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PISA 2012 공개 문항을 활용한 예비수학교사의 수학내용지식 분석 사례연구
Analysis of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based on PISA 2012 Item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4 no.3, 2015년, pp.207 - 222  

임해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민희 (충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MCK") includes not only knowledge for mathematics, but also academic knowledge for school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process knowledge. We can consider the items in PISA 2012 as suitable tools to assess process knowledge as well 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섯째, 예비수학교사의 응답결과 중 정답률이 낮게 나타난 문항의 답안을 수학내용지식 중 과정 지식 즉, PISA에서 제시한 수학적 과정과 FMC를 중심으로 분석 하여 향후 수학교사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21세기를 살아갈 학생들은 수학에 대한 내용 지식과 더불어 수학 역량을 포함한 수학 과정 지식을 고르게 갖추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수학교사의 MCK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내용 지식과 과정 지식을 평가하는 PISA 문항을 사용하여 예비수학교사의 MCK 특징을 분석하는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2014년 8월에 충청남도 소재 대학의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예비수학교사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MCK에는 수학교사가 알아야할 학교수학의 내용지식과 과정지식, 학교수학과 연결된 학문적 수학 지식이 포함되며, 이때 과정지식은 NCTM(2000)에서 제시한 문제해결, 추론과 증명, 표현과 의사소통, 연결성 등의 범주를 포함한다(조완영, 2011).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의 MPCK에 영향을 주며, 예비수학교사가 학생을 가르칠 때 근본이 되는 지식 및 역량이라 볼 수 있는 예비수학교사의 수학내용지식 즉, MCK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고자 한다.
  • 수학교사의 수학내용지식은 학생의 학업 성취에 직접 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 절에서는 정답률이 낮은 문항에 대해 [표 3]의 분석틀을 사용하여 오답의 원인을 분석하고 수학교사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셋째, 예비수학교사의 응답은 PISA 2012 공개문항집 (송미영 외, 2013b)에 제시된 채점 기준에 따라 채점하고, 문항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수학내용지식을[표 3]의 PISA 수학 평가틀의 수학적 내용, 수학적 과정, FMC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이때, 연구자들은 예비수학교사가 나타낸 오답의 원인에 대해 분석틀을 토대로 각자 분석한 후, 결과를 종합하여 이견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평가틀의 문구와 대조하여 재논의하는 과정을 통해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21세기를 살아갈 학생들은 수학에 대한 내용 지식과 더불어 21세기에 요구되는 수학 핵심역량을 고르게 갖출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역량을 형성하고 개발하기 위해서는 수학교사의 MCK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비롯되어 최근 수학교사의 MCK를 분석하는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사의 MCK를 분석하기 위해 국제학업성취도평가 PISA 수학 문항을 사용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PISA 2012 수학 공개문항을 사용하여 예비수학교사의 MCK를 분석하는 사례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수학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PISA 문항은 만 15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묻는 만큼, MCK 중 순수 수학에 대한 지식을 제외한 학교 수학과 관련된 내용 지식과 과정 지식만을 분석할 것이며, 특히 과정 지식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용과 과정에 대한 평가틀을 갖는 PISA 2012 공개 문항을 사용하여 예비수학교사의 수학내용지식을 분석하는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정답률이 낮은 문항에 대해서는 기본수학능력(FMC)을 중심으로 면밀히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ISA 수학 문항은 무엇을 토대로 개발된 것인가? PISA 수학 문항은 국제 전문가 그룹 및 참여국의 전문가에 의해 개발된 양질의 문항으로, 다양한 맥락, 수학적 내용, 수학적 과정을 고르게 반영한 평가틀을 토대로 개발되었다. 또한 평가틀의 수학적 과정의 토대에는 일곱 가지 수학 기본 역량에 대한 연구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PISA 수학 문항은 수학적 내용 지식뿐만 아니라 과정 지식을 평가하는데 적합하다.
수학 지식에서 일반 내용 지식은 무엇인가? (2008)은 MKT를 크게 SMK와 PCK로 구분하고, SMK를 다시 일반 내용 지식 (Common Content Knowledge)과 전문 내용 지식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수학적으로 조망하는 지식(Knowledge at the mathematical horizontal)의 세가지로 구분하였다. 이때, 일반 내용 지식은 교사뿐만 아니라 일반 성인들도 가지고 있는 수학적 지식으로 학교 수학의 내용과 직접 관련된다. 전문 내용 지식은 일반 성인이 아닌 교사만 가지고 있는 또는 가져야하는 지식으로, 교사의 전문성과 관련된다.
교사가 전문성을 가지고 수업을 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교사의 지식은 교사의 전문성과 직결된다. 교사가 전문성을 가지고 수업을 한다는 것은 수업을 통해 단순히 내용 지식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내용 지식을 변형하고 조직하며, 어떤 교수 학습 방법이 효과적인지를 판단하여 실행 하는 것을 의미한다(박경미, 2009). 즉, 교사의 전문성은 내용 지식과 더불어 그 내용과 관련된 교수학적 지식을 지니고 있을 때 발휘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 Mathematics curriculum. MEST announcement 2011-361 [Separate Volume 8]. Seoul: MEST. 

  2. 박경미(2009). 수학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에 대한 연구의 메타적 검토. 수학교육 28(1), 92-105. Park, K. M. (2009). A Meta Review of the Researches on PCK in Mathematics. The Mathematical Education 28(1), 92-105. 

  3.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2013a).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6-1. Song, M. Y., Rim, H. M., Choi, H. J., Park. H. Y., & Son, S.K. (2013a).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ssessment : Analyzing PISA 2012 Result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Report RRE 2013-6-1. 

  4. 송미영, 임해미, 박혜영, 최혁준, 손수경(2013b).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자료집: PISA 2000-PISA2012 지필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64-1. Song, M. Y., Rim, H. M., Park. H. Y., Choi, H. J., & Son, S .K. (2013b).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ssessment Open Items: PISA2000-PISA2012 Paper-Based Assessmen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Report RRE 2013-64-1. 

  5. 이혜숙, 임해미, 문종은 (2010). 수학과학통합교육의 설계 및 실행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49(2), 175-198. Lee, H. S., Rim, H. M. & Moon, J. E. (2010).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thematics and science integrated instruction, The Mathematical Education 49(2), 175-198. 

  6. 임해미(2013). OECD PISA 2015 수학 및 협력적 문제 해결력 평가의 특징.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 2호, 369-171. Rim, H. M. (2013). The Characteristic of OECD PISA mathematics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ssessment. The proceeding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No. 2, 369-171. 

  7. 조완영(2011). 중등 수학교사의 수학내용 지식. 학교수학 13(2), 345-362. Cho, W. Y. (2011).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of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chool Mathematics 13(2), 345-362. 

  8. 조지민, 김수진, 이상하, 김미영, 옥현진, 임해미, 박연복, 이민희, 한희진, 손수경 (2011). 2011년 국제 학업성취 도 평가 연구(PISA/TIMSS) : PISA 2012 예비검사 시행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1-4-2. Cho, J. M., Kim, S. J., Lee, S. H., Kim, M.Y., Ok, H.J., Rim, H. M., Park, Y. B., Lee, M. H., Han, H. J., Son, S. K. (2011).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ssessment : PISA 2012 Field Trial Technical Repor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Report RRE 2011-4-2. 

  9. 조지민, 동효관, 옥현진, 임해미, 정혜경, 손수경, 배제성 (2012).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 PISA 2012 본검사 시행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보고 RRE 2012-3-1. Cho, J. M., Dong, H. G., Ock, H. J., Rim, H. M., Jung, H. G., Son, S. K., & Bae, J. S. (2013).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ssessment : PISA 2012 Main Survey Technical Repor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Report RRE 2012-3-1. 

  10. 한국과학창의재단(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공개토론회. 2015 수학교육관련학회 연합학술대회.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5).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development policy research forum. 2015 United Conference on Mathematics Education Society. 

  11. Ball, D. L.,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12. Darling-Hammond, L. (2000). Teacher quality and student achievement. Education policy analysis archives, 8(1), 1-44. 

  13. Francisco, J. M., & Maher, C. A. (2005). Conditions for promoting reasoning in problem solving: Insights from a longitudinal study.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4(3), 361-372. 

  14. Hsieh, F. J., Law, C. K., Shy, H. Y., Wang, T. Y., Hsieh, C. J., & Tang, S. J. (2011).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quality in TEDS-M: globalizing the views of futur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2(2), 172-187. 

  15. Hiebert, J., Gallimore, R., Garnier, H., Bogard Givven, K., Hollingsworth, H., Jacobs, J., Chui, A. M. Y., Wearne, D., Smith, M., Kersting, N., Manaster, A., Tseng, E., Etterbeek, W., Manaster, C., Gonzales, P., & Stigler, J. (2003). Highlights from TIMSS 1999 Video Study of eighth-grade mathematics teaching. National Center of Education Statistics(NCES 2003011). Retrieved from http://nces.ed.gov/pubsearch/pubsinfo.asp?pubid2003011. 

  16. McKenzie, P., Santiago, P., Sliwka, P., & Hiroyuki, H. (2005). Teachers matter: Attracting, developing and retaining effective teachers. OECD. 

  17. Mewborn, D. (2001). Teachers content knowledge, teacher education, and their effects on the preparation of elementary teachers in the United States.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and Development, 3, 28-36. 

  18. Niss, M. (2015). Mathematical Competencies and PISA. In Assessing Mathematical Literacy (pp. 35-55).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9. OECD (1999). Measuring student knowledge and skills: A new framework for assessment. Paris: OECD. 

  20. OECD (2000). Measuring student knowledge and skills. The PISA 2000 assessment of reading, mathematical and scientific literacy. Education and skills. Paris: OECD. 

  21. OECD (2003). PISA 2003 Assessment Framework: Mathematics, Reading, Science and Problem Solving Knowledge and Skills. Paris: OECD. 

  22.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Retrieved from http://www.oecd.org/pisa/35070367.pdf 

  23. OECD (2013). PISA 2012 Assessment and Analytic Framework. Paris: OECD. 

  24. Saenz, C. (2009). The role of contextual, conceptual and procedural knowledge in activating mathematical competencies (PISA).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1(2), 123-143. 

  25.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 

  26. Stacey, K. (2015). Core Competency in Mathematics Education : How PISA includes mathematical competencies and the processes of mathematical modelling. Proceedings of the 2015 Joint Conference of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Societies, 35-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