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거주 동남아 노동자의 식생활 실태 비교분석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Life of Southeast Asian Workers Living in South Korea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0 no.4, 2015년, pp.422 - 431  

이은정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  이경란 (안산대학교 호텔조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dietary status of Southeast Asian workers living in South Korea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a program that allows workers to map desirable eating habits while living in Korea.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251 Southeast East Asian workers living in South Ko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남아 노동자들의 식생활실태를 조사함으로써 이들이 한국에서 근무하는 기간 동안 바람직한 식생활을 지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외국인 노동자들은 한국에서 근무 후 본국에 돌아가 한국음식을 알리는 전도사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므로, 본 연구는 한국음식과 한국식품의 동남아시아 진출 시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전망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남아 노동자들의 식생활실태를 조사함으로써 이들이 한국에서 근무하는 기간 동안 바람직한 식생활을 지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외국인 노동자들은 한국에서 근무 후 본국에 돌아가 한국음식을 알리는 전도사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므로, 본 연구는 한국음식과 한국식품의 동남아시아 진출 시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전망이다.
  •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동남아 노동자의 식생활 실태를 분석하여, 한국에서 거주하는 동안 바람직한 식생활을 지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조사되었으며,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정부는 재외동포를 국내로 유입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는가? 한국은 점차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들고 있어 성장잠재력을 계속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외국인 인력유입과 같은 이민정책이 필요하다(Maeil Economics 2014). 한국 정부는 상대적으로 문화적 차이가 적은 재외동포를 국내로 유입하기 위해 2012년부터 비자 발급조건을 완화하는 한편, 고용허가제를 통해 인력송출양해각서(MOU)를 체결한 필리핀, 몽골, 스리랑카, 베트남, 태국,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중국, 방글라데시, 키르키즈스탄, 네팔, 미얀마, 동티모르 등 총 15개국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우리나라에서 E-9 비자를 받고, 최장 4년 10개월간 취업할 수 있게 하였다(Statistics Korea 2014).
한국은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성장잠재력이 떨어지고 있는데 이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한국은 점차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들고 있어 성장잠재력을 계속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외국인 인력유입과 같은 이민정책이 필요하다(Maeil Economics 2014). 한국 정부는 상대적으로 문화적 차이가 적은 재외동포를 국내로 유입하기 위해 2012년부터 비자 발급조건을 완화하는 한편, 고용허가제를 통해 인력송출양해각서(MOU)를 체결한 필리핀, 몽골, 스리랑카, 베트남, 태국,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중국, 방글라데시, 키르키즈스탄, 네팔, 미얀마, 동티모르 등 총 15개국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우리나라에서 E-9 비자를 받고, 최장 4년 10개월간 취업할 수 있게 하였다(Statistics Korea 2014).
한국에 거주하는 동남아 노동자에 대한 성별에 따른 식생활 관련 행태 및 식생활 적응의 조사에서 식사시간의 규칙성에 대한 질문에는 어떤 답변들이 있었고 그에 따른 결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2. 식사시간의 규칙성에 대한 질문에서 타 국가에 비해 베트남인들은 규칙적으로 식사를 하는 일수가 적다고 답변했는데 태국인, 캄보디아인, 미얀마인은 주 6~7일을 규칙적으로 먹는 인구가 과반을 넘었으나 베트남인은 주 4~5일 규칙적으로 먹는 인구가 37.4%로 가장 많았고 주 6~7일을 규칙적으로 먹는 인구는 35.4%에 해당하였다. 아침식사 빈도에 관한 질문에서 평소 아침을 먹는다는 응답은 베트남 81.2%, 캄보디아 85.7%, 미얀마 79.3%로 나타난 반면, 태국인은 62.9%로 응답하여 아침을 거르는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베트남인들은 간식 대신 식사에 충실한 반면,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인들은 식사 사이에 간식을 자주 섭취하고 있었다. 본 국의 식생활에서 하는 것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gricult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Eco food institute of Hoseo university 2012. Tasting Korean food of the world (세계의 한식을 맛보다). Korea, pp 65-66 

  2. Asano K, Yoon J, Ryu SH. 2014.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etary life after immigration to Korea:comparison between Han-Chinese and Korean-Chinese. Korean J. Community Nutr., 19(4):317 

  3. AQUA 2009. Crazy on Thailand (태국에 미치다). Random House Korea, Korea, pp 56-58 

  4. Chae OH, Hong DAG. 2007. Case study for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s' adjustment to Korea. Jirean Assoc. Hum. Ecol., 15(1):61-73 

  5. Franzen L, Smith C. 2009. Acculturation and environmental change impacts dietary habits among adult Hmong. Appetite, 52(1):173-183 

  6. Gu NS, Kwon SJ, Lee KA, Lee SY. 2012. Food and culture in the world. Kyomunsa, Korea, pp 85 

  7. Jo JS, Kim KN. 2014.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for dietary habit survey of Korean adults. Korean Soc. Community Nutr., 19(3):258-273 

  8. Kang YJ, Jeong HS. 2013.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Korean food culture among immigrant housewives to design educational plans. J. Korean Soc. Food Cult., 28(3): 246-260 

  9. KFF (Korean Food Foundation, 한식재단). 2015. Global dining and Korean food industry research conference (글로벌 외 식 및 한식산업 조사결과 발표회), Korea, pp 121 

  10. Kim JM, Lee NH. 2009. Analysis of the dietary life of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Daegu area. J. Korean Diet. Assoc., 15(4):405-418 

  11. Kim YS, Kim MJ, Han GS. 2006. Policy task for cultural conflict experience and the promotion of communication of immigrant women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 Korea, pp 68-69, 78-80 

  12. Korean Dining Out Information 2013. (2013) Yearbook of Korean dining out (한국외식연감). Korean Dining Out Information, Korea, pp 415 

  13. Kremmyda L. S, Papadaki A, Hondros G, Kapsokefalou M, Scott J. A. 2008. Differentiating between the effect of rapid dietary acculturation and the effect of living away from home for the first time, on the diets of Greek students studying in Glasgow. Appetite, 50(2-3):455-463 

  14. Lee EJ, Pei YQ, Kim EM. 2013.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dietary satisfaction with age in North Korean refugees. Korean J. Culin. Res., 19(2):93-110 

  15. Lee JS. 2012. The Factors for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6):807-815 

  16. Lesser I. A, Gasevic D, Lear S. A. 2014. The association between acculturation and dietary patterns of South Asian immigrants. PLoS One, 9(2):e88495 

  17. Lv N, Cason K. L. 2004. Dietary pattern change and acculturation of Chinese Americans in Pennsylvania. J. Am. Diet Assoc., 104(5):771-778 

  18. So J, Han SN. 2012. Diet-related behaviors, perception and food prefer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Vietnamese wives. Korean J. Community Nutr., 17(5):589-602 

  19. Unger J. B, Reynolds K, Shakib S, Spruijt-Metz D, Sun P, Johnson C. A. 2004. Acculturation, physical activity, and fast-food consumption among Asian-American and Hispanic adolescents. J. commun. health, 29(6):467-481 

  20. Van Rompay M. I, McKeown N. M, Castaneda-Sceppa C, Falcon L. M, Ordovas J. M, Tucker K. L. 2012. Acculturation and sociocultural influences on dietary intake and health status among Puerto Rican adults in Massachusetts. J. Acad. Nutr. Diet, 112(1):64-74 

  21. Wahlqvist M. L. 2002. Asian migration to Australia: food and health consequences. Asia Pacific J. Clin. Nutr., 11(s3):S562-S568 

  22. KTO (Korea Tourism Organization). Korean Tourism Statistics (한국 관광 통계). Available from:http://kto.visitkorea.or.kr/kor/notice/data/statis/profit/board/view.kto?id424448&isNoticefalse&instanceId294&rnum2, [accessed 2015. 6. 12] 

  23. Maeil Economics. Oversea Korean supplement manpower shortage. Available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4&no1346644, [accessed 2015. 04. 02] 

  24. Statistics Korea. Investigation of foreign employment 2014.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bSeq&aSeq331164&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accessed 2015. 04. 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