14. Hoffman K, Hamm R, Bluchel E (1982) Neues uber die best immung der wasserbindung des fleisches mit hilfe der filterpapierpress methode. Fleischwirtschaft 62: 87-93. 

  15. Huang B, He JS, Ban XQ, Zeng H, Yao XC, Wang YW (2011) Antioxidant activity of bovine and porcine meat treated with extracts from edible lotus (Nelumbo nucifera) rhizome knot and leaf. Meat Sci 87: 46-53. 

  16. Huff-Lonergan E, Lonergan SM (2005) Mechanism of water holding capacity of meat: The role of postmortem biochemical and structural changes. Meat Sci 71: 194-203. 

  17. Jung YH, Choi HY, Bae IH (2011) Effects of dandelion (Taraxacum mongolicum) powder on quality properties yoghurt. Korean J Dairy Sci Technol 29: 41-47. 

  18. Korean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2009) Food Code. Munyoungsa, Seoul, pp. 212-251. 

  19. Lee HJ, Yoo BS, Byun SY (2000) Differences in phenolic acids between Korean ginsengs and mountain ginseng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5: 323-328. 

  20. Lee JB, Lee JS, Kim MH (201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Yakju fermented with different ratios of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root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834-839. 

  21. Lee KS, Kim JN, Jung IC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alatability of ground pork meat containing lotus leaf and root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Sci 22: 851-859. 

  22. Lindahl G, Enfat AC, von Seth G, Joseli A, Hedebro-Velander I, Andersen HJ, Braunschweig M, Andersson A, Lundstrom K (2004) A second mutant allele (V1991) at the PRKAG3 (RN) lotus-II. Effect on colour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Meat Sci 66: 621-627. 

  23. Min KC, Jhoo JW (2013) Antioxidant av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Taraxacum officinale extracts on nitric oxide produ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206-212. 

  24. Montesinos-Herroro C, del Rio MA, Pastor C, Brunetti O, Palou L (2009) Evaluation of brief potassium sorbate dips to control postharvest Penicillium decay on major citrus species and cultivars. Postharvest Biol Technol 52: 117-125. 

  25. Qian L, Zhou Y, Teng Z, Du CL, Tian C (2014) Prepar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oligosaccharides derived from dandelion. Inter J Biologic Macromole 64: 392-394. 

  26. Raharjo S, Sofos JN (1993) Methodology for measuring malonaldehyde as a product of lipid peroxidation in muscle tissue: A review. Meat Sci 35: 145-169. 

  27. Schutz K, Carle R, Schieber A (2006) Taraxacum-A review on its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rofile. J Ethnopharmacol 107: 313-323. 

  28. Shahidi F, Wanasundara PK (1992) Phenolic oxidant. Crit Rev Food Sci Nutr 32: 67-103. 

  29. Simandi B, Kristo ST, Kery A, Selmeczi LK, Kmecz I, Kemeny S (2002)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dandelion leaves. J Supercritical Fluids 23: 135-142. 

  30. Song NE, Yoo HD, Baik SH (2013) Preparation of functional beverage by using dandelion (Taraxacum mongolicum H.) extracts and its functional compon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733-741. 

  31. Wang HB (2014) Effect of dandelion polysaccharides on the retardation of the quality changes of white shrimp. Inter J Biologic Macromole 64: 205-208. 

  32. Williams CA, Goldstone F, Greenham J (1996) Flavonoids, cinnamic acids and coumarins from the different tissues and medicinal preparations of Taraxacum officinale. Phytochemistry 42: 121-127. 

  33. Yoo KM, Kim SH, Chang JH, Hwang IK, Kim KI, Kim SS, Kim YC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leaves and root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10-116. 

  34. Zhang X, Kong B, Xiong YL (2007) Production of cured meat color in nitrite-free Harbin red sausage by Lactobacillus fermentum fermentation. Meat Sci 77: 593-5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