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40세 이상 중장년의 대사증후군과 백내장과의 관련성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Cataract in a Middle-Aged Men over the Age of 40's -Based on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16 no.2, 2015년, pp.17 - 31  

황혜경 (대구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천만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cataract in a middle-aged men over the age of 40's by using the data from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2). Methods: The subjects for the analysis were comprised of 5,80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가장 최근 자료를 이용하여 처음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2012) 원시자료 3개년 통합가중치를 통하여 40세 이상 중장년의 대사증후군 및 그 구성요소와 백내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은 무엇인가?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은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들이 한 개인에게서 무리지어 발생하는 현상으로(Lakka 등, 2002) 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Foreyt, 2005), 다른 만성질환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으로 인해 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Meigs, 2006). 만성질환 관련 요소들인 비만,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공복혈당은 우리 몸의 정상적인 신진대사를 방해하는 대사증후군을 초래하게 된다.
눈 질환의 빈도가 과거에 비하여 급증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에 의한 백내장 증가 원인은 무엇인가? 2%를 보이고 있다. 백내장의 증가 원인으로는 만성질환자의 증가, 서구화된 식습관, 자외선 노출, 흡연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근년에는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언급되고 있다(질병관리본부, 2010; 박상신 이은희, 2009; 박희경, 2013).
만성질환 관련 요소들은 무엇인가?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은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들이 한 개인에게서 무리지어 발생하는 현상으로(Lakka 등, 2002) 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Foreyt, 2005), 다른 만성질환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으로 인해 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Meigs, 2006). 만성질환 관련 요소들인 비만,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공복혈당은 우리 몸의 정상적인 신진대사를 방해하는 대사증후군을 초래하게 된다. 1998년에서 2007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초로 한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1998년 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재헌 외 34명. 대한비만학회 비만치료 지침 2012. 대한비만학회, 2012. 

  2. 김지선, 이승민, 강자헌, 안홍석. 백내장클리닉을 내원한 성인의 렌즈혼탁지수에 따른 항산화 영양소 및 카로티노이드 섭취량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12;17(2):205-214. 

  3. 박상신, 이은희. 백내장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2005,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이용. 한국안광학회지 2009;14(3):103-108. 

  4. 박지현, 김효진, 예기훈. 노인의 가구 소득과 눈 건강과의 관계. 한국안광학회지 2011;16(2):209-217. 

  5. 박희경. 중년과 노년 한국인의 대사증후군과 백내장과의 관련성[박사학위논문]. 아산: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3. 

  6. 신경환 외 7명. 한국 백내장 역학 조사회에 의한 노인성 백내장의 제반 위험 인자에 관한 연구 조사. 대한안과학회지 1992;33(2):127-133. 

  7. 질병관리본부. 2009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 조사 제4기 3차년도. 청주: 질병관리본부, 2010. 

  8. 질병관리본부. 2010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 조사 제5기 1차년도. 청주: 질병관리본부, 2011. 

  9. 질병관리본부. 2011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 조사 제5기 2차년도. 청주: 질병관리본부, 2012. 

  10.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2012) 지침서 검진조사. 청주: 질병관리본부, 2012. 

  11. 홍순재, 박우찬, 노세현. 경남 창녕 지역에서 실시한 백내장 형태와 위험인자의 상관관계에 대한 역학조사. 대한안과학회지 1998;39(1):80-91. 

  12. 황일형. 성인 한국인에서 백내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13. Alberti KG 외 9명. Harmonizing the metabolic syndrome: a joint Interim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task force o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merican heart association; world heart federation; international atherosclerosis society;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Circul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9;120: 1640-1645. 

  14. Christen W. Liu GS, Glynn RJ, Gaziano JM, Buring JE. Dietary carotenoids, vitamins C and E, and risk of cataract in women: a prospective study. Archives of Ophthalmology 2008;126:102-109. 

  15. Foreyt JP. Need for lifestyle intervention: how to begin.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2005; 96:11-14. 

  16. Foster PJ, Wong TY, Machin D, Johnson G.J, Seah SK. Risk factors for nuclear, cortical and posterior subcapsular cataracts in the Chinese population of Singapore: the tanjong pagar survey.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2003;87: 1112-1120. 

  17.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The IDF consensus worldwide definition of the metabolic syndrome. Brussels, IDF Communications, 2006. pp.1-16. 

  18. Kanthan GL, Mitchell P, Burlutsky G, Wang JJ. Alcohol consumption and the long-term incidence of cataract and cataract surgery: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American Journal of Ophthalmology 2010;150:434-440. 

  19. Lakka HM 외 6명. The metabolic syndrome and total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in middle-aged me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2;288:2709-2716. 

  20. Lim S 외 11명. 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1998-2007. Diabetes Care 2011;34:1323-1328. 

  21. Maralani GH 외 6명. Metabolic syndrome and risk of age-related cataract over time: an analysis of interval-censored data using a random-effects model.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2013;54:641-646. 

  22. Meigs JB. Definitions and mechanisms of the metabolic syndrome. Current Opinion in Endocrinology Diabetes and Obesity 2006;13:103-110. 

  23.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1;285:2486-2497. 

  24. Sabanayagam CJ 외 7명.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and age-related cataract: the Singapore Malay eye study. Invest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2011;52:2397-2404. 

  25. Song SJ, Youm DJ, Chang Y, Yu HG.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a screened South Korean population: prevalence, risk factors, and subtypes. Ophthalmic Epidemiology 2009;16:304-310. 

  26. West SK, Valmadrid CT. Epidemiology of risk factors for age-related cataract. Survey of Ophthalmology 1995;39:323-334. 

  27. Williams PT. Prospective epidemiological cohort study of reduced risk for incident cataract with vigorous physical activity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during a 7-year follow-up.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2009;50:95-100. 

  28. Wu R 외 7명. Smoking socioeconomic factors, and age-related cataract: the Singapore Malay eye study. Archives of Ophthalmology 2010;128: 1029-1035. 

  29. Zigman S, Datiles M, Torczynski E. Sunlight and human cataracts.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1979;18:462-4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