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을 통한 문화재복원 융합 확장성 연구
A Research on Expandability of Cultural Assets Restoration Blend using Virtual Real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8, 2015년, pp.465 - 472  

오승환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엔터테인먼트디자인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의 가상현실 기술은 매체적 특성인 3차원 방식의 다감각적 정보의 구현을 바탕으로 관찰 조작형, 실험 활동형, 학습 안내형, 현장문제 해결형 등의 기능성 유형 분류로 활용되고 있다. 가상현실을 통하여 덕수궁의 문화재 복원을 J. Keller의 ARCS 모델 이론과 접목시키고 문화유산과 함께 역사의 현장에 살아갔던 사람들의 삶을 시나리오기반 씬 연출을 통해 재현하는 현장성 복원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장성 복원 씬을 3가지 타입으로 요약하고 다중 씬 연출을 구분하여 정리 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실제 프로토타입까지 완성하여 제시하지 못한 부분과 하우징의 디테일한 부분이나 3D 오디오와의 연계 등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못한 부분이 존재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시대의 기술과 지식으로 성취하고자 하는 가상현실 문화재 복원의 융합 확장성 연구는 역사적, 문화적, 교육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currently used classifying functional types such as the observation operation type, the experimental activity type, the learning information type, the field problem-solving type, and other different types, based on the media's characteristics implementing 3D form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의 특성상 실제 콘텐츠 제작까지는 비용과 시간 등의 제약이 존재하기에 문화재복원의 “현장성‘ 개념을 구체화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고자 한다.
  • 문화유산 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의 활용의 중요성은 이미 많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지만, 길지 않은 경험과 시작 단계의 기술로 인해 단편적 관람이 중심이 되는 극장형 체험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비교하여,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문화유산의 복원에 그치지 않고, 문화유산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한 시대의 문화를 재현함에 있어 사람들의 일상적 삶에 동일한 무게중심을 둔다. 따라서 융복합 개념의 가상현실 복원과 스토리형 네러티브를 포함하여, 문화재의 시대별 변화 과정을 3D기술로 조망할 수 있는 동시에 대중들의 삶의 모습을 영상으로 재현하는 확장성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와 의의를 갖는다 하겠다.
  • 그러나 오랜 시간 속에서 불가피하게 문화재 현장과 함께 원형을 부분적으로 훼손당하거나, 전체가 사라져버린 문화재들의 현장을 물리적으로 복원하는 것은 공간적, 기술적, 경제적으로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고 사료된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가상현실 디바이스 중에 오큘러스 리프트(Oculus Rift)1)를 통해 이처럼 물리적으로 원형 복원이 불가능에 가까운 문화유산들의 고증을 바탕으로 3D 컴퓨터그래픽기반 가상현실로 복원하고, 가상현실로 복원된 문화유산 내의 특정한 장소에서 벌어진 역사적 사건이나 일상적 삶을 스토리 기반의 영상물을 통해 재현(현장성 복원)하는 과정에 있어서 다양한 확장 가능성을 제안 하고자 한다. 본 연구범위로서 문화재 대상은 덕수궁을 선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큘러스와 비교하여 삼성기어VR의 특징은 무엇인가? 오큘러스 리프트는 75Hz의 화면갱신 비율과 1280X720의 해상도, 자이로센서(Gyroscope), 가속도계(Accelerometer), 자력계(Magnetometer)를 장착하였으며 위치 추적(Positional Tracking)이 가능한 카메라를 통해 오큘러스 리프트를 착용한 유저의 머리 위치를 추적해 움직임에 반영함으로써 보다 몰입도 높은 가상현실 환경구현 이 가능하다. 삼성기어VR은 오큘러스와는 다르게 2560X1440 해상도를 지닌 갤럭시 노트4를 장착하여 선이 없는 환경으로 차별화 시켰으며 구글 카드보드는 고가의 HMD장비를 대신할 수 있는 종이 전개도를 공유함으로써 저가형 가상현실을 체험 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4)하였다. 기타 마이크로소프트의 홀로렌즈처럼 증강현실형 HMD도 선보임에 따라 연구의 목적에 맞는 헤드셋의 선택도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가상현실 문화재 현장성 복원의 연구는 왜 필요한가? 가상현실 문화재 현장성 복원은 다음과 같은 주요한 연구 필요성을 가진다. 첫째로 학술자료 기록 및 보존의 기능이다. 단기간 내 물리적 복원이 불가능한 문화유산의 자료를 디지털로 아카이빙하여 후대 복원의 학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복원의 타당성과 계획이 존재하지만 당장의 실현이 어려운 경우, 본 연구과정을 통해 문화유산의 디지털 아카이빙을 실현할 수 있다. 둘째로 역사적 사실성 증대이다. 역사의 대중화를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채택되는 수단 중 하나인 영상분야는 역사 교육을 위해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을 넘어서 허구의 역사를 창조하며 부정확한 이미지로 과거의 사실을 왜곡하는 심각한 문제를 낳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상업적 흥행 등 특정 목적을 위해 ‘만들어지는’ 역사 이미지를 지양(止揚)하면서, 책, 서류 등 전통적인 사료를 통해 접근하기 힘든 역사적 사실을 영상언어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영상언어에 익숙한 젊은 층에게 올바른 역사인식을 심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로 문화유산에 대한 접근성 제고를 들 수 있다. 현재의 가상현실 기술은 매체적 특성인 3차원 방식의 다감각적 정보의 구현을 바탕으로 관찰 조작형, 실험 활동형, 학습 안내형, 현장문제 해결형 등의 기능성 유형 분류로 활용되고 있다[1]. 그러나 문화유산 기반의 가상현실 구현은 아직 3차원 데이터를 돌려보는 수준과 텍스트기반의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실세계는 눈으로 체험하고 가상현실세계에서는 역사적 사실이나 사건, 그 시대를 3차원 공간에서 이야기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관람자가 마치 그 시대, 그 사건 안에 존재하는 착각을 일으키는 수준의 몰입과 감동을 부여할 수 있는 개념과 구조 연구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오큘러스 리프트의 특징은 무엇인가? 오큘러스 리프트는 75Hz의 화면갱신 비율과 1280X720의 해상도, 자이로센서(Gyroscope), 가속도계(Accelerometer), 자력계(Magnetometer)를 장착하였으며 위치 추적(Positional Tracking)이 가능한 카메라를 통해 오큘러스 리프트를 착용한 유저의 머리 위치를 추적해 움직임에 반영함으로써 보다 몰입도 높은 가상현실 환경구현 이 가능하다. 삼성기어VR은 오큘러스와는 다르게 2560X1440 해상도를 지닌 갤럭시 노트4를 장착하여 선이 없는 환경으로 차별화 시켰으며 구글 카드보드는 고가의 HMD장비를 대신할 수 있는 종이 전개도를 공유함으로써 저가형 가상현실을 체험 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4)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ang-Hyun Jang, Bo-Kyung Ky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of educational content,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5, No.2, pp.79-85, 2007 

  2. J. Keller,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instruction: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pp. 386-434, 1983. 

  3. So-Hyun Park, Designing Virtual Reality Reconstruction of the Koguryo Mural,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8, No.1, pp.38-44, 2010 

  4. Jong-Gil Han, Kyoung-Wook Park, Kyeong-Jin Ban, Eung-Kon Kim, Outdoor Augmented Reality based 3D Mode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8, No.3, pp.459-464, 2013. 

  5. Tae-Yu Kim, Seuc-Ho Ryu, Hur-Young Ju, A Study about a Restoration Process of Culture Contents and the Practical Use Way of CAVE System,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2, No.2, pp.74-79, 2004 

  6. Ju-Hee Yoo, Kyoung-Mi Lee, Game-based education application for learning cultural properties,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 Vol. 26, No. 4, pp.9-16, 2013 

  7. Eun-Joo Lee, Eun-Joo Lee,, Recovering Traditional Costumes for Representation of Royal Court Ceremonies in Joseon Dynasty, The Socie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Vol.10. No.1. pp.115-127, 2007 

  8. Joo-youn Jung, A study on the digitaliza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related to motion(jin-ju sword dance) and the prototype of information system for the contents development, Korea Digital Design Council, Vol.8, No.3, pp.263-275, 2008 

  9. Han-Jo Ryu, Ik-Han Kim, A Study of the Developing Model of Record Contents: Focused on the Architecture Cultural Property Record, Korea Society of Archives & Records Management, Vol.9, No.1, pp.221-248, 2009 

  10. Yeong-Sun Song, Cultural Assets Reconstruction Using Efficient 3D Positioning method for Tourism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And Leisure, Vol.22, No.1, pp.97-111, 2010 

  11. Jang-Eun Bae, Seung-In Kim, A Development Plan of Serious Game Based on Virtual Reality Through the Trend Analysis on Internal/External Game Industry, Korea Digital Design Council, Vol.14, No.3, pp.737-748, 2014 

  12. Ju-Hyun Lee, Mi-Jung Kim, A Development Strategy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in the Contextual Environments, Korea Humanities Content Society, Vol.19, pp.179-218, 2010 

  13. Jun-ho Kim, Jin-Woo Lee, Yun-Jin Lee, Kyu-Man Jeong, Implementing a Mobil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or Mobile Games,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Vol.26, No.3, pp.17-24, 2013 

  14. Jae-In Lee, Jong-Soo Choi, Making Contents of the Science Education for the Element Schoolchildren based on the AR(Augmented Reali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1, No.11, pp.514-520, 2011 

  15. Hee-Young Kim, Chang-Ok Shin, Availability of Mobile Art in Smartphone Environment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Industrial Technolog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3, No.5, pp.48-57,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