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아로마 에센셜 오일 적용이 알레르기 비염 대학생의 비염증상, 호산구 및 비염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roma Therapy on Allergic Symptoms, Eosinophil, and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Rhinitis in University Students with Allergic Rhiniti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4, 2015년, pp.438 - 448  

원수진 (경동대학교 간호학과) ,  채영란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using aroma essential oils on allergic symptoms, eosinophils and quality of life related to rhinitis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allergic rhinitis. Methods: A randomized controlled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re were 37 partici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 알레르기 비염 대상자에게 이러한 에센셜 오일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알레르기 비염을 진단 받은 대상자들의 증상완화를 위한 방법으로 유칼립투스와 저먼 캐모마일 및 페퍼민트 에센셜 오일을 혼합하여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적용 후 시기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을 할당한 무작위 대조군 전후실험설계이다.
  • 본 연구는 통년성 알레르기 비염 대학생에게 아로마 에센셜오일을 도포, 흡입하도록 하여 비염증상의 완화와 알레르기비염의 작동세포인 호산구의 감소, 나아가 비염과 관련된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알레르기 비염 증상을 가진 대학생에게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적용하여 비염증상, 호산구 및 비염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아로마 에센셜 오일 적용은 알레르기 비염의 코 가려움 증상, 재채기 증상, 수양성 콧물증상, 및 코 막힘 증상에서 측정시기와 집단에 따라 유의한 감소효과가 있었다.

가설 설정

  • 녹초가 된다), 활동력 상태 3문항(1. 가정일이나 직장 등의 과제 등 정기적으로 해야 하는 일들에 장애가 있다, 2. 친구 만나기나 가족, 아이와 놀아주는 일들에 장애가 있다, 3. 스포츠, 산책 등 취미활동에 대한 장애가 있다)으로 문항별로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1 (전혀 그렇지 않다), 2 (그런 적이 있다), 3 (약간 그렇다), 4 (자주 그렇다), 5 (늘 그렇다)로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저하됨을 의미한다.
  • 피곤함을 느낀다, 2. 갈증을 느낀다, 3. 노동력이 저하된다, 4. 싫증을 자주 느낀다, 5.
  • 눈 가려움증, 2. 눈이 시린 증상, 3. 눈물이 계속된다, 4. 눈이 붓는다), 전신증상 7문항(1.
  • 노동력이 저하된다, 4. 싫증을 자주 느낀다, 5. 집중력이 저하된다, 6. 두통이 있다, 7.
  • • 가설 1.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도포, 흡입한 실험군의 비염증상은 시기에 따라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가설 2.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도포, 흡입한 실험군의 호산구는 시기에 따라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산구증다증이란 무엇인가? 알레르기 비염은 항원에 노출된 후 항원 특이 IgE 반응에 의해 코 점막에 염증반응이 관찰되는 만성 염증 질환으로 기도내의 비만세포와 호산구의 축적, T세포의 증가와 활성화가 나타나며, 그 중에서 비만세포와 호산구는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의 상하기도 염증 반응에서 주요 작동세포로 작용한다[8]. 특히, 호산구증다증은 알레르기 질환의 특징적 소견으로, 전체 백혈구중 호산구의 비율이 5% 이상일 때 호산구증다증으로 판독하며[7], 알레르기 비염에서도 관찰되고, 주요기초단백질(Major BaSic Protein, MBP), 호산구양이온단백(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혈소판 활성화인자(Platelet Activating Factor, PAF) 및 류코트리엔(leukotriene) 등의 단백 매개물질을 분비 함으로써 알레르기성 질환의 병태 생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9].
알레르기 비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무엇인가? 알레르기 비염의 대표적 증상은 수양성 콧물, 재채기, 코 가려움 및 코 막힘으로 눈이나 입천장의 가려움증이 동반되며 특히 눈 증상은 비알레르기 비염과 구분되는 알레르기 비염의 증상이다[6].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 야간에 숙면을 취하지 못하여 낮 동안 피로감, 무력감 또는 집중력 저하, 일상생활 기능 저하 등이 나타난다[10].
알레르기 비염의 증상들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알레르기 비염의 대표적 증상은 수양성 콧물, 재채기, 코 가려움 및 코 막힘으로 눈이나 입천장의 가려움증이 동반되며 특히 눈 증상은 비알레르기 비염과 구분되는 알레르기 비염의 증상이다[6]. 이러한 증상으로 인해 야간에 숙면을 취하지 못하여 낮 동안 피로감, 무력감 또는 집중력 저하, 일상생활 기능 저하 등이 나타난다[10]. 또한 인지능력에서도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기억력, 기억회상, 정보수행능력이 일반인 보다 저하되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vention of allergy and allergic asthma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cited 2011 March 4]. Available from: http://www.worldallergy.org/professional/who_paa2003.pdf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National health statistics-The 5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Survey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cited 2014 February 10].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knhanes/index.do 

  3. Dalal AA, Stanford R, Henry H, Borah B. Economic burden of rhinitis in managed care: a retrospective claims data analysis. Annals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2008);101(1):23-9. http://dx.doi.org/10.1016/S1081-1206(10)60830-7 

  4. Chae YR, Choi DH, Yu SJ. Predictors of poor sleep quality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4;16(2):98-104. http://dx.doi.org/10.7586/jkbns.2014.16.2.98 

  5. Song MR, Kim EK. Effects of eucalyptus aroma therapy on the allergic rhinitis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4;16(4):300-8. http://dx.doi.org/10.7586/jkbns.2014.16.4.300 

  6. Kim CW. Current update on allergic rhiniti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2;82(3):298-303. 

  7. Kim WK. Therapeutic approaches to allergic rhinitis.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2004;14(3):183-95. 

  8. Frew AJ. Sublingual immunotherap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8;358(21):2259-64. 

  9. Rondon C, Fernandez J, Canto G, Blanca M. Local allergic rhinitis: concept, clinical manifestations, and diagnostic approach. Journal of Investigational Allergology & Clinical Immunology. 2010;20(5):364-71. 

  10. Kakumanu S, Glass C, Craig T. Poor sleep and daytime somnolence in allergic rhinitis: significance of nasal congestion.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Medicine. 2002;1(3):195-200. 

  11. Kremer B, Den Hartog HM, Jolles J. Relationship between allergic rhinitis, disturbed cognitive func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linical & Experimental Allergy. 2002;32(9):1310-5. 

  12. Choi EH, Kang B, Lee HY, Kang HS, Kim JH, Lim DH, et al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 level of awareness of allergic rhinitis. Pediatric Allergy & Respiratory Disease. 2010;20(2):188-96. 

  13. Ki L, Han DM, Lu XF, Zhang 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and its associated factors analysis. Chinese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2009;44(12):982-5. 

  14. Skoner DP. Allergic rhinitis: definition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detection and diagnosis. Journal of Allergy & Clinical Immunology. 2001;108:2-8. 

  15. Song MS, Suh YS. Effects of aromatherapy on blood pressure, pulse fatigue, and sleep for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0;12(1):16-23. 

  16. Jeong JW. Diagnosis and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Inje Medical Journal. 2002;13(2):225-31. 

  17. Rhee CS. Immunotherapy for allergic rhinitis: current and future. Korean Journal of Otolaryngology. 2005;48:1312-22. 

  18. Schnaubelt K. Medical aromatherapy frog itd, healing with essential oil. USA: North atlantic book; 1999. 

  19. Kim G, Yoon MY, Kim DH. Research for inhibitory effect of aromatherapy on allergic asthma by flow cytometer. Journal of DaeJeon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2004;12:145-56. 

  20. Jeon YK. Inhibitory effect of the induced allergic asthma murine by peppermint inhalation therapy. [master's thesis]. Daejeon: Daejeon University; 2010. 

  21. Inoue T, Sugimoto Y, Masuda H, Kamei C. Antiallergic effect of flavonoid glycosides obtained from mentha piperita L. 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2002;25(2):256-9. 

  22. Vigo E, Cepeda A, Gualillo O, Perez-Fernandez R. In vitro anti-inflammatory effect of eucalyptus globulus and thymus vugaris: nitric oxide inhibition in J774A.1 murine macrophages. Journal Pharmacy and Pharmacology. 2004;56(2): 257-63. 

  23. Ha BJ. Aroma therapy. Seoul: Soomoonsa; 2006. 

  24. Bukle J. The role of aromatherapy in nursing care. Th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2001;36(1):52-72. 

  25. Park KH, Jo JS, Lee KH, Shin SY, Moon JH, Cha CI. Rhinoconjunctivitis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RQLQ) as an evaluator of perennial allergic rhinit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2;45(3):254-62. 

  26. Kim YJ, Kim JH, Shin HS, Lee BJ, Jeoung YS. Effect on the symptom score and nasal secretion eosinophils: a comparative study of intranasal budesonide and oral terfenadine in perennial allergic rhinitis. Journal of Asthma, Allergy & Clinical Immunology. 2001;21(1): 216-22. 

  27. Han SH, Hur MH, Park JH, Lee EJ, Park MK. Aromatherapy for woman. Seoul: Hyunmoonsa; 2002. 

  28. Shin GR. The therapeutic effect of mixed oil of german chamomile, lavender, sandalwood on atopic dermatitis of animal model, NC/Nga mice. [dissertation]. Daejeon: Daejeon University; 2006. 

  29. Furuhata K, Dogasaki D, Hara M, Fukuyama M.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everal herbs on legionella pneumophila. Journal of Azabu University. 2000;1(2):15-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