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결혼이민 여성의 전통복식 문화적응태도 및 착용실태
Culture Adaptive Attitudes and Donning Practices of Traditional Dress Among Japa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5 no.6, 2015년, pp.63 - 78  

김순영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추호정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culture adaptive attitudes and traditional dress donning practices among Japanese women who immigrated to Korea after marrying Korean men.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on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nts were 233 married women who emigrated from Japan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3년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 수는? 한국에서 ‘다문화’라는 말은 이제 학계에서도 일반대중에게도 더 이상 낯선 용어가 아니다.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 수는 2007년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은 이후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3년 말 기준 1,576,304명으로 집계되었다(Korea Immigration Service Ministry of Justice [KISMJ], 2014). 이는 외국인 노동자, 결혼이민자, 유학생, 단기체류 관광객 등이 모두 포함된 수치로 전체 인구의 약 3%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결혼이민자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체류 외국인 가운데 결혼이민자는 한국에 정착하여 자녀를 낳고 키움으로써 한국사회의 영구적 구성원이 되므로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13년 말 기준 국내 체류 결혼이민자 수는 150,865명으로 전년대비 1.
국적별로 결혼이민자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6% 증가하였다(KISMJ, 2014). 국적별로는 중국 (41.4%)이 가장 많고, 베트남(26.4%), 일본(8.1%), 필리핀(6.9%), 캄보디아(3.1%), 타이(1.8%), 몽골(1.6%), 기타(10.8%) 순으로 집계되었다(KISMJ, 2014). 결혼이민자는 대부분 아시아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 특히 일본 결혼이민자는 국적 순위 3위 (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ek, S. D., Lee, J. H., Kim, H. K., Seo, J. Y., Jeong, Y. K., Park, J. O.,... Kim, M. J. (2014).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 이해]. Daegu, Republic of Korea: Jeongrimsa. 

  2.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46(1), 5-34. 

  3. Chang, O. J. (2007). A study on marital-life adaptation of international married Korean 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4. Cho, M. K., & Kim, Y.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cultural identity and sociocultural adaptation of immigrants in Korea. Daehanjeongchihakhoebo [대한정치학회보], 18(2), 263-289. 

  5. Chung, J. K., & Yang, K. M. (2004). Recent developments in acculturation theories. Korean Journal Psychology, 23(1), 101-136. 

  6. De Vos, G., & Romanucci-Ross, L. (1982). Ethnic identity: cultural continuities and change. Chicago, U. 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 Hong, S. N. (2013).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interest in appearance and body satisfaction of Korean women and migrant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8. Hyun, K. J. (2012). Bicultural identity and marital wellbeing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selfpositivity derived from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as a mediator.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4(2), 241-271. 

  9. Jeong, K. S., Kim, Y. H., Park, K. E., Lee, E. A., Park, J. H., Lee, S. A., & Lee, J. H. (2007). Survey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family in Gyeonggido and policy support plan [경기도 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Suwon, Republic of Korea: Gyeonggido Family & Women Development Institute. 

  10. Jeong, S. M. (2009). A study on the education of national identity in multi-cultural age: focused on the revis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Yulliyeongu [윤리연구], 75, 131-152. 

  11. Jun, K. S., & Song, M. K. (2011). A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f adjustment level by multicultural children's nationality. Cheongsonyeonhakyeongu [청소년학연구], 18(11), 305-330. 

  12. Kim, J. K., Kim, S. B., Park, H. I., Lee, S. C., Son, M. J., & An, S. H. (2012). Muticultural policies: from assimilation to harmony [다문화정책: 동화에서 융화로]. CEO information, 853, 1-19. 

  13. Kim, K. J. (2011). Thoughts on multicultural family issues in a new religion: focusing on Japanese immigrant wives of the Unification Church. Sinjonggyoyeongu [신종교연구], 24, 327-361. 

  14. Kim, S. Y., Choo, H. J., Son, J. A., & Nam, Y. J. (2014). Culture adaptive attitudes and donning practices of traditional dress among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5), 154-167. 

  15. Kim, Y. S. (2013). Factors affecting acculturation level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3(4), 5-38. 

  16. Korea Immigration Service Ministry of Justice (2013/ 2014). Korean immigration service statistics. Gwacheon, Republic of Korea: Korea Immigration Service Ministry of Justice. 

  17. Kwon, B. S., & Im, B. R. (2013). A study of effective factor on culture adaptive attitudes of marriage immigrants women in Daegu and Gyeongbuk. Minjokyeongu [민족연구], 53, 130-151. 

  18. Lee, K. H. (2011). Transition of Japanese Kimono desig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3(1), 32-43. 

  19. Moon, S. Y. (2010). The understanding of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Unification Church and its contemporary meanings. Sinjonggyoyeongu [신종교 연구], 22, 85-105. 

  20. Nash, M. (1989). The cauldron of ethnicity in the modern world. Chicago, U. S.: University of Chicago. 

  21. Park, M. H. (2011). The effects of acculturation attitudes and communication affecting couple adjustment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Republic of Korea. 

  22. Phinney, J. S. (1992). The multigroup ethnic identity measure: A new scale for use with diverse group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7(2), 156-176. 

  23. Seol, D. H. (2014). International marriage migration and national identity: Marriage-based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s self identification of Koreanness with regard to ethinic and civic nationhood in South Korea. Gyeongjewasahoe [경제와 사회], 103, 278-312. 

  24. Shim, W. Y. (2009). Racial identity and psychological attitudes of multicultural student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2(4), 27-47. 

  25. Son, J. A., Nam, Y. J., & Kweon, J. H. (2013). Study on clothing life of Korea-Vietna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 on clothing behaviors and attitudes toward traditional dres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6), 127-139. 

  26. Yang, K. M. (2009). The influence of Korean ethnic identity upon the multicultural receptiveness of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0(4), 387-421. 

  27. Yoon, I. J. (2013). International migration and multiculturalism in Northeast Asia [동북아시아의 국제이주와 다문화주의]. Paju: Republic of Korea: Hanwool Academy. 

  28. Yoon, Y. N., & Lee, M. J. (2009). Study on the Japanese female students' dress for commencement. Hanbokmunhwa [한복문화], 12(1), 117-1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