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증상경험과 우울의 관계에 미치는 극복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between Symptom Experience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4, 2015년, pp.375 - 383  

공경란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  이은남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resiliency and symptom experience and depression. Subjects (N=152) were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admitted to D University Medical Center in B City. Method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를 대상으로 증상과 우울간의 관계에 대한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서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들의 우울을 개선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증상, 극복력과 우울정도를 파악하고 증상과 우울의 관계에 미치는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의 증상, 극복력과 우울에 대해 살펴보고 증상과 우울과의 관계에 미치는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증상점수는 63점 만점에 15.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증상, 극복력과 우울정도를 파악하고, 증상과 우울간의 관계에 대한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렇듯 많은 연구에서 극복력이 우울증상에 대해 직접적인 효과나 간접적인 매개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이 증명되어, 이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들에서는 극복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의미요법에 기반한 극복력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는데, 이는 교육, 이야기, 면담, 지지 등의 중재방법을 이용하여 경험적, 창조적, 태도적 가치의 중재원리를 구현 시키고, 삶의 의미발견, 긍정적인 인식증진, 적극적인 대처강화, 바람직한 관계형성을 도모하여 극복력 증진을 실현하고자 하였다[12].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한 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은 가족의 적응에 초점을 맞추어 가족강인성, 가족일관성, 가족문제해결 의사소통, 가족위기 대처전략, 사회적 자원의 상호작용을 통해 가족 적응을 긍정적으로 이끌어 극복력을 향상시켰다[3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른 만성 질환에 비해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우울발생률이 높다는 선행연구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는 근거는? 한편 대상자의 평균 우울점수는 5.7점이었으며 우울인 경우가 38.4%로, 뇌졸중 환자에서는 우울발생률이 26.7%[25],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에는 우울발생률이 20.9%[26]이었던 것에 비해 높은 결과이다. 이는 다른 만성 질환에 비해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우울발생률이 높다는 선행연구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다[6].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란?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은 비가역적인 기도폐쇄로 인한 점진적 기류 장애가 특징적인 만성 질환으로, 호흡곤란, 기침, 가래, 피로 등의 신체적 증상이 흔하게 나타난다[1-3]. 점진적인 폐기능의 손상으로 인해 호흡장애 증상이 더욱 심해지게 되고 호흡근육과 운동능력의 약화로 기본적인 활동까지 제한을 받게 되며[4], 질병이 진행되면서 우울, 불안과 같은 심리적 증상들도 동반된다[1-3].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의 우울발생률은 얼마인가?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의 우울발생률은 37~71%, 불안의 발생률은 50~75%로 다른 진행된 암이나 심장질환, 신질환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들은 호흡곤란과 같은 여러 가지 증상들로 인해 활동 장애와 기능장애를 겪게 되고 이로 인해 우울증을 경험하게 되며, 이는 기본적인 일상생활 및 안위에 영향을 주고 전반적인 삶의 만족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SJ.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with a special reference to bronchial asthma and bronchiecta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2;14(3):470-8. 

  2. Maurer J, Rebbapragada V, Borson S, Goldstein R, Kunik ME, Yohannes AM, et al. Anxiety and depression in COPD: current understanding, unanswered questions, and research needs. Chest. 2008;134(4):43-56. http://dx.doi.org/10.1378/chest.08-0342 

  3. Quint JK, Baghai-Ravary R, Donaldson GC, Wedzicha JA.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xacerbations in COPD.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2008;32:53-60. http://dx.doi.org/10.1183/09031936.00120107 

  4. Rennard S, Decramer M, Calverley PM, Pride NB, Soriano JB, Vermeire PA, et al. Impact of COPD in North America and Europe in 2000: subjects' perspective of confronting COPD international survey.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2002;20:799-805. 

  5.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health statistics 2008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cited 2015 April 2]. Available from: http://www.who.int/whosis/whostat/EN_WHS08_Full.pdf 

  6. Ryu YJ, Chun EM, Sim YS, Lee JH. Depression and anxiety in out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 2007;62(1):11-8. http://dx.doi.org/10.4046/trd.2007.62.1.11 

  7. Burgess A, Kunik ME, Stanley MA.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ssessing and treating psychological issues in patients with COPD. Geriatrics. 2005;60(12):18-21. 

  8. Stage KB, Middelboe T, Pisinger C. Depression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mpact on survival.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2005;111(4): 320-3. http://dx.doi.org/10.1111/j.1600-0447.2004.00497.x 

  9. de Voogd JN, Wempe JB, Koeter GH, Postema K, van Sonderen E, Ranchor AV, et al. Depressive symptoms as predictors of mortality in patients with COPD. Chest. 2009;135(3):619-25. http://dx.doi.org/10.1378/chest.08-0078 

  10. Kong M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resilience in dialysis patient. Nursing Science. 2009;21(1):24-37. 

  11. Yoo KH. A correlational study on the mastery and depression in chronic arthrit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06;9(2):161-5. 

  12. Koo BJ.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logotherapy-based resilience promotion program for gynecologic cancer women.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07. 

  13. Wooten NR. Deployment cycle stressors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army national guard wome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Social Work in Health Care. 2012;51(9):828-49. http://dx.doi.org/10.1080/00981389.2012.692353 

  14. Kurtz ED. Effects of parental alcoholism and trauma exposure on depressive symptoms: a path model with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family satisfaction. [dissertation]. Old Dominion University; 2014. 

  15. Wu WW, Tsai SY, Liang SY, Liu CY, Jou ST, Berry DL. The mediating role of resilience on quality of life and cancer symptom distress in adolescent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Pediatric Oncology Nursing. 2015:1-10. http://dx.doi.org/10.1177/1043454214563758 

  16. Wagnild GM, Young HM.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993;1(2):165-78. 

  17. Song YS. Determinants of resilience of the physically disabled at home. [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ersity; 2004. 

  18. Yesavage JA, Brink TL, Rose TL, Lum O, Huang V, Adey M,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983;17(1):37-49. 

  19. Cho MJ, Bae JN, Suh GH, Hahm BJ, Kim JK, Lee DW, et al.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9;38(1):48-63. 

  20.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ternet]. USA: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2007 [cited 2015 March 10]. Available from: http://www.goldcopd.org/uploads/users/files/GOLDReport07_Changes.pdf. 

  21. Kang GJ, Kin MH, Hwang SK. Self-care, symptom experienc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COPD severit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8;20(1):163-75. 

  22. Decramer M, Janssens W, Miravitlles M.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e Lancet. 2012;379(9823):1341-51. http://dx.doi.org/10.1016/S0140-6736(11)60968-9 

  23. Cha KS, Kim KH. Impact of uncertainty on resilience in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2):139-46. http://dx.doi.org/10.5388/aon.2012.12.2.139 

  24. Kim SR, Chung SJ, Shin NM, Shin HW, Kim MS, Lee SJ. Resilience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2010;22(1):60-9. 

  25. Song YM, Lee JH. Factors in post stoke depression of stroke patients hospitalized in university medical centers.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2013;15(2):85-94. 

  26. Jeong YM, Kim MY. Comparative study on HbA1C, self-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by depression status in type II diabetic patients.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2;19(3):353-62. http://dx.doi.org/10.7739/jkafn.2012.19.3.353 

  27. Kim DH, Yoo IY.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resilience among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04;34(3):524-40. 

  28. Lee EJ, Yoon JH, Park DH, Park DL. Performance status and resilience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2013;13(4):273-279. http://dx.doi.org/10.5388/aon.2013.13.4.273 

  29. Lee EK.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adjustment of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sian Oncology Nursing. 2011;11(2):101-7. http://dx.doi.org/10.5388/jkon.2011.11.2.101 

  30. Lim HS, Han KS. Effects of the family resilience enhancement program for families of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1):133-42. http://dx.doi.org/10.4040/jkan.2013.43.1.1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