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우에서 분리된 Vibrio species 동정을 위한 VITEK 2 system방법과 species-specific PCR방법 비교 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VITEK 2 System and Species-specific PCR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Vibrio Species Isolated from Shrimp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0 no.3, 2015년, pp.281 - 288  

이정민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원준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민주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조용선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  이진성 (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현진 ((주)디에스라인 기업부설연구소) ,  윤상우 ((주)디에스라인 기업부설연구소) ,  김근성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brio 속에 속한 세균에 의한 식중독은 오염된 해산물 식품의 섭취로 인하여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해산물을 날것으로 섭취하는 한국인의 특성을 고려할 때, 빠르고 정확한 Vibrio 검출기술은 식품위생공중보건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배지를 이용한 동정방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생화학적 방법인 Vitek 2 system방법과 분자생물학적 방법인 species-specific PCR 방법을 사용하여 얻은 동정결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5개의 Vibrio 표준균주와 16S rRNA gene sequencing 결과에 의하여 Vibrio 속으로 확인된 24개의 분리균주가 이용되었다. Vitek 2 system방법을 이용한 경우, 이와 같이 본 연구에 사용된 29개 균주 중 Vibrio 표준균주 2개(2/5, 40%), 16S rRNA gene sequencing 결과 Vibrio 속으로 확인된 분리균주 15개(15/24, 62.5%) 등의 총 17개 균주(17/29, 58.6%)가 Vibrio 종으로 동정되었다. 그리고 species-specific PCR방법을 이용한 경우, 위의 29개 균주 중 Vibrio 표준균주 5개(5/5, 100%), 16S rRNA gene sequencing 결과 Vibrio 속으로 확인된 분리균주 16개(16/24, 66.7%) 등의 총 21개 균주(21/29, 72.5%)가 Vibrio 종으로 동정되었다. Vitek 2 system방법과 species-specific PCR방법을 이용하여 동정된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표준균주 중 V. parahaemolyticus, V. mimicus 등의 2개(2/5, 40%), 새우분리균주 24개 중에서 16S rRNA gene sequencing 결과 Vibrio 속으로 확인된 분리균주 7개 (7/24, 29.2%) 등의 총 9개(9/29, 31%) 균주들에 대한 동정결과만이 일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brio is a genus of Gram-negative, curved, halophilic, and non-spore-forming bacteria. Some of the Vibrio species, such as V. cholerae and V. parahaemolyticus, often contaminate seafood products and occasionally cause human diseases when the seafood products are ingested. A total of 24 Vibrio str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해산물에서 가장 빈번하게 검출되는 세균인 Vibrio 종(species)을 대상으로 하여 생화학적 방법인 Vitek 2 system 방법과 분자생물학적 방법인 species-specific PCR 방법의 동정결과를 비교·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5개의 Vibrio 표준균주와 TCBS 배지상에서 분리된 123개 Vibrio 의심 분리균주 중 16S rRNA gene sequencing 결과 Vibrio 속으로 확인된 24개의 분리 균주를 대상으로 비교실험을 진행하였다. 균주는 3% NaCl 이 포함된 Nutrient agar (Merck, Darmstadt, Germany) 배지에 2회 계대 배양을 하여 활성화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해산물에서 가장 빈번하게 검출되는 세균인 Vibrio 속을 대상으로 하여 생화학적 방법인 Vitek 2 system 방법과 분자생물학적 방법인 species-specific PCR 방법의 동정결과를 비교·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Vitek 2 system 방법의 장점은? 미생물의 기질 분해능을 근거로 하여 동정하는 Vitek 2 system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이미 보유하고 있는 data base와 비교하여 동정하는 방식이다10,11). 이러한 미생물 동정 시스템 방법은 실험자의 주관적인 견해를 배제하고 소요시간을 줄여 준다는 장점이 있으나, 미생물의 동정을 표현형적 특징에만 의존하여 수행하기 때문에 정확한 동정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12). 하지만 분리균주의 동정에 대한 Vitek 2 system 방법의 유용성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미생물 동정실험에 널리 사용되고 있어 Vitek 2 system 방법에 대한 평가가 요구된다13).
Vibrio 속이란? Vibrio 속은 그람 음성, 호염성 간균으로 해수, 기수, 담수 지역 등 해양환경에 널리 분포한다1). 또한, Vibrio 속 중의 일부 종은 사람에게 치명적인 병원균으로 작용하며, 콜레라균(Vibrio cholerae),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 그리고 패혈증균(Vibrio vulnificus) 등의 병원성 세균이 포함된다2).
Vibrio 속에 포함되어 있는 병원성 세균은? Vibrio 속은 그람 음성, 호염성 간균으로 해수, 기수, 담수 지역 등 해양환경에 널리 분포한다1). 또한, Vibrio 속 중의 일부 종은 사람에게 치명적인 병원균으로 작용하며, 콜레라균(Vibrio cholerae),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 그리고 패혈증균(Vibrio vulnificus) 등의 병원성 세균이 포함된다2). 특히 장염비브리오균(V.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im, S.M., Won, K.M., Woo, S.H., Li, H., Kim, E.J., Choi, K.J., Cho, M.Y., Kim, S.H. and Park, S.I.: Vibrios isolated from diseased marine culturing fishes in Korea. J. Fish Pathol. 18, 133-145 (2005). 

  2. Diggles, B.K., Carson, J., Hine, P.M., Hickman, R.W. and Tait, M.J.: Vibrio species associated with mortalities in hatchery-reared turbot (Colistium nudipinnis) and brill (C. guntheri) in New Zealand. Aquaculture 183, 1-12 (2000). 

  3. Joseph, S.W., Cowell, R.R. and Kaper, J.B.: Vibrio parahaemolyticus and related halophilic vibrios. Crit. Rev. Microbiol. 10, 77-123 (1983). 

  4. Su, Y.C. and Liu, C.: Vibrio parahaemolyticus: A concern of seafood safety. Food Microbiol. 24, 549-558 (2007). 

  5. Jung, S.H., Hur, M.J., Ju, J.H., Kim, K.A., Oh, S.S., Go, J.M., Kim, Y.H. and Im, J.S.: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raw vegetables. J. Food Hyg. Safety 21, 250-257 (2006). 

  6. Kim, M.H. and Shin, W.S.: Microbiological quality of raw and cooked foods in middle and high school food service establishm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43-1356 (2008). 

  7.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 Drug Statistical Yearbook for 2009. Available from http://www.kfda.go.kr/index.kfda?mid96&pageNo1&seq7181&cmdv, Accessed Nov. 10 (2009). 

  8. Lee, S.K., Wang, H.Z., Law, S.H., Wu, R.S. and Kong, R.Y.: Analysis of the 16S-23S rDNA intergenic spacers (IGSs) of marine vibrios for species-specific signature DNA sequences. Marine pollution Bulletin 44, 412-420 (2002). 

  9. Chon, J.W., Hyeon, J.Y., Hwang, I.G., Kwak, H.S., Han, J.A., Chung, Y.H., Song, K.Y. and Seo, K.H.: Comparison of the standard culture method and real-time PCR for the detec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seafood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355-360 (2010). 

  10. Miller, L.T.: Single derivatization method for routine analysis of bacterial whole-cell fatty acid methyl esters, including hydroxyl acids. J. Clin. Microbiol. 16, 584-586 (1982). 

  11. Stager, C.E. and Davis, J.R.: Automated systems for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Clin. Microbiol. Rev. 5, 302-327 (1992). 

  12. Jill, K.W., Hanko, G., Stewart, R., Pape, J. and Nachamkin, I.: Comparison of three commercial systems for identification of yeasts commonly isolated in the clinical microbiology laboratory. J. Clin. Microbiol., 37, 1967-1970 (1999). 

  13. Tang, Y.W., Ellis, N. M., Hopkins, M. K., Smith, D. H., Dodge, D. E. and Persing, D. H.: Comparison of phenotypic and genotypic techniques for identification of unusual aerobic pathogenic Gram-negative bacilli. J. Clin. Microbiol. 36, 3674-3679 (1998). 

  14. Yeon S.H., Jeong W..J. and Park J.S.: The diversity of culturable organotrophic bacteria from local solar salterns. J. Microbiol. 43, 1-10 (2005). 

  15. Hernandez, G. and Olmos, J.: Molecular identification of pathogenic and nonpathogenic strains of Vibrio harveyi using PCR and RAPD. Appl. Microbiol. Biotechnol. 63, 722-727 (2003). 

  16. Rivas, R., Garcia-Fraile, P., Mateos, P. F., Martinez-Molina, E. and Velazquez, E.: Photobacterium halotolerans sp. Nov.,isolated from lake Martel in Spain. Inc. J. Syst. Evol. Microbiol. 56, 1067-1071 (2003). 

  17. Thompson, F. L., Gevers, D., Thompson, C. C., Dawyndt, P., Naser, S., Hoste, B., Munn, C. B. and Swings, J.: Phylogeny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vibrios on the basis of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Appl. Microbiol. Biotechnol. 71, 5107-5115 (2005). 

  18. Yoon, M., Kim, K.J., Shin, J.H, Seo, S.P. and Yang, D.U.: Identification of Vibrio vulnificus by the Vitek GNI+ card. Korean J. Clin. Pathol. 20, 314-319 (2000). 

  19. Ryang, D. W., Koo, S. B., Shin, M. G., Shin, J. H. and Suh, S. P.: Molecular typing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by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an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analysis. Jpn. J. Infect. Dis. 52, 38-41 (1999). 

  20. Yoon, Y.J., Kim, D.Y., Lee, C.H., Lee, U.Y., Koh, Y.H., Kim, S.K. and Kim, J.W.: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Vibrio species contaminated in imported frozen seafoods. J. Fd. Hyg. Safety 15, 128-136 (2000). 

  21. O'Hara, C.M., Westbrook, G.L. and Miller, J.M.: Evaluation of Vitek GNI+ and Becton Dickinson microbiology systems Crystal E/NF identification systems for identification of members of the family Enterobacteriaceae and other gramnegative, glucose-fermenting and non-glucose-fermenting bacilli. J. Clin. Microbiol. 35, 3269-3273 (1997). 

  22. Cheryl, L.T., Jayna, S.P., Nancy, D.P., Evangeline, G.S., Cheryl, A.B. and Nancy, A.S.: Identification of Vibrio isolates by a multiplex PCR assay and rpoB sequence determination. J. Clin. Microbiol., 45, 134 (2007). 

  23. Angela, D.P., Giuseppina, C., Giuseppina, T., Domenico, C. and Vito, T.F.: A collagenase-targeted multiplex PCR assay for identification of Vibrio alginolyticus, Vibrio cholerae, and Vibrio parahaemolyticus. J. Food Prot. 68, 150-153 (2005). 

  24. Lee, S. H., Jang, S. J., Moon, D. S., Park, Y. J., Ahn, G. Y., Han, H. L., Chaulagain, B. P. and Jenog, O. Y.: Evaluation of the detectability of vitek II system for inducible clindamycin resistance in Staphylococci. Kor. J. Lab. Med. 25, 406-410 (2005). 

  25. Eisner, A., Gorkiewicz, G., Feierl, G., Leitner, E., Kofer, J., Kessler, H. H. and Marth, E.: Identification of glycopeptideresistant Enterococci by Vitek 2 system and conventional and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Diagn. Microbiol. Infect. Dis. 53, 17-21 (2005). 

  26. Thwe, S. M., Kobayashi, T., Luan, T., Shirai, T., Onodera, M. and Hamada-Sato N.: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utiliz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GABA)-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Myanmar fishery products fermented with boiled rice. Fisheries Science 77, 279-288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