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제 난이도에 따른 2, 4세 유아의 비상징적 연산능력
An Investigation into 2, 4 Year Old Children's Nonsymbolic Arithmetic Ability According to Task Difficulty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6 no.4, 2015년, pp.229 - 242  

조우미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이순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nonsymbolic arithmetic ability according to task difficult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mprised 43 2-year-old children and 48 4-year-old children recruited from 5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Korea. All tasks were composed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Gelman과 Gallistel(1978)가 Piaget의 주장에 도전하며 『아동의 수이해(The child's understanding of number)」라는 책을 출간한 이후로 많은 연구자들이 전조작기 유아가 가지고 있는 수 능력을 입증하고자 했다.
  • 유아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수 표상 능력은 연산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포함하고 있다 (Jordan, Huttenlocher, & Levine, 1994). 따라서 연구자들은 유아에 대한 단순 연산 과제를 통해 학령 전기 유아가 수 표상 능력을 선천적으로 갖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이에 3 이하의 작은 수에 대한 연산과제를 실시하여 유아가 형식적인 수학교육을 받기 전에 연산에 대한 기초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Barth, Beckmann, & Spelke, 2008; Barth et al.
  • 이 연구는 어린 연령의 유아를 대상으로 비 상징적 연산능력을 살펴본 선행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에 주목하여 2, 4세 유아의 비상징적 연산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유아의 비상징적 연산능력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는 과제 난이도에 따라 유아의 비상징적 연산능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 요약하면, 유아가 가지고 있는 수 표상 능력을 다룬 선행연구들에 기초하여, 이 연구에서는 연산을 포함한 수 표상 능력이 언어에 기초한 수학적 학습 이전에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언어적 수세기를 통해 해결할 수 없는 4 이상의 큰 수에 대한 비상징적 연산능력이 어린 연령의 유아에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어린 연령의 유아를 대상으로 비 상징적 연산능력을 살펴본 선행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에 주목하여 2, 4세 유아의 비상징적 연산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유아의 비상징적 연산능력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는 과제 난이도에 따라 유아의 비상징적 연산능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또한 수량에 대한 비상징적 표상이 형식적인 학습의 기초가 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언어나 상징적 처리가 불가능한 큰 수에 대한 표상능력이 연산 기제에 반영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유아의 큰 수 표상능력에서 나타나는 비율제한 특성이 비상징적 연산능력에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비율제한 특성을 과제 난이도로 설정하여 과제 난이도에 따른 유아의 비상징적 연산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상징적 연산능력을 다룬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곱셈과 나눗셈과제를 포함하여 수의 비교와 함께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다섯 가지 과제를 모두 실시하여 연산 유형별로 유아의 비상징적 연산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요약하면, 유아가 가지고 있는 수 표상 능력을 다룬 선행연구들에 기초하여, 이 연구에서는 연산을 포함한 수 표상 능력이 언어에 기초한 수학적 학습 이전에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언어적 수세기를 통해 해결할 수 없는 4 이상의 큰 수에 대한 비상징적 연산능력이 어린 연령의 유아에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하였다. 또한 수량에 대한 비상징적 표상이 형식적인 학습의 기초가 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언어나 상징적 처리가 불가능한 큰 수에 대한 표상능력이 연산 기제에 반영되어야 한다.

가설 설정

  • 5cm의 직사각형으로 빨간색과 초록색의 명도와 채도는 유사하게 조정하였다. 첫 번째 화면에서 유아가 빨간색과 초록색을 알고 있는지에 대해 질문한 뒤 색깔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면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설명하고 유아의 응답 역시 손가락으로 가리키도록 하였다. 두 번의 연습문제로 유아에게 실험 절차를 설명해주고 이어서 6문제를 연속으로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를 추론하는 능력이 언제 나타난다고 믿어왔는가? 많은 연구자들은 수를 추론하는 능력이 학령 전기 후반에 나타난다고 믿어왔다. 이는 상징적인 수 단어를 통한 수세기 능력(counting), 연산능력(calculation)과 같은 관습적인 수 관련 기술 (conventional number skills)이 학령 전기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유아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수 표상 능력이 포함하는 것은? 유아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수 표상 능력은 연산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포함하고 있다 (Jordan, Huttenlocher, & Levine, 1994). 따라서 연구자들은 유아에 대한 단순 연산 과제를 통해 학령 전기 유아가 수 표상 능력을 선천적으로 갖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수를 추론하는 능력이 학령 전기 후반에 나타난다고 믿은 이유는? 많은 연구자들은 수를 추론하는 능력이 학령 전기 후반에 나타난다고 믿어왔다. 이는 상징적인 수 단어를 통한 수세기 능력(counting), 연산능력(calculation)과 같은 관습적인 수 관련 기술 (conventional number skills)이 학령 전기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전조작기 유아를 대상으로 한 Piaget의 ‘수보존 과제 수행 실험’이 실패하면서 학령 전기 유아는 형식적인 수학 학습을 하기 전에 수의 개념적 이해에 필요한 논리 수학적 지식(logico-mathematical knowledge)이 부족하다고 생각했다(Piaget, 196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tell, S. E., & Keating, D. P. (1983). Perception of numerical invariance in neonates. Child Depression, 54, 695-701. 

  2. Barrouillet, P., Mignon, M., & Thevenot, C. (2008). Strategies in subtraction problem solving in childre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99(4), 233-251. 

  3. Barth, H., Beckmann, L., & Spelke, E. S. (2008). Nonsymbolic, approximate arithmetic in children: Abstract addition prior to instru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44(5), 1466-1477. 

  4. Barth, H., Kanwisher, N., & Spelke, E. S. (2003). The construction of large number representation in adults. Cognition. 86, 201-221. 

  5. Barth, H., La Mont, K., Lipton, J., & Spelke, E. (2005). Abstract number and arithmetic in preschool childre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2, 14116-14121. 

  6. Barth, H., Dehaene, S., Kanwisher, N., & Spelke, E. (2006). Non-Symbolic arithmetic in adults and young children. Cognition, 98, 199-222. 

  7. Brannon, E., Abbott, S., & Lutz, D. (2004). Number bias for the discrimination of large visual sets in infancy. Cognition, 93, B59-B68. 

  8. Clearfield, M. W., & Mix, K. S. (1999). Number versus contour length in infant's discrimination of small visual sets. Psychological Science, 10, 408-411. 

  9. Cooper, R. G., Jr. (1984). Early number development: Discovering number space with addition and subtraction. In C. Sopian (Ed.), Origins of cognitive skills: The eighteenth annual Carnegie simposium on cognition. Hillsdale, NJ: Erlbaum. 

  10. Cordes, S., Gelman, R., Gallistel, C. R., & Whalen, J. (2001) Variability signatures distinguish verbal from nonverbal counting for both large and small numbers. Psychonomic Bulletin and Review, 8, 698-707. 

  11. Crollen, V., Castronovo, J., & Seron, X. (2011). Under- and over-Estimation. Experimental Psychology, 58(1), 39-49. 

  12. Feigenson, L., Carey, S., & Hauser, M. (2002). The Representations Underlying Infants' Choice of More: Object Files Versus Analog Magnitudes. Psychological Science, 13(2), 150-156. 

  13. Geary, D. C. (1994). Children's mathematical development: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4. Gelman, R. (2000). Domain specificity and variability in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1, 854-856. 

  15. Gelman, R., & Gallistel, C. R. (1978). The child's understanding of number.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6. Ginsburg, H. P. (1982). The development of addition in the contexts of culture, social class, and race. In T. P. Carpenter, J. M. Moser, & T. A. Rpmberg (Eds.), Addtion and subtraction; A cognitive perspective (pp. 191-210). Hillsdale. NJ: Erlbaum. 

  17. Jordan, N.C., Huttenlocher, J., & Levine, S. C. (1994) Assessing early arithmetic abilities: Effects of verbal and nonverbal response types on the calculation performance of middle-and low-income children.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6, 413-432. 

  18. Lipton, J. S., & Spelke, E. S. (2003). Origins number sense: large number discrimination in human infants. Psychological Science. 15, 396-401. 

  19. Lipton, J. S., & Spelke, E. S. (2004). Discrimination of large and small numerosities by human infants. Infancy, 5(3), 271-290. 

  20. Mix, K. S., Huttenlocher, J., & Levine, S. C. (1996). Do preschool children recognize auditoryvisual numerical correspondences? Child Development, 67, 1592-1608. 

  21. Mix, K. S., Huttenlocher, J., & Levine, S. C. (2002). Quantitative development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2. Piaget, J. (1965). The child's conception of number. New York: Norton. 

  23. Starkey, P. (1992). The early development of numerical reasoning. Cognition, 43, 93-126. 

  24. Starkey, P. & Cooper, R. G., Jr. (1980). Perception of numbers by human infants. Science, 210, 1033-1035. 

  25. Starkey, P., Spelke, E. S., & Gelman, R. (1990). Numerical abstraction by human infants. Cognition, 36, 97-127. 

  26. Strauss, M. S., & Curtis, L. E. (1981). Infant perception of numerosity. Child development, 52, 1146-1152. 

  27. Strauss, M. S., & Curtis, L. E. (1984). Development of numerical concepts in infancy. In C. Sopian (Ed.), Origins of cognitive skills. Hillsdale, NJ: Erlbaum. 

  28. Wood, J. N., & Spelke, E. S. (2005). Infants' enumeration of actions: numerical discrimination and its signature limits. Developmental science, 173-181. 

  29. Wynn, K. (1992a) Addition and subtraction by human infants. Nature, 358. 749-750. 

  30. Xu, F. (2003). Numerosity discrimination in infants: evidence for two systems of representations. Cognition, 89, B15-B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