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pt Maps on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Nutrition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4, 2015년, pp.19 - 37  

이연희 (강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  김남희 (강원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개념도 분석을 통해 유아교사의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지식과 지식수준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대구 경북지역 유아교사 105명을 대상으로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개념도를 작성하도록 한 후 개념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지식을 살펴본 결과, 상위개념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식습관이었고, 유아영양교육 내용요소별 재분류한 결과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청결과 위생이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지식수준을 살펴본 결과, 상위개념에 포함된 종속개념 수와 위계의 평균이 가장 높은 것은 식문화였고, 특성점수에서는 음식이 가장 높았다. 밀도는 비슷한 수준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교사가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해 보다 위계적, 조직적, 통합적 지식을 갖고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and the level of their knowledge on the contents of early childhood nutrition education. The subjects were 105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y were asked to draw a concept map. The number, characteristics and density of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ovak과 Gowin(1984)의 개념도를 근거로 황해익, 김미진, 김병만 (2014), 이송이, 손원경(2012), 홍민경, 이경화(2011)의 연구에서 사용한 개념도 분석방법을 사용 하여 교사들이 작성한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관한 개념도를 분석하고, 유아영양교육 내용의 선정및 조직의 위계와 연속성을 파악하여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지식체계와 구조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개념들을 파악하여, 유아영양교육내용에 대한 균형 있는 지식체계와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유아영양교육 교사연수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작성한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개념도를 분석하고,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지식 내용 및 지식수준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 이상과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유아기 영양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유아 영양교육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지식과 그 지식 특성을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향후 유아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유아교사 교육을 위한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유아영양교육 내용에 대한 지식과 지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개념도 분석을 하고자 한다. 개념도란 지식구조 표현 방법 중 하나로 명제 속에 내포되어 있는 개념들의 의미를 도식으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Novak & Gowin, 1984).
  • 유아영양교육은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건강과 영양상태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경험을 통해 유아 스스로 바람직한 식생활 행동을 습득하고 실천하여 습관화 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을 의미한다(서울특별시보육정보센터, 2006; 이기현, 2009). 즉, 유아가 영양과 식품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식생활에 바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유아의 식습관 형성은 무엇에 영향을 받고 있는가? 유아의 식습관 형성은 가정에서 부모, 형제의 영향을 받았던 과거와는 달리 자녀수 감소, 취업모 증가 등 사회변화로 인해 가정에서 보다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의 교사나 또래들로부터 더 많은 영향을 받게 되었다(홍미애, 최미숙, 한영희, 현태선, 2010). 오늘날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이 종일제로 운영되면서, 유아들은 1회 이상의 급·간식을 유아교육기관에서 섭취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가정에서 담당해오던 유아의 영양관리와 식습관 지도의 많은 부분이 유아교육기관과 교사들에게 맡겨지게 되었다(박상현, 박소연, 김수정, 이지우, 이하나, 정솔 등, 2011; 엄정애, 이성희, 2004; 이미숙, 이경혜, 2014; 정미선, 김남희, 2011).
유아영양교육이란? 유아영양교육은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건강과 영양상태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경험을 통해 유아 스스로 바람직한 식생활 행동을 습득하고 실천하여 습관화 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을 의미한다(서울특별시보육정보센터, 2006; 이기현, 2009). 즉, 유아가 영양과 식품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식생활에 바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외국 유아영양교육의 내용에는 어떤 것도 포함되는가? , 2004; Valentine, 2000; Witt & Dunn, 2012). 특히 외국의 경우 특이할만한 점은 이러한 유아영양교육을 가정 및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유아 뿐 아니라 학부모의 영양지식과 기술 향상, 유아의 음식섭취 및 선호에 대한 자기조절력 향상, 식사에 대한 긍정적 유아-부모 간 상호작용 향상과 같은 내용(Chan, 1999; Coleman, Horodynski, Contreras, & Hoerr, 2005; Goodwin et al., 2015; Horodynski & Stommel, 2005; Yadav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강은혜 (2009). 영유아 영양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어린이집 영양교육의 현황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현주, 김경미, 김경자, 류은순 (2000). 유치원 영양지원을 위한 영양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평가. 한국영양학회지, 33(1), 68-79. 

  3.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4. 교육부 (2001). 유치원교육활동 지도자료 1. 서울 : 대한교과서주식회사. 

  5. 김일옥, 양은영, 최현덕 (2010). 유아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4세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61, 45-62. 

  6. 김정희, 정연향 (2014). 어린이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를 이용한 노원구 유아의 식행동 및 영양상태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9(1), 1-11. 

  7. 김종백 (2008). 텍스트이해를 위한 개념도 사용의 효과적 활용전략: 협력적 논쟁과 자기설명의 상호작용 효과. 교육심리연구, 22(2), 461-478. 

  8. 박금미 (2005). 어린이집 교사들의 영양지식과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0(6), 920-929. 

  9. 박상현, 박소연, 김수정, 이지우, 이하나, 정솔, 한소희 (2011). 영유아 보육시설 어린이 대상 영양교육 프로그램 효과 평가.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지, 28, 1-14. 

  10. 박선아, 윤은영 (2013). 대전지역 유아대상 영양플러스 사업 효과-유아 영양개선과 보호자 영양 지식 및 태도에 미친 영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8(1), 1-10. 

  11. 박선희, 김희태 (2009). 아동건강교육.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2. 박은혜 (2002). 수업사례활동의 효과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평가. 유아교육연구, 22(1), 105-124. 

  13. 배영미, 안숙자 (1995). 어린이집 교사와 원아를 위한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1(1), 58-68. 

  14. 배재정 (2012). 한국과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개념도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559-584. 

  15. 보건복지부 (2013).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이해. 서울: 보건복지부. 

  16. 서울특별시 보육정보센터 (2006). http//children.seoul.go.kr/index.html. 

  17. 서주영 (2009). 유아의 영양섭취 조사와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서혜은, 손유진 (2013). 보육교사와 부모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유아교육연구, 33(1), 323-344. 

  19. 손숙미, 이경혜, 김경원, 이연경 (2009). 영양교육 및 상담의 실제. 서울: 라이프사이언스. 

  20. 송연숙 (2006). 개념도 학습전략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37(3), 131-154. 

  21. 신동주 (1997).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어린이 영양에 대한 태도 및 교육 배경과 영양지식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강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0(2), 219-227. 

  22. 신은경 (2005). 어린이집 유아들의 영양 상태 및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3. 심성경, 이효숙, 변길희, 김은아, 박유미 (2008). 유아문학교육 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아동학회지, 29(1), 355-371. 

  24. 심성경, 이효숙, 임선옥, 박순이, 허은주, 박지애 (2003). 유아음악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 분석, 아동학회지, 24(4), 71-88. 

  25. 엄정애, 이성희 (2004). 유아교사의 유아 영양에 대한 태도 및 영양지식의 정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3), 132-161. 

  26. 윤정아 (1998). 유아사회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의 개념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기완, 남혜원, 명춘옥, 박영심 (2005). 보육교사들의 영양지식 및 급식지도 활동에 대한 조사. 동아시아 식생활 학회지, 15(5), 623-631. 

  28. 이기현 (2009). 유아영양교육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3(3), 69-96. 

  29. 이미숙, 이경혜 (2014). 채소를 주제로 한 유아대상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20(1), 26-35. 

  30. 이송이, 손원경 (2012).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개념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5), 67-87. 

  31. 이순형, 이성옥, 민하영, 이영미, 한유진, 장영은, 최나야, 김지현, 김진경, 정현심 (2009). 영유아건강교육. 서울: 학지사. 

  32. 이영미 (2005).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급식운영 실태와 유아 식사섭취량조사. 한국영양학회, 38(3), 232-241. 

  33. 이영미, 이기완 (1996). 유치원 교사들의 영양지식 및 간식 급식에 대한 태도조사연구. 지역사회영양학회지, 1(3), 423-432. 

  34. 이현옥 (2007). 유아 대상 건강 영양 교육 프로그램 내용 및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2), 202-208. 

  35. 이현옥, 최상순, 김정주 (2005). 유아수학교육 내용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개념도 분석. 교육과학연구, 36(2), 177-194. 

  36. 이혜상, 박명희, 김동주 (2005). 초등학교의 영양교육 실태 및 개선점에 관한 연구. 교과교육연구논집, 2, 287-300 

  37. 이효숙 (2006). 예비유아교사와 경력유아교사 간 개념도의 구성과 특성에 대한 차이연구. 교육종합연구, 4(2), 142-158. 

  38. 임은수, 조영숙, 김세나, 김숙배 (2012). 초등학교 고학년용 영양교육 소책자 개발 및 효과 분석- 하루 필요 식품군 단위수 교육을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7(6), 689-706. 

  39. 전혜인 (2006). 어머니의 자녀 식생활 지도관리 실태 및 유아영양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정미선, 김남희 (201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양교육 실태 및 요구 조사. 생태유아교육연구, 10(2), 131-154. 

  41. 조경자, 이현숙 (2010). 유아건강교육. 서울: 학지사. 

  42. 조혜정 (2008). 유아교육기관의 급식실태 및 교사들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한영신, 김수안, 이윤나, 김정미 (2015). 영유아 식행동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정.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1), 1-10. 

  44. 홍미애, 최미숙, 한영희, 현태선 (2010). 보건소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습관 및 부모의 식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5(5), 593-602. 

  45. 홍민경, 이경화 (2011).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개념도 분석. 아동학회지, 32(3), 241-255. 

  46. 황해익, 김미진, 김병만 (2014).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59-79. 

  47. Briggs, M., Fleischhacker, S., & Mueller, C. G. (2010).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school nutrition association, and society for nutrition education: Comprehensive school nutrition services.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42(6), 360-371. 

  48. Briggs, M., Safaii, S., & Beall, D. L. (2003).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society for nutrition education, and American school food service association-nutrition services: an essential component of comprehensive school health program.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3(4), 505-514. 

  49. Burney, J., & Haughton, B. (2002). EFNEP: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demonstrates cost-benefit. Journal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102(1), 39-45. 

  50. Chan, W. (1999). Emerging issues for the next millenium. Nutrition & Food Science, 99(2), 78-80. 

  51. Coleman, G., Horodynski, M. A., Contreras, D., & Hoerr, S. M. (2005). Nutrition education aimed at toddlers(NEAT) curriculum.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37(2), 96-97. 

  52. Dunn, C., Thomas, C., Pegram, L., Ward, D., & Schmal, S. (2004). Color me healthy, preschoolers moving and eating healthfully.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36(6), 327-328. 

  53. Gillespie, A. H. (1981). A theoretical framework for studying school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13(4), 150-152. 

  54. Goodwin, D. K., Marsh, J. F., Roberts, W. T., Napoli, P. K., & Cline, B. (2015). Playful learning paired with age-appropriate educational reinforcement can affect the food choice of pre-k children in a simulated grocery shopping activity.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1(1), 1-3. 

  55. Horodynski, M. A., & Stommel, M. (2005). Nutrition education aimed at toddlers: An intervention study. Pediatic Nursing, 31(5), 364-367. 

  56. Jones, A. M., & Zidenberg-Cherr, S. (2015). Exploring nutrition education resources and barriers, and nutrition knowledge in teachers in California.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47(2), 162-169. 

  57. Novak, J. D., & Gowin, D. 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8. Valentine, S. (2000). Food and nutri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curriculum. Nutrition & Food Science, 30(3), 105-109. 

  59. Whited, T., Kim, L., & Whaley, S. (2015). Using an “app” for online nutrition education with participants in the special supplemental nutrition program for women, infants and children(WIC). The Journal of the Federation of American Societies for Experimental Biology, 29(1), 910-913. 

  60. Witt, K. E., & Dunn, C. (2012). Increasing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mong preschoolers: evaluation of color me healthy.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44(2), 107-113. 

  61. Yadav, D. K., Gupta, N., Shrestha, N., Kumar, A., & Bose, D. K. (2014). Community based nutrition education for promotion nutrition status of children under three years in rural areas of Mahottari district of Nepal. Journal of Nepal Paediatric Society, 34(3), 181-1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