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건강조사 지표를 이용한 고지혈증 유병율의 지역 간 변이와 위험 요인의 융복합적 분석
Convergence analysis for geographic variations and risk factors in the prevalence of hyperlipidemia using measures of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8, 2015년, pp.419 - 429  

김유미 (상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강성홍 (인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지혈증 유병률의 지역 간 변이 정도와 위험 요인을 규명하여 지역별 특성에 맞는 고지혈증 관리 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의 2012년도 시군구 지역사회건강조사 249건의 자료를 이용하여 단순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등의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249개 시군구 지역의 고지혈증 유병률은 9.2%였고, 변동계수는 28.3%였다. 남동부 해안지역에 비해 수도권과 내륙지방의 고지혈증 유병률이 높았다. 의사결정나무 모형회귀모형에 비해 예측력이 좋았는데, 지역의 임금근로자 비율, 스트레스 인지율, 고혈압, 협심증, 관절염 유병률이 높은 지역일수록 고지혈증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 역학적 관점에서 지역사회의 개입이 가능한 지점을 중심으로 고지혈증 유병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 how the regional prevalence of hyperlipidemia is affected by health-related and socioeconomic factors with a special emphasis on geographic variations. We focus on the likelihood of hyperlipidemia as function of various region-specific attributes. We analysis a data set at the level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개인 수준의 자료를 이용한 전통적 역학연구의 관점이 아닌 지역 수준의 지표를 이용한 사회 역학적 관점에서 지역 간 건강상태의 변이를 확인하고 건강 수준의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보건 사업을 수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건강 증진 사업이 가능한 단계, 즉 개입 지점을 사회·물리적 환경, 사회·심리적 환경, 개인의 건강행동, 생물학적 영향(건강상태) 단계라는 경로로 구분하였을 때[20]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의 지리적 위치, 임금근로자의 비율 등과 같은 사회·물리적 환경, 스트레스 인지율과 같은 사회·심리적 환경과 고혈압, 협심증, 관절염과 같은 복합적 유병 상태가 지역의 고지혈증 유병률을 낮추기 위한 개입 지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시군구 지역의 사회인구 환경, 건강행태, 건강상태(질병이환)에 대한 지역별 지표를 이용하여 고지혈증 유병률의 지역 간 변이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고지혈증 유병률은 고혈압, 당뇨병, 관절염 등의 만성질환에 비해 지역 간 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이를 위해 향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확장하여 사회문화의 거시적 수준뿐만 아니라 유전자와 같은 미시적 수준까지 광범위한 자료의 통합이 필요하다. 본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시군구 지역사회라는 집단수준에서의 고지혈증 유병률의 변이에 미치는 위험요인을 평가하고 개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심혈관질환의 선재 질환인 고지혈증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위험 요소를 사회 역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따라서 개인중심의 접근법이 실효성이 높지 않고, 개인별로 치유를 한다고 하더라고 계속해서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다는 사실은 사회적 요인을 통제하는 방식을 통합하여 접근해야함을 시사한다[10].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고지혈증 유병률의 지역 간 변이를 분석하기 위해 지금까지 개인수준의 자료를 이용한 전통적 역학모형의 접근방식을 전환하여 지역사회 수준의 지표를 이용하여 지역 간 변이를 확인하고 집단적 관점에서 고지혈증을 예방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49개 시군구 지역의 고지혈증 유병률은?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의 2012년도 시군구 지역사회건강조사 249건의 자료를 이용하여 단순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등의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249개 시군구 지역의 고지혈증 유병률은 9.2%였고, 변동계수는 28.3%였다.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는 무엇이 있는가? 3명 대비 42%가 증가하였다[3].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는 고혈압,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식이 및 비만, 신체활동 등으로 알려져 있으나, 생활습관의 교정과 선재 질환의 관리로 예방이 가능하다[4]. 선재 질환 중 특히 고지혈증은 비만, 술, 당뇨병 등이 원인으로 식이와 생활습관만 개선해도 바람직한 콜레스테롤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질병 예방을 위한 전통적 역학모형의 대표적인 예는? 국가적으로 질병 예방을 위한 지금까지의 활동은 전통적 역학모형의 결과인 개인수준의 위험인자를 통제하는 방식으로 접근하여 왔다. 대표적인 예로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 추정을 위한 Framingham 모형은 1976년 Kannel 등에 의해 로지스틱 모형을 제시한 것이 최초의 연구로 이후 계속 발전되어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9]. 그러나 이렇게 밝혀진 위험요인은 관상동맥질환 발생의 약 40%만을 설명할 수 있다고 보고되는데[10], 이것은 개인수준의 모형과 척도에 과잉집중한 결과로서 건강행태에 영향을 주는 사회물리적 환경이 간과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status report on noncommunicable diseases 2010.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2. C. D. Mathers, D. Loncar, Projections of global mortality and burden of disease from 2002 to 2030, PLoS Med, Vol. 3, No. 11, e442, 2006. 

  3. Statistics Korea, Anual report of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Daejeon: Ministry of Statistics, 2014. (Korean) 

  4. World Health Organization, Cardiovascular diseases(CVDs) fact sheet $N^{\circ}317$ ,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7/en/, February 1, 2015. 

  5. R. H. Nelson, Hyperlipidemia a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Prim Care, Vol. 40, No. 1, pp. 195-211, 2013.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a. (Korean) 

  7. R. Ferrari, I. Ford, N. Greenlaw, J. C. Tardif, M. Tendera, H. Abergel, K. Fox, D. Hu, S. Shalnova, P. G. Steg, Geographical variations in the prevalence and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outpatients with CAD: data from the contemporary CLARIFY registry, Eur J Prev Cardiol., 2014. [Epub ahead of print] 

  8. OECD, Geographic variations in health care: What do we know and what can be done to improve health system performance? OECD Health Policy Studies, OECD Publishing, 2014. 

  9. Korean Society of Lipidology and Atherosclerosis, Treatment guidelines for dyslipidemia, Seoul: Korean Society of Lipidology and Atherosclerosis, 2009. (Korean) 

  10. L. F. Berkman, I. Kawachi, M. M. Glymour, eds., Social Epidemiology, Second edition,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Korean Community Health Statistics at a glance 2008-2012, Os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3. (Korean) 

  12. Y. Liu, G. Salvendy, Visualization support to better comprehend and improve decision tree classification modelling process: A survey and appraisal, Theoretical Issues in Ergonomics Science, Vol. 8, No. 1, pp. 63-92, 2007. 

  13.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JAMA, Vol. 285, pp. 2486-97, 2001. 

  14. R. Alan, Hyperlipidemia, NYU Langone Medical Center, 2014 EBSCO Publishing. http://www.med.nyu.edu/content?ChunkIID11767, December 15, 2014. 

  15. Medscape, Hypertriglyceridemia, http://www.medscape.com/, December 14, 2014. 

  16. M. Marmot, M. J. Shipley, Do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mortality persist after retirement? 25 year follow up of civil servants from the first Whitehall study, BMJ, Vol. 313, pp. 1177-80, 1996. 

  17. N. Yoshimura, S. Muraki, H. Oka, S. Tanaka, H. Kawaguchi, K. Nakamura, et al., Mutual associations among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A 3-year follow-up of the ROAD study, Mod Rheumatol, Vol. 20, pp. 1-11, 2014. [Epub ahead of print] 

  18. I. Navarro-Millan, S. Yang, S. L. DuVall, L. Chen, J. Baddley, G. W. Cannon, et al., Association of hyperlipidaemia, inflammation and serological status and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data from the National Veterans Health Administration, Ann Rheum Dis, 2015. [Epub ahead of print] 

  19. Y. K. Sung, S. K. Cho, C. B. Choi, S. Y. Park, J. Shim, J. K. Ahn, et al., Korean Observational Study Network for Arthritis (KORONA): establishment of a prospective multicenter cohort for rheumatoid arthritis in South Korea. Semin Arthritis Rheum, Vol. 41, No. 6, pp. 745-51, 2012. 

  20. M. Marmot, Multilevel Approaches to Understanding Social Determinants. In Social Epidemiology, Edited by Berkman and Kawachi: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21. B. Whalley, D. R. Thompson, R. S. Taylor,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coronary heart disease: cochran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 J Behav Med, Vol. 21, No. 1, pp. 109-21, 2014. 

  22. Ministry of Labor, Community education mannual of cerebral and cardiovascualr disease prevention, Seoul: Minstry of Labor, 2009. (Korean) 

  23. G. Kwon, D. Lim, E. Park, J. Jung, K. Kang, Y. Kim, H. Kim, S. Cho, Assessment of applicability of standardized rates for health state comparision among areas: 2008 community health survey, J of Per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 43, No. 2, pp. 174-184, 2010.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