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교사의 문제 생성과 재구성 활동에 관한 탐색
An Investigation on the Application for Problem Generation and Problem Reformulation by Pre-service Teache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9 no.3, 2015년, pp.533 - 551  

김슬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황혜정 (조선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문제 조건으로부터 생성과 재구성을 모두 경험할 수 있는 문제제기 활동을 적용하되, 활동을 세분화하여 학생들의 자주적인 활동을 강조한 활동과 학생들의 보편적 사고를 유도하며 교사 안내가 수반되는 활동으로 구분하여 이에 대한 두 절차를 구안하고, 이 두 활동에 의거하여 문제생성과 재구성 활동에 관해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구안한 문제제기 활동을 적용한 실험 수업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문제생성과 재구성에 대한 난이도 및 흥미도, 인지적 정의적 측면에서의 효과, 그리고 수학 수업 및 평가에서의 활용성 등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문제생성은 창의력을 증진시키고 수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며, 문제 재구성은 문제 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자신감을 길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 상황에서는 문제생성 활동이 더 효과적이고, 평가 상황에서는 문제재구성 활동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상황에서 문제생성과 재구성에 대한 응답의 차이가 크지 않았으므로 두 활동 모두 수업 및 평가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의 수준, 가르칠 영역, 진도 등을 고려하여 수업 및 평가 상황에서 문제생성과 재구성 활동을 적절한 시기에 알맞게 적용함으로써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의 함양을 돕도록 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blem posing in school mathematics is generally regarded to make a new problem from contexts, information, and experiences relevant to realistic or mathematical situations. Also, it is to reconstruct a similar or more complicated new problem based on an original problem. The former is called as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외 선행 연구에서 문제제기 활동의 효과, 즉 문제제기를 적용한 교수·학습 상황에서의 학생들의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언어 조건에서 생성된 가장 많은 유형인 동형 문제의 특징을 살려, 보다 친숙한 ‘러브 액츄얼리’라는 연극 소재를 수반하며, 최대 수익인 2000만원을 제시함으로써 후에 이뤄질 재구성 활동에서 다양한 사고(이차함수의 최댓값을 구하는 등)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형 조건에서 생성된 가장 많은 유형인 단순화된 문제를 다듬어 가로와 세로의 길이, 높이가 모두 다른 직육면체를 제시함으로써 좀 더 다양한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였고, 대각선이라는 용어를 문제에 포함시켜 물음의 의도를 확실하게 보이고자 하였다. <표 Ⅲ-6 참조>
  • 이 절에서는 이 두 활동의 난이도, 흥미도, 장·단점, 그리고 수학 수업에의 적용에 대한 설문 응답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설문 내용의 구성은 서론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문제제기 관련 활동(문제생성, 문제재구성, 문제제기 활동1, 문제제기 활동2)의 교육적 효율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의해 선정하였다. 즉, 문제제기 관련 활동의 인지적·정의적 측면에서의 효과와 장단점을 살펴봄으로써, 이를 수학 수업 상황과 평가 상황에서 교육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탐색하고자 설문 내용을 인지적·정의적 측면에서의 활동 의미, 문제제기의 장단점, 그리고 수업 및 평가에의 문제제기 활동의 적용으로 선정하였다.
  • 이러한 취지하에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문제 조건으로부터 생성과 재구성을 모두 경험할 수 있는 문제제기 활동을 적용하되, 활동을 세분화하여 학생들의 자주적인 활동을 강조한 문제제기 활동과 학생들의 보편적 사고를 유도하며 교사 안내가 수반되는 문제제기 활동의 두 유형으로 구분하여 이에 대한 절차를 구안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생성과 재구성 활동의 교육적 효율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문제제기 활동을 적용한 실험 수업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생성과 재구성에 대한 난이도 및 흥미도, 인지적·정의적 측면에서의 효과, 그리고 수학 수업 및 평가에서의 활용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문제제기 활동을 적용한 실험 수업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생성과 재구성에 대한 난이도 및 흥미도, 인지적·정의적 측면에서의 효과, 그리고 수학 수업 및 평가에서의 활용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문제제기 활동을 적용한 실험 수업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생성과 재구성에 대한 난이도 및 흥미도, 인지적·정의적 측면에서의 효과, 그리고 수학 수업 및 평가에서의 활용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장차 교사가 될 예비교사들이 직접 다양한 문제제기 활동을 경험해 봄으로써 이들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문제제기 관련 정보가 어느 정도인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향후 학생들의 문제제기 활동을 어떻게 이끌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여 적절한 안내를 이끄는데 보탬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제기를 나눈다면? 우선 Polya(1957)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제기는 계획 단계에서의 문제제기와 반성 단계에서의 문제제기로 나눌 수 있다. 계획 단계에서의 문제제기는 주어진 문제의 조건과 구하고자 하는 것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없을 때 보조문제를 고안하는 것이며, 반성 단계에서의 문제제기는 문제를 해결한 후 얻어진 결과나 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다(우정호 역, 2002).
반성적 사고에서의 문제제기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는? 우선, 이상원과 방승진(2003)은 반성적 사고에서의 문제제기를 활용한 수업, 즉 (P+P형)=(Polya의 문제해결 4단계)+(Problem posing)을 적용한 후, 기 개발된 행동특성검사지를 통하여 수학에 대한 생각, 태도, 지적, 정의적, 창의적 특성 등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창의성이 신장되고, 자신의 사고를 정당화하고 비판적인 사고를 할 수 있으며, 수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 자신감, 가치 인식, 태도 등 정의적 특성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성건과 박만구(2010)의 연구 결과, 수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문제를 만드는 활동을 통하여 문제를 충분히 이해하고 분석하게 됨으로써 문제 해결력의 향상에 있어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문제제기를 실시한 후에 수학 학습 태도(즉, 자신감, 융통성, 의지력, 호기심, 반성, 가치의 6개 하위 요소) 모두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으며, 특히 자신감이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능동적으로 의문이나 문제를 제기하여 이를 해결하고 다른 상황에 응용하는 활동은 어떤 역량이라 볼 수 있는가? 21세기는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통신 기기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수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는데, 이때, 이러한 정보들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할 것이 아니라 보다 능동적으로 의문이나 문제를 제기하여 이를 해결하고 다른 상황에 응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활동은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고, 자신의 의견을 논리정연하게 피력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다양한 현상이나 문제를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이라 볼 수 있다(이광우 외, 2009). 따라서 이러한 문제제기 능력은 문제해결 능력과 더불어 학교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요소 중에 하나라 할 수 있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경옥.류성림 (2009). 상황제시형 수학 문제 만들기(WQA) 활동이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수학, 11(4), 665-683.(Kim, K. O. & Ryu, S. R. (2009). The effects of the situation-based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ctivity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s. School Mathematics, 11(4), 665-683.) 

  2. 김준겸.임문규 (2001). 문제 상황 제시에 따른 문제만들기 활동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5(1), 77-98.(Kim, J. K. & Lim, M. K. (2001). An effect coming to the problem solving ability from the problem posing activity by presenting the problem situation.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5(1), 77-89.) 

  3. 이광우.전제철.허경철.홍원표.김문숙 (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10-1.(Lee, K. W., Jeon, J. C., Huh, K. C., Hong, W. P. & Kim, M. S. (2009). Redesigni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developing future koreans' core competences.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RC 2009-10-1.) 

  4. 이강섭.황동주 (2007). 수학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수학 창의성과 문제설정과의 상관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6(4), 503-519.(Lee, K. S. & Hwang, D. J. (2007). Correlation between gifted and regular students i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nd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The Mathematical Education, 46(4), 503-519.) 

  5. 이상원.방승진 (2003). 문제 설정을 통한 문제 해결력 신장 방안 (고등학교중심). 대한수학교육학회 2003년도 제 24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 371-419.(Lee, S. W. & Bang, S. J. (2003). A study on developing problem-solving ability using problem posing activities. Proceeding of the fall semester conference of 2003 published by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 317-419.) 

  6. 이유진 (2013).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 활동 결과 구성된 수학 문제 유형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Lee, Y. J. (2013). An analysis of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posing. Master'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7. 전미라.허혜자 (1998). 문제제기 전략을 강조한 수학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분석: 방정식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집, 8(2), 709-722.(Jeon, M. R. & Heo, H. J. (1998). A study of the effects of problem posing strategies on mathematics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2), 709-722.) 

  8. 전영배.노은환.김대의.강정기 (2013). 의미 분석을 강조한 문제설정 모형 설계하기.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2), 383-407.(Jun, Y. B., Roh, E. H., Kim, D. E. & Kang, J. G. (2013). Designing a model of problem posing focusing on the anlaysis of meaning.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6(2), 383-407.) 

  9. 정성건.박만구 (2010). 수학 문제만들기 활동이 문제해결력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315-335.(Jung, S. G. & Park, M. (2010). The effects of the mathematical problem generating program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4(2), 315-335.) 

  10. Akay, H., & Boz, N. (2010). The effect of problem posing oriented analyses-II course on th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mathematics self-efficacy of elementary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Australian Journal of Teacher Educaion, 35(1), 59-75. 

  11. Brown, S. I., & Walter, M. I. (1990). The art of problem posing. 조정수, 김진환 역(2012). 문제제기의 기술. 서울: 경문사. 

  12. Bush, W. S. & Fiala, A. (1993). Problem stories: A new twist on problem posing. In: S. I. Brown, & M. I. Walter (Eds.), Problem posing: Reflections and applications (pp. 167-173).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3. Danielson, C. (1997). A Collection of Performance Tasks & Rubrics: Middle School Mathematics. Larchmont, NY: Eye On Education. 

  14. English, L. D. (1997). The development of fifth-grade children's problem-posing abiliti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4(3), 183-217. 

  15. Leung, S. S., & Silver, E. A. (1997). The role of task format, mathematics knowledge, and creative thinking on the arithmetic problem posing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9(1), 5-24. 

  16. Polya, G. (1957). How to solve it. 우정호 역(2002).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서울: 교우사. 

  17. Sayed, RAE. El. (2002). Effectiveness of problem posing strategies on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problem solving performance.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in S. E. Asia, 25(1), 56-69. 

  18. Silver, E. A. (1993). A study on the mathematical problem posing. 전평국, 방정숙 역(1995). 수학적 문제설정에 관하여. 과학과수학교육논문집, 16, 215-232. 

  19. Silver, E. A. (1994). O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4(1), 19-28. 

  20. Stickles, P. R. (2006). An analysis of second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mathematical problem pos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21. Stoyanova, E. & Ellerton, N. F. (1996). A framework for research into students' problem posing. In P. Clarkson (Ed.), Techn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pp. 518-525). Melbourn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