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과 수업평가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Research on the Current Science Teaching Evaluation System and Directions for Improving Teaching Evalua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5 no.4, 2005년, pp.494 - 502  

곽영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설문 조사, 교사 면담 등을 통하여 현행 과학과 수업평가(장학) 실태를 진단하고, 과학과 수업평가의 필요성과 그 개선 방안(지향점)을 고찰하였다. 먼저 과학교사들이 경험한 수업평가의 유형, 현행 수업평가 결과의 활용 사례, 교사들이 진단한 현행 수업평가의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현장 교사들은 관리자 중심의 관료적인 수업평가, 보여주기위한 공개 수업용의 수업 평가, 수업이 교사의 개인적인 영역이라는 교사들의 인식, 교사평가에서 낮은 비중을 차지하는 수업평가, 평가자의 비전문성,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평가들의 부재 등을 현행 수업평가의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형성평가로서의 과학과 수업평가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바람직한 수업평가의 유형, 주체, 대상 등을 제안하였다. 앞으로 나아갈 길은 행정적 상부구조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교사들 스스로 신뢰할만한 전문직으로서 자신들의 활동을 점검할 기초가 되는 교수활동 기준 개발 및 전문적 학습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cience teaching evaluation system implemented in schools and directions for improving teaching evaluation using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teacher interview.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analyzed the types, roles, and major issues of the current science tea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평가에 대한 의견에는 경험한 수업평가의 유형, 현행 수업평가의 주요 평가 항목, 현행 수업평가 결과의 활용 실제, 현행 수업 평가의 문제점, 현행 수업평가에 대한 기타 의견(서술형) 등의 문항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설문 항목들 중 과학교사들이 경험한 기존 수업평가의 유형, 교사들이 인식하는 현형 수업평가 결과의 활용 사례, 교사들이 진단한 현행 수업평가의 문제점, 수업 평가의 필요성, 바람직한 수업평가의 유형 및 주체, 수업 평가를 필요로 하는 대상 등을 중심으로 설문결과를 논의하였다. 1)
  • 교사교육 및 교사평가가 정립된 미국, 영국 및 호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각국의 수업평가 최근 동향과 실태를 살펴보고, 수업평가를 담당하고 있는 기관과 평가 유형을 살펴보았다. 외국의 수업평가 사례 분석에서 얻어진 수업평가의 필요성과 개선 방안에 대한 부분은 교사 면담 결과를 논의하면서 관련된 부분에서 함께 제시하였다.
  • 이 절에서는 형성평가로서의 과학과 수업평가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바람직한 수업평가의 유형, 주체, 대상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과학과 수업 평가(장학) 실태를 진단하고, 과학과 수업평가의 필요성과 그 개선 방안(지향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 첫째, 외국의 수업평가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수업평가 기준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교사교육 및 교사평가가 정립된 미국, 영국 및 호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각국의 수업평가 최근 동향과 실태를 살펴보고, 수업평가를 담당하고 있는 기관과 평가 유형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곽병선 (2002). 교실교육의 개혁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교원 교육연구, Vol. 18(1), 1-9 

  2. 박상철 (2004). 교원 자격 및 평가제도 개선 방안. 교원 인사제도 혁신 방안 수립을 위한 공청회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3. 원효헌 (2002). 교수활동의 질 개선을 위한 교사 자기평가. 한국교원교육연구, Vol. 19(3), 147-168 

  4. 한국교육개발원 (2004). 교원 인사제도 쟁점과 개선 방향. 교원 인사제도 혁신 방안 수립을 위한 공청회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수업평가 기준개발 연구. ( I )-일반 기준 및 교과(사회, 과학, 영어) 기준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4-5. pp. 257 

  6. ASTA (2002). National professional standards for highly accomplished teachers of science. Australian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Inc. 

  7. Bloom, B. S., Mdaus, G. F., & Hasting, J. T. (1981), Evaluation to improve learning. NY: MacGraw Hill 

  8. Danielson C, & McGreal, T. L.(2000). Teacher evaluation to enhance professional practice. ASCD 

  9. Danielson, C. (1996). Enhancing professional practice: A framework for teaching. Alexandria, Virginia: ASCD 

  10. Darling-Hammond, L. (1999). Target time toward teachers. Journal of Staff Development, 20(2), 31-36 

  11. Feldman, S. (1998). Teacher quality and professional unionism. In Shaping the Profession that Shapes the Future, Speeches from the AFT/NEA(the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on Teacher Quality. Available at [www.aft.org/edissues/downloads/tqspeech.pdf] 

  12.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13. Ingvarson, L. C. (1994). Setting Standards for Teaching: an Agenda for the Profession. In F. Crowther, B Caldwell, J. Chapman, G. Lakorrski & D. Ogilvie (Eds). The Workplace in Education: Australian Perspectives.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1994 Yearbook. Rydalmere, NSW: Edward Arnold 

  14. Kleinhenz, E., Ingvarson, L., & Chadbourne, R. (2002). Teacher Evaluation Uncoupled: A Discussion of Teacher Evaluation Policies And Practice, in Australian State, And Their to Quality Teaching And Learning, Available at [www.aare.edu.au] 

  15. Schulmm,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16. Sergiovani, T. J., & Starratt, R. J.(1983). Supervision : A redefinition(6th ed.), futon: McGraw Hill 

  17. Wajnryb (1992). Classroom observation tasks: a resource book for language teachers and trainers.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Wenglinsky, H. (2000). How teaching matters: bringing the classroom back into discussions of teacher quality. Princeton. NJ : Educational Testing Servic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