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 평가를 위한 계획 지표 연구 - 공공공간 활성화를 위한 중요도 분석
Planning Indicators for Spatial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Urban Public Space - the Weight Analysis for Activation of Public Spa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9, 2015년, pp.588 - 598  

이훈길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주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 측면에서 공공공간 활성화를 위하여 고려되어야 하는 계획항목 및 지표들을 도출하고 공무원/학계 및 실무자 측면에서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에 따른 계획항목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출하고, 세부지표들을 크리스토퍼 알렉산더의 패턴언어에서 선별 후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도출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지표는 전문가 설문을 통한 계층적 의사결정법(AHP:Analytic Hierachy Process)을 실시하여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의 중요도는 실무 전문가의 경우 접근성, 공공성, 연계성, 공간성, 쾌적성, 장소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무원/학계는 접근성, 쾌적성, 장소성, 연계성, 공간성, 공공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합분석 결과 우선순위에서 실무 전문가는 오픈스페이스의 위계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했으며, 공무원/학계는 거리에 개방된 공간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공공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계획적인 고려사항 및 평가로 활용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rives planning items and indica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activate public space in term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space was to analysis the importance in the public officials/academics and practitioners side. Derived in accordance with spatial plann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GI를 통해 각 공공공간별로 계획지표 설정에 대한 의견이 있었으나 각 공간이 개별적이면서 중요한 시설이기 때문에 각각에 대하여 동일한 계획지표를 적용하여 공간적 특성별로 중요하게 여기는 계획항목과 계획 지표가 무엇인지 검토해 보기로 하였다.
  •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에 따른 하위계층을 실무 전문가와 공무원/학계 측면에서 비교 검토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계획항목 선정을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공공공간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도시와 건축에서의 공공성을 증진 또는 향상시키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설계기법이나 공공성 확보 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 그러므로 패턴언어는 도시공간의 연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재생 수법으로 급변하는 상황에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적용 가능한 공간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공간적 특성으로서의 계획항목의 세부 계획지표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AHP 분석방법을 통해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의 중요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중요도 평가를 통해 공공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계획적인 고려사항 및 평가로 활용할 수 있는 지표를 도출하고자 했다. AHP 분석을 통한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실무 전문가는 접근성, 공공성, 연계성, 개방성, 쾌적성, 장소성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으며, 공무원/학계는 접근성, 쾌적성, 장소성, 연계성, 개방성, 공공성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공공공간 중 도시공원 및 광장, 거리, 공개 공지에 적용할 수 있는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고 도시계획 및 건축디자인과 관련된 공무원/학계와 용역을 수행하는 실무자의 설문을 통해 공간적 특성별 중용도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중요도에 따른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별 계획지표를 도출한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AHP 분석방법을 통해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의 중요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중요도 평가를 통해 공공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계획적인 고려사항 및 평가로 활용할 수 있는 지표를 도출하고자 했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계획 지표를 도입하기 위해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을 중요도로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를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도시의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서 공공공간을 계획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공공간에 대한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계획 지표의 요소를 도출함으로써 공공공간에 대한 지표의 구축과 중요도 분석으로 공공공간 활성화를 위한 계획 방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도시의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서 공공공간을 계획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공공간에 대한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계획 지표의 요소를 도출함으로써 공공공간에 대한 지표의 구축과 중요도 분석으로 공공공간 활성화를 위한 계획 방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 지속가능 개념을 도입한 주거단지 계획특성과 ‘패턴언어’ 적용모델에 관한 연구(임상인, 2001), 서울 정동지역의 공공공간 재생에 관한 연구(이 주영, 2007), 상업가로 평가규범으로서 알렉산더의 패턴 언어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우신구, 2010)로 패턴 언어의 적용 및 공간 분석을 통하여 계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많이 인용한 공공공간을 평가하는 지표는 무엇이 있는가? 여기서 공공공간을 평가하는 지표로 설정한 항목들은 연구마다 다소 차이가 있다. 선행연구에서 공통적 으로 가장 많이 인용한 항목은 접근성, 연계성, 쾌적성, 개방성, 장소성, 공공성의 순으로 도출되었다. 계획 항목은 [표 2]와 같다.
도시의 역할은 무엇인가? 도시는 인간 생활의 다양한 욕구와 행위를 담아낼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제공한다. 도시 내에서 공공 공간은 공적, 사적 공간 모두를 포함하며, 시민들이 자유로이 접근할 수 있고, 시민의 공공생활과 활동이 가능한 외부 활동 공간이다.
도시 내에서 공공 공간은 무엇인가? 도시는 인간 생활의 다양한 욕구와 행위를 담아낼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제공한다. 도시 내에서 공공 공간은 공적, 사적 공간 모두를 포함하며, 시민들이 자유로이 접근할 수 있고, 시민의 공공생활과 활동이 가능한 외부 활동 공간이다. 도시에서의 삶의 질 향상과 쾌적한 생활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도시환경의 질과 정체성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공공 공간에 대한 활성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도경, 문정민, "도시의 공공공간 활성화를 위한 평가 지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지, 제24권, 제3호, pp.109-119, 2013. 

  2. 김미영, 문정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공공 공간 특성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제6호, pp.291-299, 2011. 

  3. 김혜란, 이혜주, 이명훈, "AHP분석을 통한 공공공간의 공공성 제고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511-522, 2013. 

  4. 김희권, 패턴언어와 옥외치료공간디자인,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 강제성, 공개공지 유형화 및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6. 김득수, 도시의 공공공간에 관한 기초적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7. 백승경, 김주연, 이승훈, "도시화에 따른 공공공간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8권, 제6호, pp.158-165, 2009. 

  8. 신민수, 도시외부공간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공간 구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9. 이경미, 정재호, "AHP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지표의 중요도 평가", 부동산정책연구, 제14권, 제2호, pp.137-153, 2013. 

  10. 이준복, 공공성 분석을 통한 공개공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1. 이훈길, 도심공공영역의 공간적 특성에 따른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2. 장하리, "공개공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7권, 제4호, pp.47-60, 2006. 

  13. 최기원, 지역문화시설의 공공성과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4. 최경숙, 패턴언어를 적용한 집합주거 배치계획,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15. 허진하, 이용자 만족도를 위한 공공영역의 디자인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6. C. Alexander, The Oregon Experiment,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75. 

  17. C. Alexander, A Pattern Language,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18. C. Alexander, The Timeless Way of Building,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