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적두 및 흑두를 대상으로 백립중, 색도 등 물리적 특성과 종피 및 종피 제거 전과 후의 각 부분에 대한 항산화 성분항산화 활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적두 및 흑두의 백립중은 각각 19.62 g 및 18.58 g으로 적두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팥 표면의 종피 색은 적두에서는 L 값 31.97, a 값 9.75, b 값 3.54 그리고 흑두에서는 L 값 31.12, a 값 0.32, b 값 0.95를 나타냈다. 총 polyphenolic compounds 함량은 적두 종피에서 33.9 mg GAE/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proanthocyanidin 함량 또한 적두 종피에서 30.70 mg CCE/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흑두 종피와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항산화 활성은 동일 방법으로 측정 시 종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적두의 종피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ABTS로 측정 시 가장 높은 활성 값을 보였다. 팥 각 부위별 항산화 성분과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원료 팥 및 종피에서 총 polyphenolic compounds 함량과 항산화 활성 간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적두 및 흑두 각 부분에 대한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에 대한 이상의 연구 결과는 건강 증진을 위한 팥 제품 개발 시 팥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lyphenolic compounds found in different parts of red and black adzuki beans and to determine the contribution of polyphenolic compounds to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adzuki beans. Total polyphenolic and proanthocyanidin contents were studied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팥 이용 제품의 용도에 맞게 생리활성 물질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는 적두 및 흑두를 대상으로 팥 각 부위의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 그리고 그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NS: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팥의 종피 색은 품종, 재배 및 생육 조건 등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팥 종피에는 proanthocyanidin, quercetin glycoside 등 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하게 존재하며, 특히 proanthocyanidin은 천연 항산화제로 심혈관 질환, 염증, 당뇨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4-7). 팥은 품종, 재배 및 생육 조건 등에 따라 적색, 흑색, 갈색, 녹색 또는 이들 색이 혼합된 색 등 종피 색이 다양하다. 우리 나라, 일본 및 중국에서 팥의 종피 색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적색이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8,9).
팥에는 어떤 성분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가? 1%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다(1-3). 또한 비타민 B1을 포함한 각종 비타민, 칼륨,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 및 glutamic acid, lysine 등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3). 팥 종피에는 proanthocyanidin, quercetin glycoside 등 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하게 존재하며, 특히 proanthocyanidin은 천연 항산화제로 심혈관 질환, 염증, 당뇨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4-7).
팥은 무엇인가? 팥(small red bean, adzuki bean, Vigna angularis)은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에서 주로 재배되며, 국내에서는 콩 다음으로 수요가 많은 두류이다. 팥은 20~25%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는 고단백 식품이며 55~70%의 탄수화물,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Ogawa T, Abe S, Kugimiya M. 1983. Gelatinization of starch in dried azuki Ann granules. J Jap Soc Food Sci Technol 30: 323-330. 

  2. Tjahjadi C, Lin S, Breene WM. 1988.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dzuki bean (Vigna angularis cv Takara) proteins. J Food Sci 53: 1438-1443. 

  3. Hsieh HM, Pomeranz Y, Swanson BG. 1992. Composition, cooking time, and maturation of adzuki (Vigna angularis) and common bean (Phaseolus vulgaris). Cereal Chem 69:244-248. 

  4. Ariga T, Hamano M. 1990. Radical scavenging action and its mode in procyanidins B-1 and B-3 from azuki beans to peroxyl radicals. Agric Biol Chem 54: 2499-2504. 

  5. Pataki T, Bak I, Kovacs P, Bagchi D, Das DK, Tosaki A. 2002. Grape seed proanthocyanidins improved cardiac recovery during reperfusion after ischemia in isolated rat hearts. Am J Clin Nutr 75: 894-899. 

  6. Facchini FS, Saylor KL. 2003. A low-iron-available, polyphenol-enriched, carbohydrate-restricted diet to slow progression of diabetic nephropathy. Diabetes 52: 1204-1209. 

  7. Mukai Y, Sato S. 2011. Polyphenol-containing azuki bean (Vigna angularis) seed coats attenuate vascular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Nutr Biochem 22: 16-21. 

  8. Kato J, Meguro T, Suzuki MM, Deeth HC. 2000. Variations in the seed coat colour of adzuki beans in the aspects of varieties, harvest years and growing locations, using two-dimensional colour mapping. Plant Prod Sci 3: 61-66. 

  9. Kim HS, Kim SD, Park SI, Son SY, Jong SK, Song BH. 1998. Variation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V. umbellata (Thunb.) Ohwi & Ohashi, V. angularis var. nipponensis (Ohwi) Ohwi & Ohashi and V. angularis (Willd.) Ohwi & Ohashi. Korean J Breed 30: 343-349. 

  10. Sefa-Dedeh S, Stanley DW. 1979. Textural implications of the microstructure of legumes. Food Technol 33: 77-83. 

  11. Rho CW, Son SY, Hong ST, Lee KH, Ryu IM. 2003. Agronomic characters of Korean adzuki beans (Vigna angularis (Willd.) Ohwi & Ohashi). Korean J Plant Res 16: 147-154. 

  12. Yoon ST, Qin Y, Kim TH, Choi SC, Nam JC, Lee JS. 2012.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adzuki bean (Vigna angularis W.F. Wight) germplasm in Korea. Korean J Crop Sci 57:7-15. 

  13. Kim EH, Song HK, Park YJ, Lee JR, Kim MY, Chung IM. 2011.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adzuki bean (Vigna angularis) germplasm. Korean J Crop Sci 56: 375-384. 

  14. Song SB, Seo HI, Ko JY, Lee JS, Kang JR, Oh BG, Seo MC, Yoon YN, Kwak DY, Nam MH, Woo K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adzuki bean sediment according to varie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21-1127. 

  15. Kim HJ, Sohn KH, Park HK. 1990. Emulsion properties of small red bean protein isolates. Korean J Soc Food Sci 6:9-14. 

  16. Kim CK, Oh BH, Na JM, Sin DH. 2003.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and Chinese red bean starch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51-555. 

  17. Song SB, Ko JY, Kim JI, Lee JS, Jung TW, Kim KY, Kwak DY, Oh YS, Woo KS. 2013.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dzuki bean and adzuki bean tea depending on the variety and roasting time.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317-324. 

  18. Woo KS, Song SB, Ko JY, Seo MC, Lee JS, Kang JR, Oh BG, Nam MH, Jeong HS, Lee J. 2010.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methanolic extract from adzuki beans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693-698. 

  19. Choi YH, Kang MY, Nam SH. 1998. Inhibitory effect of various cereal and bean extracts on carcinogenicity in vitro.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964-969. 

  20. Anton AA, Ross KA, Beta T, Fulcher RG, Arntfield SD. 2008. Effect of pre-dehulling treatments on some nutrition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navy and pinto beans (Phaseolus vulgaris L.). LWT-Food Sci Technol 41: 771-778. 

  21. Deshpande SS, Sathe SK, Salunkhe DK, Cornforth DP. 1982. Effects of dehulling on phytic acid, polyphenols, and enzyme inhibitors of dry beans (Phaseolus vulgaris L.). J Food Sci 47: 1846-1850. 

  22. Lee LS, Choi EJ, Kim CH, Kim YB, Kum JS, Park JD.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black and yellow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757-761. 

  23. Xu B, Chang SK. 2008. Antioxidant capacity of seed coat, dehulled bean, and whole black soybeans in relation to their distributions of total phenolics, phenolic acids, anthocyanins, and isoflavones. J Agric Food Chem 56: 8365-8373. 

  24. Slinkard K, Singleton VL. 1977. Total phenol analyses: automation and comparison with manual methods. Am J Enol Vitic 28: 49-55. 

  25. Porter LJ, Hrstich LN, Chan BG. 1985. The conversion of procyanidins and prodelphinidins to cyanidin and delphinidin. Phytochem 25: 223-230. 

  26. Benzie IF, Strain J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27. Brand-Williams W, Cuvelier ME, Berset C. 1995. Use of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 Technol 28: 25-30. 

  28. Thaipong K, Boonprakob U, Crosby K, Cisneros-Zevallos L, Hawkins Byrne D. 2006. Comparison of ABTS, DPPH, FRAP, and ORAC assays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from guava fruit extracts. J Food Compos Anal 19: 669-675. 

  29. Taira H, Saito M, Hara M, Ichikawa N, Hosoya E. 1989. Differences of cultivar and location on the qualities of adzuki beans grown in Hokkaido.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36: 812-826. 

  30. Yoshida K, Satoh H, Ueshima H, Ishii N, Sato M. 1991. The extent and its source of variation for characteristics related to seed quality of azuki beans. II. Variation of seed coat color among growers lots in Hokkaido area. Jap J Crop Sci 60: 234-240. 

  31. Baik BK, Klamczynska B, Czuchajowska Z. 1998. Particle size of unsweetened azuki paste as related to cultivar and cooking time. J Food Sci 63: 322-326. 

  32. Gu L, Kelm MA, Hammerstone JF, Beecher G, Holden J, Haytowitz D, Prior RL. 2003. Screening of foods containing proanthocyanidins and their structural characterization using LC-MS/MS and thiolytic degradation. J Agric Food Chem 51: 7513-7521. 

  33. Amarowicz R, Piskuła M, Honke J, Rudnicka B, Troszynska A, Kozłowska H. 1995.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lentil seeds (Lens culinaris) with various solvents. Pol J Food Nutr Sci 4: 53-62. 

  34. Kato J, Souma C. 2005. Nondestructive estimation method for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adzuki bean. Jap J Soil Sci Plant Nutr 76: 205-208. 

  35. Amarowicz R, Estrella I, Hernandez T, Troszynska A, Agnieszka K, Pegg RB.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of adzuki bean and its fractions. J Food Lipids 15: 119-136. 

  36. Krenn L, Steitz M, Schlicht C, Kurth H, Gaedcke F. 2007. Anthocyanin- and proanthocyanidin-rich extracts of berries in food supplements-analysis with problems. Pharmazie 62: 803-812. 

  37. Huang D, Ou B, Prior RL. 2005.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 Agric Food Chem 53: 1841-1856. 

  38. Xu BJ, Chang SK. 2007. A comparative study on phenolic profil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egumes as affected by extraction solvents. J Food Sci 72: S159-S166. 

  39. Cardador-Martinez A, Castano-Tostado E, Loarca-Pina G. 2002. Antimutagenic activity of natural phenolic compounds present in the common bean (Phaseolus vulgaris) against aflatoxin B1. Food Addit Contam 19: 62-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