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 문제점
An Analysis on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Problems in their Teaching Practice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4, 2015년, pp.557 - 564  

박지훈 (부산대학교) ,  남정희 (부산대학교) ,  권정인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프로그램에 참가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에서의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대학교 과학교수학습센터에서 주관한 중등과학교사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멘토링 연수 프로그램에 참가한 24명의 교사 중 5번의 멘토링 과정을 모두 이행한 6쌍(1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멘토 및 멘티 저널, 일대일 멘토링 녹음본 및 전사본, 멘토링 중간과 사후에 실시한 인터뷰 녹화본과 전사본, 멘토링 초기와 후기에 실시한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서 얻은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멘티교사는 수업을 준비할 때 수업목표를 명확하게 정하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성취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수업내용을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적인 개념 이해에서도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멘티교사는 한 차시에 너무 많은 내용을 수업하였으며 발문의 형태는 학생들의 사고를 이끌어내는 발산적 발문보다는 수렴적 발문이 대부분 이였다. 또한 학생들의 행동을 잘 통제하지 못하여 실험수업이나 탐구수업 수행 시 힘들어 하였으며 대부분의 수업에 학생의 참여가 없는 교사중심의 강의식 수업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멘티교사들 중 일부는 자신의 교수실행에 대해 문제라고 인식한 부분에 대한 반성을 하였고 교수실행의 개선으로 이어졌다. 같은 문제점을 가진 멘티교사라도 자신의 문제점에 대해 인식하고 반성을 한멘티교사는 문제점이 해결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반성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에는 멘토링이 진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동일한 문제점을 나타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초임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에 대한 반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in the teaching practice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to improve their teaching expertise. The participants were six beginning science teachers and six mentors at middle and high school lev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임교사가 수행하는 업무는 무엇인가? 초임교사는 교직에 입문하는 첫날부터 자신이 담당하는 학생과 교과목에 대해 전적으로 책임을 지며 경력이 많은 노련한 교사와 동등한 업무를 수행한다. 이는 초임교사가 실무적인 지식과 기술을 점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업무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가르치는 의무의 모든 것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배운 다는 것을 의미한다(Dan, 1993).
초임교사가 겪는 어려움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초임교사가 겪는 어려움은 크게 교과지도, 학급경영, 교무분장, 인간관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Park, Ahn, & Nam, 2005). 그 중 교과지도인 교수실행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교육활동의 핵심이다(Kang & Kim, 2003).
멘토교사와 멘티교사가 상호협력적인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협력적 멘토링에 대한 연구에서는 무엇을 보고하였는가?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멘토링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멘토교사와 멘티교사가 상호협력적인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협력적 멘토링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보고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멘토교사가 멘티교사의 수업을 분석한 뒤 실제 지식이 부족한 초임교사에게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도록 실질적 지원과 반성의 기회를 제공하는 전략이 멘티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에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였다(Go et al.,2009; Na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radbury, L. U., & Koballa, T. R. (2008). Borders to cross: Identifying sources of tension in mentor-intern relationship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 2132-2145. 

  2. Choi, H., & Kang, S. (2000). A Case Study of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Difficulties in His First Year Teaching.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7(2), 1-14. 

  3. Choi, S., Kwon, J., & Nam, J. (2014). An Analysis on Mentor Teacher's Difficulties during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8(6), 638-648. 

  4. Crawford, B. A. (1999). The poisons project: Motivated your students with inquiry-based unit. Science Scope, 21(5), 18-21. 

  5. Dan, C. L., (1993). School teacher : a sociological study. Jin, D., (Ed.), School teacher: A sociological study, seoul: yangseowon.. 

  6. Fantilli, R. D., & McDougall, D. E. (2009). A study of novice teachers; Challenges and supports in the first yea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6), 814-825. 

  7. Feiman-Nemser, S., & Parker, M. B. (1993). Mentoring in context: A comparison of two U.S. programs for beginning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9, 699-718. 

  8. Gagne R. M., & Briggs, L. J.(1979)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NY: Holt, Renehart and Winstone. 

  9. Gimmestad, M. J., & Hall, G. E.(1995). Structure of Teacher Programs. Lorin W. Anderson.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nd ed.) 

  10. Go, M., & Nam, J. (2010). The Change in Beginning Scien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their Teaching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1), 94-113. 

  11. Go, M., Lee, S., Choi, J., & Nam, J. (2009). The Effect of Cooperative Mentoring on Beginning Scien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5), 564-579. 

  12. Guskey, T. R. (1995). Results-oriente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earch of an optimal mix of effective practices. North Central Regional Educational Laborabory (NCREL), Naperville, IL. Retrieved February 24, 2003, from http://www.ncrel.org/sdrs/areas/rpl_esys/pdlitrev.html. 

  13. Hawk, P. P. (1984). Making difference-Reflections and throught of first years teacher. Greenville, NC: East Carolina University. 

  14. Huling-Austin, L. (1990). Teacher induction program and internships. In W. R. Houston(De.), Handbook of research in teacher education. New York; Macmilln. 

  15. Jeon, H., Yoo, M., Hong, H., & Park, E. (2009). Study on Teaching Anxiety and Effect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9(1), 68-78. 

  16. Joe, H., & Kim, H. (2005).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Group Mentoring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2(1), 227-263. 

  17. Kang, H., & Kim, Y. (2003). Research Articles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 Teachers' Teaching Skills through Self-Reflection. biology education, 31(1), 72-86. 

  18. Kang, K. (2009). Analysis of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Student-Teacher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5), 580-591. 

  19. Kim, H., Kim, H., & Yang, M. (2007). A preliminary study of developing an introduction programme for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Journal of Young Child Studies, 10, 103-127. 

  20. Kim, J. (2012). Improving Method of Teacher Education According to Types of "Teaching Difficulties in Korean Language Class" by Elementary School Teacher.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44, 203-227. 

  21. Koballa, T. R., Kittleson, J., Bradbury, L., & Dias, M. J. (2010). Teacher thinking associated with informal mentoring. Medical Teacher, 27(8), 693-698. 

  22. Koo, E., & Park, Y. (2010). An Analysis of the Difficulties Faced by New Scien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2), 153-163. 

  23. Kwak, Y. (2011).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ing System to Support Beginning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1), 1-13. 

  24. Lee, S. (2015). Analysis of the effect on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for development of mentor standards in secondary science teach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South Korea. 

  25. Lee, Y., & Kim, K. (2007).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nflict Factors in the Teaching Profession for no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5(2), 145-164. 

  26. Lortie, D. (1996). School Teacher : A Sociological Stud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 Malderez, A., & Bodoczky, C. (1999). Mentor Courses: a resource book for trainertrain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8. Martin, A., & Trueax, J. (1997). Transformative dimension of mentoring: Implications for practice in the train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25 405) 

  29. Nam, J., Kim, H., Go, M., & Ko, M. (2010). The Change in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quiry-Oriented Teaching Practice through Mentoring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5), 544-556. 

  30. Nam, J., Ko, M., Lee, S., Ko, M., & Sung, H. (2012). Development of Mentoring Program Model for In-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10), 1613-1626. 

  31. Nam, J., Lee, S., Lim, J., & Moon, S. (2010). An Analysis of Change in Beginner Science Teacher's Classroom Interaction through Mentoring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8), 953-970. 

  32. O'Conner, C. L., & Ertmer, P. A. (2003). Today's coaches prepare tomorrow's mentor: Sustaining the result of professional development.(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82 676) 

  33. Odell, S. J., & Ferraw, D. P. (1992). Teacher mentoring and teacher retention. Journal of Teacher Eduction, 43(3), 200-204. 

  34. Oh, J., Kim, D., & Jeong, H. (2001). Difficulties and Urgent Problems of Beginning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Student Evaluation.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5(1), 143-163. 

  35. Park, H. (2005). Induction Secondary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Teaching Science and their Effort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5(3), 421-430. 

  36. Park, H., Seong, S., & Jeong, D. (2011). The Effect of Mentoring on Beginning Chemistry Teacher's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8), 1055-1076. 

  37. Park, M., Ahn, H., & Nam, M. (2005).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No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Mathematics Classe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8(2), 291-314. 

  38. Shin, B. (2005). The Practice and Implication of the Beginning Teacher Mentoring Program in the United State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23(4), 103-128. 

  39. Stake, R. E. (1994). Case studies: In Denzin, N. K. & Nicoln, Y. 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36-247. 

  40.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00). Schools and school districts recognized for outstan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U.S. Department of Education press release, Retrieved February 21, 2003, from http://www.ed.gov/PressReleases/09-2000/0918.html. 

  41. Veenman, S. (1984). Perceived problems of 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4(2), 143-178. 

  42. Volkmann, M. J., & Anderson, M. A. (1998). Creating professional identity: Dilemmas and metaphors of a first-years chemistry teacher. Science Education, 82(3), 293-3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