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왕가의 식치(食治)에 사용된 인삼속미음(人蔘粟米飮)의 기원 및 의미에 관한 고찰
Review of the Origin and Meaning of Ginseng Millet Water Gruel (Insamsokmieum, 人蔘粟米飮) used for the Royal Family During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0 no.4, 2015년, pp.395 - 405  

정연형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김동율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임현정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차웅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samsokmieum (人蔘粟米飮), which is a kind of water gruels made with millet, ginseng, glutinous rice, and some minor ingredients, was frequently used as a medicinal food for the royal family, and it appeared first at the 10th year of King Sukjong's reign. We investigated Insamsokmieum through a litera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삼속미음’을 한의학적, 영양학적 관점에서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또한 조선시대 왕가에서 ‘인삼속미음’이 처음 등장한 배경과 숙종대 식치(食治)로 활용된 증상 및 효과를 정리하고, 이를 현대 영양학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숙종대에 처음 등장하여 고종대까지 지속적으로 왕실에 처방되어 올려진 ‘인삼속미음’의 기원과 영양학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조선왕실에서 올려진 치료식의 종류와 한의학적 효능은 문헌을 통하여 그 특성과 효능이 밝혀진 것이 있으나 한의학적인 특성과 영양학적 특성을 고려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 전통 요리를 재현한 조리문헌에서 조선왕가에 처방된 ‘인삼속미음’과 유사한 ‘속미음’에 대한 기록을 조사하여 에 정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속미음은 어떤 음식인가요? ‘인삼속미음(人蔘粟米飮)’은 인삼(人蔘)과 속미(粟米), 즉 좁쌀을 기본으로 한 미음으로 왕실에서 환자식 또는 회복식으로 활용하던 음식이다. 그리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왕에게 원기회복과 비위를 보해주는 보양식품으로 이용되기도 했다(Kim 2009).
인삼속미음의 유형 세 가지는 무엇인가? 1) 숙종대에 왕실에 올려진 ‘인삼속미음’의 유형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여러 조리문헌과 승정원일기의 내용을 토대로 ‘속미음’을 세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번째는 속미(粟米)로 만든 미음으로 ‘속미음’ 또는 ‘좁쌀 미음’으로 좁쌀 또는 좁쌀과 멥쌀을 함께 끓이는 것이다. 두번째는 인삼을 넣은 ‘속미음’으로 좁쌀을 주재료로 하여 인삼과 황률, 대추를 넣고 끓여 생강즙을 더하여 내는 것이다. 마지막은 인삼, 대추, 황률을 넣어 만든 미음으로, 좁쌀을 이용하지 않고 멥쌀 또는 찹쌀을 대신 넣어 끓인 것이었다.
승정원일기에서 인삼속미음은 언제 처음 처방되었나요? 조선왕실에서 사용된 미음에는 ‘갱미음(粳米飮)’, ‘청량미음(靑梁米飮)’, ‘나미음(米飮)’, ‘목미음(木米飮)’, ‘홍합미음(紅蛤米飮)’, ‘청미음(淸米飮)’, ‘직미음(稷米飮)’, ‘속미음(粟米飮)’ 등이 있으며 특히 숙종 때부터 등장한 ‘인삼속미음(人蔘粟米飮)’은 숙종 이후 경종, 영조, 정조, 순조, 헌종, 철종, 고종에 이르기 까지 빈번하게 처방(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SeungjungwonIlgi (승정원일기,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e YH.2003. Contains the wisdom of the ancestors. Korean Porridges (조상의 지혜가 담긴 한국의 죽). Hallym publisher, Seoul, Korea, pp 127 

  2. Han BR, Jung GJ. 2004. Royal Cuisine of the Joseon Dynasty (조선왕조 궁중음식). Institute of Korean Royal Cuisine, Seoul, Korea, pp 105 

  3. Han MK. 2004. Food material sicence (식품재료학). Sinjeong, Seoul, Korea, pp 50-120 

  4. Jang YG, Byeon GW, Lee BG, Lee JH, Lee HM. 2006. Medical nutrition therapy: Diet according to the disease (임상영양관리: 질병에 따른 식사요법). Hyoil, Seoul, Korea, pp 66-73 

  5. Jeon SU. Sikryochanyo (식료찬요). In : Kim JD editor. 2006. Yesmin, Suwon, Korea, pp 66 

  6. Jo GY. 2013. Look into Joseon as a diary (일기로 본 조선).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edies, Kyunggi, Korea, pp 18-50 

  7. Kang MG. 1992. Jejungsinpyun (제중신편). Yeokang publisher, Seoul, Korea, pp 556-580 

  8. Kim DH. 2010. Power of win, Ginseng (이기는 힘, 인삼). K&P Books, Seoul, Korea, pp 60-65 

  9. Kim HC. 2003. Oriental medical dietetics (한방식이요법학). Kyung Hee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p 72-182 

  10. Kim JS. 2009. Resolved to Oriental medicine, My body User's Guide (한의학으로 풀어본 내 몸 사용설명서). Random house Korea, Seoul, Korea, pp 33-48 

  11. Kim MH, Han JY, Kim JY. 2005. Traditional Korea Food (전통한국음식). Kwangmoonkag, Seoul, Korea, pp 73 

  12. Lee HW. 2007. Sukjong, Stand by the Supreme Joseon (숙종 조선의 지존으로 서다). Hainaim, Seoul, Korea, pp 87-92 

  13. Lee YE. 2003. Oriental Food Material (한방 식품재료학). Kyomunsa, Kyunggi, Korea, pp 72-181 

  14. Lee YG, Old Food Society. 2001. Look back to learn Mussang sinsik yorijebup (다시 보고 배우는 무쌍신식요리제법). Institute of Korean Royal Cuisine, Seoul, Korea, pp 26 

  15. Park HG, Lee GH, Choi JB. 2009. SeungjeongwonIlgi: Discuss the politics of communication (승정원일기: 소통의 정치 를 논하다). Sancheoreom, Seoul, Korea, pp 192-193 

  16. Yeom CA, Jang MS, Yoon SJ. 1992. Korea Food (한국음식). Hyoil Munhwasa, Korea, pp 81-82 

  17. Yoon SJ, Jeon SU. Diet therapy of Royal family ( 왕실의 식이요법). In.: Kim JD editor. 2012. Jigu publishing Co., Paju, Korea, pp 30-31 

  18. Bok HJ. 2007. Literary investigation and traditional food cooking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a breakfast food substitute food I (Analysis of Mieum, Misu, and Goeum during 1400's-1945's), Korean J. Food Cook. Sci., 23(6):91-92 

  19. Cho EJ, Shin HS. 1996. Analytical Study of Jook (Koreean gruel) Appeared in the Books. Korean J. Diet. Cult., 11(5):609-619 

  20. Cho MS, Lee KR. 2011. A study on changes in the cooking process of gruel in cook books written during last 100 years. Korean J. Food & Nutr, 24(4):589-601 

  21. Ha YD, Lee SP. 2001. Characteristics of proteins in italian millet, sorghum and common meillet.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2) : 188 

  22. Kim H. 2008. A study on medical treating the royal family with eating food in Choson Dynasty. J. Choson Dynasty History, 45:135-177 

  23. Kim KY, Lee GM, Yu BS. 1999. The study for antifibrotic effcts of water extracts from ginsseng and notoginseng in experimental liver fibrosis (cirrhosis). J. Korea acupunct. moxibustion Soc., 16(1):311-312 

  24. Kim SB, Han BJ, Lee SW. 1989. A study of cookery of daily meal (Jook Soora Sang: Rice Gruel, Mieum Sang: Thin Gruel, Soora Sang and Bankwa Sang in Hyun Neung Won) in Wonheng Ulmyo Jungri Euigwae (1795). J. Korean Soc. Food Cult., 4(4):333-335 

  25. Lee HW, Kim H. 2006. About the diseases and medical treatments of king Hyeonjong, Sukjong, Gyeongjong, Yeongjo in the Joseon dynasty. J. Korean Med. Class., 19(3):234-251 

  26. Lee S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uel added with ramie leaves. Korean J. Culin. Res.,15(5):76-86 

  27. Lim HJ, Cha WS. 2013. Review of application of medicinal porridges by king-Injo of the Joseon dynasty-based on the records from the 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J. Korean Soc. Food Cult., 28(5): 438-439 

  28. Ly SY, Oh HI. 1997. Effect of glutaminem, glycine and nucleosides/nucleotide mixture on intetinal mucosal growth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1):130 

  29. Pahng SH, Cha WS. 2012. A study of queen Inhyun's death through the clinical records in SeungjeongwonIlgi. Korean J. Orient. Med., 18(1):1-5 

  30. Shin KE, Choi SK, Rha YA.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rakjuk added with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Korean J. Culin. Res.,15(4):86-98 

  31. Song KH, Kim MS, Han KH, Lee KS, Chon CY, Moon YM, Ahn SH, Lee JH. 2001. Prospective study on efficacy of oral supplement of branched chain amino acid granules on the nutritional status. Clin. Mol. Hepatol., 7(4):437-438 

  32. FANTASY. http://www.foodnara.go.kr [Accessed 2014.09.10] 

  33. Joseonwangjosillok (朝鮮王朝實錄). http://sillok.history.go.kr [Accessed 2014. 08. 01] 

  34. SeungjeongwonIlgi (承政院日記). http://sjw.history.go.kr [Accessed 2014. 08. 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