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 대학생의 건강정보추구행동이 건강증진행위실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9 no.2, 2015년, pp.231 - 243  

문인오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박숙경 (원광대학교 간호학과) ,  김은경 (국립군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an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40 nursing students who have studied in n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간호 대학생은 건강문제와 관리에 대해 배우고 공부하며 미래 건강관리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예비 전문인으로서 이들의 건강증진행위실천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영향요인에 대해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간호 대학생들의 인터넷상에서의 건강정보추구행동을 조사하고, 이 추구행동이 실생활에서의 건강증진행위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건강정보추구행동이 건강증진행위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건강정보추구행동이 건강증진행위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의 건강정보추구행동이 건강증진행위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 간호 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정보추구행동이 건강증진행위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능동적으로 자신의 건강관련 정보를 찾는 행위인 건강정보추구행동에 대한 연구가 시작단계인 현 시점에서는 이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기는 한계가 있으며, 앞으로 간호학에서 건강정보추구행동과 개인의 책임과 능동적인 행동이 강조되는 건강증진행위실천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연구들이 더 많이 축적이 된 다음에 활발한 논의가 가능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건강정보추구행동의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9%를 차지하여 건강관리와 질병관리에 인터넷의 활용이 주요하게 자리 잡고 있다(Kim et al, 2012). 특히 인터넷과 SNS에 익숙해져 있는 대학생의 경우 인터넷에서의 건강정보를 찾는 활동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능동적 정보 이용자로서 적극적 건강정보를 찾는 행위인 건강정보추구행동의 수준을 파악하고 인터넷상의 건강정보추구행동이 실생활에서의 건강증진행위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관련 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인터넷을 통한 각종 건강관련 정보는 검색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누구라도 정보를 올릴 수 있기 때문에 검증되지 않은 정보가 많아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할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Kim et al., 2012) 특히 건강관련 정보는 다른 정보와 달리 전문성이 높은 분야이고 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Park & Lee, 2011).
인터넷 검색을 통해 건강정보를 얻을 때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Yoon, Park, Kim과 Kim (2005)의 연구에 의하면 일반인들이 건강에 대한 이상 징후 발견 시 인터넷을 검색하는 것이 병원을 방문하는 것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정보를 얻기 위해 많이 선택하는 경로로 인터넷 검색이 병원상담보다 더 많은 비율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한 각종 건강관련 정보는 검색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누구라도 정보를 올릴 수 있기 때문에 검증되지 않은 정보가 많아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할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Kim et al., 2012) 특히 건강관련 정보는 다른 정보와 달리 전문성이 높은 분야이고 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Park & Lee, 2011).
건강정보추구행동이란 무엇인가? 한편 인터넷을 이용하여 적극적인 정보 수집을 하는 이용자를 능동적 인터넷 정보 이용자들이라 하며 이들은 자신의 욕구가 무엇인지 인지하고 있고, 이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인터넷 등의 미디어를 이용한다(Park & Lee, 2011). 그리고 이들이 건강과 관련된 종합적 정보를 인터넷상에서 의도적으로 찾거나 얻는 적극적인 행동을 건강정보추구행동(Kim,2006)이라 하며 건강정보추구행동은 능동적 인터넷정보 이용자들이 본인 혹은 가족 중에 건강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리고 의사와의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시작된다(Park, & Lee, 2011).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연구가 신문방송학 등의 영역에서 건강정보추구행동에 따른 건강정보 이용자의 유형을 분류하여 질병에 대한 태도와 건강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는 연구가 있으며, 건강정보추구행동이 건강증진이나 예방에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는 부정적 평가가 높을수록 건강정보추구행동을 하지 않는다는 연구(Kim, 2006)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 H., Lee, S. J., & Cui, R. S. (2010). Comparison of health promotion lifestyles and self-esteem of Korean and Chines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nursing, 19(1), 22-33. http://dx.doi.org/10.12934/jkpmhn.2010.19.1.22 

  2. Cho, K. W. (2006). An investigation of internet usage and health information aquisition by internet of domestic adults.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4(2), 721-724. 

  3. Cho, S. Y., Lee, I. S., Ham, Y. L., & Kim, J. H. (2006). Factors leading to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the students in a nursing school of a universit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12(1), 78-85. 

  4. Cho, Y. S., Park, J., Ryu, S. Y., Kang, M. G., Min, S., Kim, H. S., Ha, Y. J., & Kim, E. A. (2012).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health promotion life style on job satisfac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5-15. http://dx.doi.org/10.59322/JKPHN.2012.26.1.005 

  5. Dutta-Bergman, M. (2004). A descriptive narrative of health eating: A social marketing approach using psychographics in conjunction with interpersonal, community, mass media and new media activities. Health Marketing Quarterly, 20, 81-101. http://dx.doi.org/10.1300/j026v20n03_06 

  6. Han, K. S. (2005). Self 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35(3), 585-592. 

  7. Hong, S. H.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19(1), 78-86.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1.78 

  8. Hong, S. M. (2013). The effects of cancer-related information search from media as communication cues on health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1), 76-86. http://dx.doi.org/10.111111/jkana.2013.19.1.76 

  9. Hwang, H. G. (2008).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health promotion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Hanny University, Daegu. 

  10. Kim, B. C., Choi, M. I., & Jang G. Y. (2012). Perceptual differences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use between physicians and patients: Empirical test of co-orientation model.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3(5), 63-84. 

  11. Kim, C. W. (2006). A study on health communication through interne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12. Kim, G. S., Kim, Y. R., & Ru. C. W. (2010). Health behavior stage and usage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35(2), 177-193. 

  13. Kim, H. S., Oh, E. G., Hyong, H. K., & Cho, E. S. (2008).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lifestyle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3), 506-520. http://jkachn.org/DOIx.php?id10.12799/jkachn.2008.19.3.506 

  14. Kim, J. E., Kim, S. H., & Shin, Y. J. (2007) Survey on the physicians views of the effects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on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Journal of Cyber Communication, 21, 279-301. 

  15. Kim, S. J. (2012). An exploratory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s health information needs and seeking behaviors in social medi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4), 239-260. 

  16. Kim, Y. H., Jung, M. S., & Lee, J. A. (2002). Study an health promoting behavior determinant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Health Nursing, 16(2), 286-303. 

  17.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2). 2012 Internet use survey. Seoul: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http://isis.kisa.or.kr/board/index.jsp?pageId040000&bbsId7&itemId792&pageIndex2 

  18. Laflamme, D. (2003). Online health information-seeking health focus of control and health literacy among low-income internet users in east Baltimo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Baltimore, U.S.A. 

  19. Lee, E. S. (2011).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physical attractivenes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Journal of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6), 47-56. 

  20. Lee, M. S., Kim, K. S., Cho, M. K., Ahn, J. W., & Kim, S. O. (2014) Study of stres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quality of life.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21(2), 125-134. http://dx.doi.org/10.5953/JMJH.2014.21.2.123 

  21. Min, S. Y. & Paek, K. S. (2007). The effects of a health education program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4), 245-256. 

  22. Park, S. H. & Lee, S. Y. (2011). Exploring categories of health information users on the basis of illness attitude and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n the Internet.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55(4), 105 -134. 

  23. Rains, S. (2007). Perception of traditional information sources and use of the world wide web to seek health information: findings from the health information national trends surve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12, 667-680. 

  24. Ru, C. W. & Ha, Y. J. (2004). Usage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Health and Welfare Forum, 97, 71-87. 

  25. Seo, H. M. (2001). Construction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model in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6. Song, J. J. (2012). SPSS/AMOS statistical methods necessary for writing papers(2nd). PaJu: 21C Book. 

  27. Song, T. M. (2006). Health information web-sites in Korea. Health and Welfare Forum, 3, 61-67. 

  28. Sung, M. H. (2001).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7(3), 317-330. 

  29.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95).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Omaha: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30. Yoon, Y. M., Park, S. K., Kim, S. D., & Kim, H. S. (2005). Changes in IT development and daily life. Seoul: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