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명영역 탐구 수행 경험이 과학자 이미지와 과학 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s of Inquiry Performance in the Life Domain on Their Images of a Scientist and Science Teaching Anxiety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39 no.1, 2015년, pp.1 - 14  

김동렬 (대구교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에서 1학기 동안 '과학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을 수강한 3학년 예비 초등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생명영역 탐구 수행 경험이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과학 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수업은 3~4명이 한 조로 구성되어 10개의 실험 주제 중 한 주제를 선택하여 직접 탐구한 후 그 결과를 동료 예비교사들 앞에서 발표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자에 대한 특성에 대한 견해를 조사한 결과 탐구 수행 경험 전후에 관계없이 과학자를 신중하고, 지적 수준이 우수하며, 창의적이고, 근면하다고 생각한 반면, 예술적이고 종교적이라고 여기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적능력이 우수한, 창의적인, 개방적인, 활발한, 책임감 있는 특성에 대해서는 탐구 수행후 더욱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자 그리기에서 나타난 과학자의 활동 유형은 탐구 수행 후 '실험활동'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활동장소로는 활동유형과 관련된 '실험실'이 가장 많았다. 이이서 초등 예비 교사들의 탐구 수행 경험 전후의 과학 교수 불안을 확인해 본 결과, 과학지식, 탐구 수업 준비, 탐구 수업 운영,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탐구 경험이 과학 교수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s of inquiry performance in the life on their images about a scientist and science teaching anxiety. Thus, this study selected 162 college juniors who completed 'Science Teaching Material Research & Teaching Metho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탐구 수행 경험이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과학 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목표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하위 연구 문제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탐구 수행 경험이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과학 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자에 대한 특성에 대한 견해를 조사한 결과, 탐구 수행 경험 전후에 관계없이 과학자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 연구자는 교과목의 교수자로서 강좌 첫 주에 초등과학에서 생명과학 영역의 특성과 1학기 동안 실험해야할 주제들과 각 주제별로 무엇을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해 소개하였다. 각 실험주제는 34명이 한 조로 구성되어(총 10개조) 10개의 실험 주제 중 한 주제를 선택하여 실험한 결과를 교수자에게 제출하고 동료 예비교사들 앞에서 발표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광역시에 위치한 교육대학교에서 ‘과학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을 수강한 3학년 초등 예비교사 162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 교과목은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교과를 지도하기 전에 다양한 생물 관련 탐구주제 수행을 통하여 직접적인 과학탐구 경험 및 반성적 사고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교육 현장에의 적용을 위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최상의 탐구 결과를 얻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탐구중심 과학교사교육을 통해 예비 교사들은 어떤 동기를 부여받게 되는가? 탐구중심 과학교사교육이란 예비교사들이 다양한 주제에 따른 과학 활동을 경험하고 그 과정과 결과에 대해 스스로 잘못된 개념을 찾아내며 이에 대해 질문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이세나, 강순미, 2009). 과학교사의 탐구에 대한 이해와 경험은 학생들의 탐구중심 실험의 지도방법도 영향을 준다고 알려지고 있고(최진, 서혜애, 2012), 스스로 과학 활동을 경험하고 주도적으로 수업을 계획하는 경험을 가진 예비교사들은 과학적 지식과 교수방법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과학교수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과학을 적극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동기를 형성하게 된다(이세나, 강순미, 2009). 무엇보다도 과학탐구를 수행하는 것은 과학자가 수행한 과정을 직접 경험해봄으로서 과학자가 된 느낌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그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실험을 설계하고 실험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일상생활에 적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과학적 소양은 무엇인가? 과학수업의 목표는 학생들로 하여금 과학지식을 이해하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과학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태도와 탐구능력, 과학적 소양 (scientific literacy)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여기서 과학적 소양이 의미하는 것은 과학의 본질을 알고, 과학에서 지식은 실생활과 관련이 있고, 과학에 대한 근본적인 개념, 이론 및 가설을 배우고, 그리고 과학적 증거와 개인적 견해를 구분하는 것이다 (Demirbas, 2009). 이를 통해 학생들은 과학자들처럼 문제상황에 접근함으로써 과학학습의 기초를 형성할 수도 있다(Rigis et al.
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이미지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이미지에 관한 연구는 과학학습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Gouthier, 2007).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과학 지식의 전달자이며 학생들의 심상을 살피는 특별한 관찰자이기 때문이다. 교사들은 매일 학생들을 만나고 그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 믿음 그리고 태도를 놓고 학생들과 의견을 주고받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지연 (2014). 과학과 탐구수업에 대한 초등 특수교육 교사의 자아개념과 교수 불안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연주, 이현주 (2014). 예비 과학교사의 연구 수행경험이 학생의 물리 오개념에 대한 이해 및 '연구자로서의 교사'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5), 449-459. 

  3. 교육부 (2014). 교사용 지도서 과학 3-1. 교육부. 

  4. 김기예, 박은주 (2012). 탐구중심 과학교사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태도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487-508. 

  5. 김동렬 (2013). 과학 탐구활동지 만들기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37(2), 261-277. 

  6. 송진웅 (2003). 교사의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존경하는 과학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1), 48-56. 

  7. 유은영, 조형숙 (2012).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자 이미지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6(2), 399-420. 

  8. 이세나, 강순미 (2009).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탐구중심 과학교육 수업이 과학교수태도와 반성적 사고수준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3), 129-150. 

  9. 최진, 서혜애 (2012). 탐구중심 생물수업이 예비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 및 과학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879-889. 

  10. 한규웅, 김희진, 송홍규, 양현원, 윤혜섭, 장수철, 하영미 (2014). 생명과학 활용할 수 있는 지식. 서울: 범문에듀케이션. 

  11. Brookhart, S. M., & Freeman, D. J. (1992). Characteristics of entering teacher candidat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1), 37-60. 

  12. Borko, H., & Putnam R. T. (1995). Expanding a teachers' knowledge base: A cogni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 R. Guskey, & M. Huberman (Ed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ducation: New paradigms and practices, (pp. 35-65).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13. Czerniak, C. M., & Haney, J. J. (1998). The effect of collaborative concept mapping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xiety, efficacy, and achievement in physical scienc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9(4), 303-320. 

  14. Czerniak, C. M., & Schriver, M. L. (1994). An examination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beliefs and behaviors as related to self-efficac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5(3), 77-86. 

  15. Demirbas, M. (2009).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cientist perception and scientific attutudes of science teacher candidates in turkey: a case study. Scientific Research and Essy, 4(6), 565-576. 

  16. Dewey, J. (1996). Democracy and Education. New York: The Free Press. 

  17. Dhingra, K. (2003). Thinking About Television Science: How students understand the nature of science from different program genres. Journal of Research Science Teacher, 40(2), 234-256. 

  18. Eijck, M. V., Hsu, P., & Roth, W. M. (2008). Translations of scientific practice to students' image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93(4), 611-634. 

  19. Enochs, L. G., & Riggs, I. M. (1990).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a preservice scal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8), 694-706. 

  20. Flick, L. (1990). Scientist residence program improving children's image of science and scientis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3), 204-214. 

  21. Finson, K. D., Beaver, J. B., & Cramond, B. L. (1995). Development and field test of a checklist for the draw-a-scientist tes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4), 195-205. 

  22. Gouthier, D. (2007). Teachers' perception of the european scientists. International school for advanced studies. 6(3), 1-10. 

  23. Koran, J. J., & Koran, M. (1981). The effects of teacher anxiety and modeling on the acquisition of a science teaching skill and concomitant student performa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8(4), 361-370. 

  24. Marso, R. N., & Pigge, F. L. (1998). A longitudinal study of relationships between attitudes toward teaching, anxiety about teaching, self-perceived effectiveness, and attrition from teach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of Teacher Educators, Dallas, TX. 

  25. Oliver, S. (1995). An examination of interview and self report measures of elementary teachers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San Francisco, CA. 

  26. Regis A., Albertazzi P. G., & Roletto, E. (1996). Concept Maps In Chemistry Education. Journal of Chemistry Education, 73(11), 1084-1088. 

  27. Scherz, Z., & Oren, M. (2006). How to change students' images of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Education, 90(6), 965-985. 

  28. Sinclair, K., & Nicoll, V. (1980). The sources and experience of anxiety in practice teach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South Pacific Association of Teacher Education, Canberra. 

  29. Thomas, B. (2006). Composition studies and teaching anxiety: a pilot study of teaching groups and discipline- and program-specific trigg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wling Green University, Bowling Green. 

  30. Thomas, J. A., & Hairstone, R. V. (2003). Adolescent students' images of an environmental scientist: An opportunity for constructivist teaching.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7(4), 1-25. 

  31. Westerback, M. (1984). Studies on anxiety about teaching science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1(9), 937-950. 

  32. Westerback, M. E., & Long, M. J. (1990). Science knowledge and the reduction of anxiety about teaching earth science in exemplary teachers as measured by the science teaching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5), 361-374. 

  33. Yuruk, N. (2011). The predictor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xiety about teaching science. Journal of Baltic Science Education, 10(1), 17-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