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인식 및 요구도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Flourish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Infant Teache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4, 2015년, pp.167 - 187  

강현미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  황해익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필요성 및 요구도를 살펴봄으로써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나아가 영아보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내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영아교사 213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행복플로리시 역량에 대한 인식은 전체적으로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관유형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행복플로리시 증진을 위한 노력여부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노력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정도, 효과정도, 프로그램 목표, 실시주기, 교육방법, 참여의사에서는 배경변인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행복플로리시 역량에 대한 필요성은 기관유형에 따라, 프로그램 실시시기와 프로그램 운영자는 기관유형,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urpose fundamental data which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a flourish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infant teachers. The methods of the questionnaire study were performed on 213 infant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영아교사가 행복이 지속적으로 번영된 상태라고 할 수 있는 행복플로리시하기 위해 실제 보육현장에서 필요한 행복플로리시 역량을 증진시키는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연구문제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기관유형, 학력, 경력 등에 따라 행복플로리시 역량에 대한 인식 및 실태, 프로그램에 대한 영아교사의 요구도를 살펴보는 것은 추후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보다 영아교사의 요구와 관심에 적합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관유형, 학력, 경력에 따라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확인하는 작업을 통해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따라서 영아교사가 보다 자신의 직업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현장에서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영아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증진시켜줄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방안과 체계의 마련이 요구된다. 즉,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인식 및 요구도를 살펴보고 이에 따라 도출된 연구결과는 행복플로리시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시 영아교사의 요구도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아교사의 긍정적인 심리 상태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또한 영아기의 행복은 이후 성인의 긍정적인 삶의 만족도를 예측하는 주요한 지표인 것으로 나타났음을 살펴볼 때(Coffey, Warren, & Gottfried, 2014) 영아교사의 행복은 매우 중요한 측면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영아교사의 건강하고 긍정적인 심리상태는 영아의 긍정적인 발달·성장과 더불어 행복한 경험을 형성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인이며, 궁극적으로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적 자원이므로 영아교사의 긍정적인 심리 상태에 대하여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영아교사의 사랑, 관심, 애정이 담긴 긍정적 감정 표현은 영아가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행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Day, 2013),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아에게 영아교사의 행복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영아기는 어떠한 시기인가? 영아기는 신체 및 뇌 발달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일 뿐만 아니라 이후 성인의 정서,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애착형성에 중요한 시기이다. 이 때 영아와 함께 지내는 영아교사는 영아의 자조능력과 기본생활습관 등의 긍정적 발달을 이끌어 갈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환경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황해익, 강현미, 탁정화, 2013).
영아기의 아이에게 중요한 환경적 요인은? 영아기는 신체 및 뇌 발달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일 뿐만 아니라 이후 성인의 정서,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애착형성에 중요한 시기이다. 이 때 영아와 함께 지내는 영아교사는 영아의 자조능력과 기본생활습관 등의 긍정적 발달을 이끌어 갈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환경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황해익, 강현미, 탁정화, 2013). 그러나 이와 같은 영아교사 역할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최근 어린이집 교사의 신체적·정서적 학대와 같은 사건이 발생하고 있으며, 정서적으로 안정되어야 할 시기에 부정적 정서를 경험한 영아는 긍정적인 발달을 이룰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강영하 (2012). 초등학생의 학교 행복감 구성요인 탐색. 초등상담연구, 11(2), 219-235. 

  2. 강현미 (2015). 영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역량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3), 159-184. 

  3. 곽희경 (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구재선, 김의철 (2006). 한국인의 행복 경험에 대한 토착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2(2), 77-100. 

  5. 구재선, 서은국 (2013). 행복이 미래 수입과 직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7(2), 17-36. 

  6. 김미정, 황해익, 김온기, 강현미 (2013). 연구보고 2013-3. 부모, 유아, 교사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직장보육서비스 개선방안. 서울: 직장보육센터. 

  7. 김민경 (2011). 대학생의 행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연구, 18(10), 1-34. 

  8. 김순환, 전샛별 (2010). 경력에 따른 영아반 교사들의 어려움과 관심사, 현직교육에 관한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27(3), 239-267. 

  9. 네이버 국어사전 (2015). 문화.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4437200. 출력일 2015년 4월 10일 인출. 

  10. 문승연, 최인숙 (2011). 사회복지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5(1), 305-327. 

  11. 문안근 (2012). 행복의 기술. 서울: 남벽수출판사. 

  12. 박기현 (2015). "일.가정 양립, 국가 경제 도약 위한 최선의 길". http://www.ytn.co.kr/_ln/0101_201507061814080289. 출력일 2015년 7월 9일. 

  13. 박병기, 김미애, 이세현, 권태순, 김지영, 이시은 (2014). 유아교사의 행복 경험: 여섯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아동교육, 23(3), 205-224. 

  14. 삼성경제연구소 (2013). 직장인의 행복에 관한 연구.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15. 이경애 (2010). 유아교사의 행복과 직무관련변인의 관계분석: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역할수행능력, 이직의도률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이성아 (2014).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순미 (2014). 유아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변인.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이용환 (2011). 어린이집 교직원의 행복결정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아시아아동복지연구, 9(2), 1-19. 

  19. 임은기, 정태연 (2009). 한국 노인의 행복 요인 탐색과 척도개발. 한국노인학, 29(3), 1141-1158. 

  20. 전경원 (2008). 행복한 창의력 교육: 영화로 창의력을 키울 수 있을까. 창의교육논총, 10, 47-56. 

  21. 한민, 최인철, 김범준, 이훈진 (2011).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요소.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1, 252. 

  22. 황해익, 강현미, 탁정화 (2013). 영아교사의 용기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2), 285-309. 

  23. 황해익, 탁정화 (2014).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향유신념의 조절 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3(4), 153-177. 

  24. 황해익, 탁정화, 강현미 (2015). 보육교사의 감사성향에 따른 행복감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9(1), 299-320. 

  25. Boehm, K. J., & Lyubomirsky, S. (2008). Does happiness promote career succes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 101-116. 

  26. Coffey, J., Warren, M, T., & Gottfried, A. (2014). Does infant happiness forecast adult life satisfaction? Examining subjective well-being in the first quarter century of lif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2014, 1-12. 

  27. Day, N. (2013). Baby meets world: suck, smile, touch, toddle: a tourney through infancy. NY: St. Martin's Press. 

  28. Derek, B. (2011). Politics of happiness, 행복국가를 정치하라(추홍희 역). 서울: 지안출판사(원판 2011). 

  29. Diener, E., & Suh, E. M. (2000). Cultrue and subjective well-being. Cambridge, MA: MIT press. 

  30. Gallup. (2015). Mood of the world upbeat on international happiness day. http://www.gallup.com/poll/182009/mood-world-upbeat-international-happiness-day.aspx?utm_sourcemood&utm_mediumsearch&utm_campaigntiles. 출력일 2015년 6월 10일. 

  31. Lyubomirsky, S. (2012). How to be happy,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오혜경 역). 서울: 지식노마드(원판 2008). 

  32. OECD. (2014). Better Life Index. www.oecd.org/statistics/datalab/bli.htm. 출력일 2015년 6월 10일. 

  33. Peterson, C. (2010). A Primer in Psychology, 긍정심리학 프라이머(우문식 역). 서울: 물푸레 (원판 2007). 

  34. Seligman, M. E. P. (2004). Authentic happiness :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 NY: Free Press. 

  35. Seligman, M. E. P. (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NY: Free Press. 

  36. WHO. (2014). Public health action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GVA: WHO.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