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analysis of NCS-based Curriculum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8, 2015년, pp.69 - 82  

고경임 (문경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을 교육학 이론의 관점에서, 특히 Tyler의 과학적 교육과정과 이를 둘러싼 논쟁을 검토하여 최근 전문대학교에 전면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NCS 기반 교육과정이 가진 한계와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은 산업체 인력수요와 대학 인재양성 간의 불일치를 해소하고 능력중심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국정과제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둘째, 청년실업의 확대, 산업인력의 고령화, 학력차별의 구조적인 문제 등을 갖고 있는 고용시장에서 인력수요 불일치 문제가 전문대학의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으로 해결될 수 있을지에 대한 비판적 문제의식을 제기한다. 셋째, NCS 기반 교육과정이 이론적 배경으로 하고 있는 Tyler의 과학적 교육과정개발 절차와 핵심요소를 둘러싼 정당성과 이데올로기에 대해 많은 논쟁이 이루어졌고, 그 한계가 지적되어 새로운 교육과정 패러다임으로 대체되고 있다는 점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된다. 넷째, 다양한 한계 내에서도 NCS 기반 교육과정의 도입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력수요의 불일치 문제와 관련한 사회 경제 정치적 관계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하여 해결점을 찾아야하고, 직무 능력과 표준에 대한 규정의 주체 문제, 창의적 융복합 시대에서 NCS의 사회적 유효성 문제, 교육과정의 정체성과 이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관점 및 실천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backgrounds and meaning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that is employed by Korean colleges for managing performance-bas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NCS-based curriculum was primarily adopted to enhance students' busin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CS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어떤 한계를 가지고 있는가? 전문계 고교 대학에 NCS의 적용 실태 및 다양한 직무분야의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절차 및 활용방안,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사역량강화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기존 연구들의 경향은 NCS의 교육 적용 및 필요성에 대해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효율적 실천을 위한 실용적 연구로 진행됨에 따라 관련된 교육학 이론의 탐색과 논쟁, 적용의문제점과 그 원인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이란 무엇인가? NCS 기반 교육과정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NCS란 용어의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이란 ⌜자격기본법⌟ 제2조제2호 (국가직무능력표준 규정)에 근거하여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지식 기술 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문별 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을 말한다. NCS는 개별 산업체가 아닌 산업별 인적자원협의체(SC) 또는 대표기구가 개발하고 국가가 인증, 고시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inistry of Education, Developmental Plans for 2-Year Colleges, pp.1-52, 2013. 

  2. Employment Information Institute, Forecasting Manpower Demand and Supply 2011-2020, 2012. 

  3. J. G. Kwuan, "Directions of Curriculum Management for Substantial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for Substantiality of Vocational Education, KCCE, pp.3-25, 2012. 

  4. M. H. Jang, "Development of NCS-based High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edpolicy network, pp.6-9, 2015.3.18. 

  5. J. Park, "An Analysis of a Specialized Program Development Plan and Consulting Results, 2-Year College Association for Specialization Program Development", Council for Advancement of Specialized College, pp.19-40, 2015. 

  6. http//www.ncs.go.kr 

  7. D. H. Kim,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NCS-based Curriculum, KCCE, pp.1-22, 2015. 

  8. Ministry of Education, NRF, Guidline of NCS-bsed Curriculum, 2015. 

  9. B. S. Cho, A Proposal for Educational System Reform for 2-Year Colleges, 2-Year College Policy Forum, KOHVEA, pp.3-50, 2013. 

  10. S. J. Kim, Building NCS-based Curriculum and Evaluation System, KRIVET, p.42, 2014. 

  11. H. S. Kim, The Present of NCS Implementation and the Road Map of Ministry of Education, Vocational Education Policy Discussion Association-The Present and Future of NCS-The Saenuri Party, The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NPAD) Party, Association of Korean Vocational Education, pp.3-21, 2014. 

  12. M. Early & K. Rehage ed. Issues in Curriculum, NSSE, 1999. 

  13. S. B. Park, Understanding of Curriculum Study- Historical Approaches-, YSWPUB, p.147, 2001. 

  14. H. J. Kim, "A review on the Tyler Rationale: In the context of a 'teacher-proof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Vol. 31, No. 3, pp.1-26, 2013. 

  15. K. C. Yoo, Understanding of Curriculum, kyoyookbook, p.44, 2001. 

  16. C. H. Park, "The Nature and Limitation of Evaluation for Scholastic Ability Implied in Curriculum Theory by R. W. Tyler",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Vol. 18, N0. 2, pp.23-42, 2005. 

  17. H. W. Lee, Curriculum Exploration, Pakyoungsa, p.95, 2010. 

  18. B. H. Kim, G. Y. Jung, S. H. Cha, E. S. Eun, Understanding of Curriculum, Knowledge Community, p73, 2011. 

  19. J. C. Kim, Curriculum kyoyookbook, pp.199-200, 2013. 

  20. M.Apple, Cultural politics and education, Columbia universty, 1996. 

  21. J. S. Nam, "Crisis and Structural Adjustment of Popular Colleges", A Paper Presentation at Max Comunale pp.1-8, 2015. 

  22. J. P. Lee, A Discussion on Educational System Reform and Diversification for 2-Year Colleges, 2-Year College Policy Forum, KOHVEA, pp.103-108, 2013. 

  23. G. S. Lee, Vocational Education in Australia and Implications, edpolicy network, pp.18-20, 2015.3.18. 

  24. M.Apple, Official knowledge: Democratic eduction in a conservative age, Routledge, 199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