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4년 서울시에서 유통 되고 있는 볶은 원두커피 50건에 대하여 pH, 총산도, 납, 카드뮴, 카페인, 총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하였다. pH는 4.72~5.25의 범위에서 평균 4.99를 나타내었고, 배전정도에 따른 pH는 약배전 4.85, 중배전 4.98, 강배전 5.07로 나타났다. 총산도는 평균 1.59%였으며 최소 0.72%에서 최대 2.25%였다. 배전정도에 따른 총 산도는 약배전 1.75%, 중배전 1.56%, 강배전 1.39%로 나타났다. 납, 카드뮴 평균 함량은 각각 0.0112 mg/Kg, 0.0011mg/Kg 이었으며 납 함량은 최소 불검출에서 최대 0.0535 mg/Kg 이었고. 카드뮴 함량은 최소 0.0010 mg/Kg 에서 최대 0.0069 mg/Kg 이었다. 배전정도에 따른 납 함량은 약배전에서 0.0690 mg/Kg, 중배전에서 0.0195 mg/Kg, 강배전에서 0.0129 mg/Kg로 나타났다. 카드뮴의 함량은 약배전에서 0.0005 mg/kg, 중배전에서 0.0017 mg/kg, 강배전에서 0.0032 mg/kg로 나타났다. 시료의 평균 카페인 함량은 12.29 mg/mL이었으며, 최소 0.51 mg/mL 최대 20.28 mg/mL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배전 정도에 따른 평균 카페인 함량은 약배전일 때 12.00 mg/mL, 중배전일 때 12.39 mg/mL, 강배전일 때 12.48 mg/mL을 나타내었다. 생산 국가별로 카페인 함량은 이탈리아 커피의 카페인 함량 평균이 15.58m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미국산 커피의 카페인 함량 평균이 11.02 mg/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시료의 평균 총 폴리페놀 함량은 31.94 mg/mL이었으며, 최소 18.88 mg/mL 최대 43.90 mg/mL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배전 정도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은 약배전 일 때 평균 함량이 34.60 m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강배전일 때 평균 함량이 29.72 mg/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생산 국가별 총 폴리페놀 함량 평균이 37.75 m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브라질 커피의 총 폴리페놀 함량 평균이 27.84 mg/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rvey and evaluate the contents of pH, total acidity, caffeine, harmful metals (Pb, Cd) and total polyphenol in coffee extraction. In total, coffee bean. Total fifty coffee samples were analysed. A 5 g portion of roasted ground coffee samples were extracted in coffee-ma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음용하는 커피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형마트와 커피전문점, 생산 국가별, 배전(Roasting) 정도에 따른 볶은 원두커피를 구입하여 실제 음용 가능한 상태로 추출한 후 품질의 특성을 조사하여 볶은 원두커피 선택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피는 어떤 식품인가? 2011년을 기준으로 한국 내 커피 소비량은 1년에 한국성인 1명당 커피 338잔을 소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커피는 쓴맛, 신맛, 떫은맛과 구수한 맛 등이 조화되어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음용되고 있는 대표적 기호음료로서 경제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식품이다. 커피는 아프리카 에티오피아가 원산지로 현재는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커피 중 가장 중요한 성분인 카페인은 인체에서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 커피 중 가장 중요한 성분인 카페인은 커피 외에도 차,음료, 의약품 등에 광범위하게 함유되어 있는 xanthine계 화합물로서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소비되는 흥분제의 하나이며 1820년 스위스의 생리학자 Runge에 의해 커피콩에서 처음 발견되었다5). 카페인은 부신피질 호르몬 분비를 활성화시켜 순환기 계통의 운동을 늘리고 이뇨작용을 유발하며 기관지 확장, 담낭 수축, 위장과 운동성을 증가시키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6). 또한 카페인은 중추신경을 활성화 시키는 흥분제로 작용하는데, 두잔 정도의 커피를 마시면 수행능력이 향상되고, 피로가 줄어들며, 각성 정도가 향상되고, 공격성향을 줄인다고 하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및 대사증후군의 발생빈도가 낮게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었다6,7).
커피의 품종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커피는 아프리카 에티오피아가 원산지로 현재는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지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커피의 품종은 Coffea arabica L.,Coffea canephora L., 그리고 Coffea liberica 세 품종으로 구분되며3), 커피 고유의 향과 맛은 커피생두(green coffee beans)를 볶는 과정인 배전(roasting)과정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배전조건(온도, 시간, 불 조절)은 생두의 선별과 함께 매우 중요한 과정이며, 생두가 가진 고유한 맛과 향을 최상의 상태로 만들어지게 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Petracco M.: Our everyday cup of coffee. The chemistry behind its magic. J. chem. Educ., 82, 1161-1167 (2005). 

  2. Korea Customs Service. Latesr import trends of coffee market. Available from: http://www.customs.go.kr/kcshome/cop/bbs/select-Board.do?layoutMenuNo294&bbsIdBBSMSTR_1018&nttId2133. Accessed March 5 (2015). 

  3. Kim HK, Hwang SY, Yoon SB, Cun DS, Kong SK, Kang KO.: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ffee Beans by Roasting and Extracting Condition. Korea J. Food & Nutr.. 20(1), 14-19 (2007). 

  4. Kim KJ, Park SK.: Changes in major chemical constituents of green coffe beans during the roast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53-158 (2006). 

  5. Kwon IB, Lee YS, Woo SK, Lee CY, Suh JG.: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Caffeine in Coffee, Black Tea a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5(4), 213-218 (1990). 

  6. Nehlig, A and Debry, G.: Potential effects of coffee a review. Mutat. Res. 317, 45-62 (1994). 

  7. Eun Kyoung Kim, Dae Won Jun, Eun Chul Jang, Sang Heum Kim, Ho Soon Choi.: Effect of coffee and green tea consumption on liver enzyme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 2570-2578 (2012). 

  8. Kanter M.: Free radicals, exercise and antioxidant supplementation. Proc Nutr Soc., 57, 9-13 (1998). 

  9. Del Rio D, Borges G.: Crozier A. Berry flavonoids and phenolics: bioavailability and evidence of protective effects. Br J Nutr., 104, 67-90 (2010). 

  10. Benzie IF.: Evolution of antioxidant defense mechanisms. Eur. J. Nutr., 39, 53-61 (2000). 

  11. Nunes, FM, Coimbra, MA, Duarte, AC and Delgadillo, I.: Foam ability, foam stabil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espresso coffee as affected by the degree of roast. J. Agric. Food Chem., 45(8), 3238, (1997). 

  12. FOOD CODE :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13. Mi-Gyung Lee, Kyung-ju Lee.: Change of Lead Content during Warm Storage of Canned Coffee Drin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2), 228-230 (2007). 

  14. Kwon HD, Kim BJ, Ku HS, Park SH, Lee YJ, Lee MO.: Study on the Contents of Harmful Substance in the Extractions of Coffee Bean. The Annual Report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19(1), 42-51 (2009). 

  15. Suh YS, Lee SH, Yafang Shang, Yoon JR, Lee WJ.: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ies and flavor patterns of Coffea arabica beans during roasting. Korean J. Food Preserv., 21(2), 224-230 (2014). 

  16. Macrae R.: Nitrogenous components 115-152. In: Coffee Chemistry. Clarke R, Macrae R (eds). Elsevier Applied Science Publishers. Barking, UK (1985). 

  17. Kuroda Y, Hara Y.: Antimutagenic and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tea polyphenols. Mutat. Res. 436, 69-97 (1999). 

  18. Pyo YH, Lee TC, Logendra L, Rogen RT.: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of Swiss cdard extracts. Food Chem., 85, 19-26 (2004). 

  19. Vignoli JA, Bassoli DG, Benassi MT.: Antioxidant activity, polyphenols, caffeine and melanoidins in soluble coffee: the influence of processing conditions and raw material. Food Chem., 124, 863-868 (2011). 

  20.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s Enzymol. 299, 152-178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