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문제중심학습(PBL)에서 융합적 사고력 신장 도모에 관한 의의 - 역사 소재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Integrated Thinking Ability in Problem Based Learning Program Using Historical Materials in Mathematic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0 no.2, 2016년, pp.161 - 178  

황혜정 (조선대학교) ,  허난 (경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창의 융합 능력은 교육과정 문서상에 새롭고 의미 있는 아이디어를 다양하고 풍부하게 산출할 수 있는 수학적 과제를 제공하여 학생의 창의적 사고를 촉진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수학과 이외의 타 교과나 실생활의 지식, 기능, 경험을 연결 융합하여 새로운 지식, 기능, 경험을 생성하고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것으로 규정되고 있다(교육부, 2015). 이렇듯, 최근 교육의 변화를 반영하여 수학 지식의 일방적인 전달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개념을 구성하고 능동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초점을 두고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문제 상황 및 이로부터의 해결은 PBL(Problem Based Learning)이 이론이 추구하는 목적과 그 역할이 부합한다고 하겠다. 본고에서는 타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융합적 사고력 요소 탐색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역사 교과를 대상으로 수학 PBL의 수업 및 평가 활동을 통하여 수학개념에 관한 이해를 돈독히 하고, 이러한 두 교과의 연계를 통해 도달 가능한 융합적 사고력 요소를 마련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또한, 역사 소재를 활용한 PBL 수업 진행을 위한 문제 및 이의 수업지도안을 마련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thematics problem based learning(PBL),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much attention,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ncrease mathematical ability and help learn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through problem solving using students' mathematical prerequisite knowledge. In spite of s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시도 하에 융합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 과제에서 지향하는 창의 및 도전은 기본적으로 수학 교과와 역사 교과에서의 교육 목적의 의미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두 교과에서 지향하는 수학적 사고력과 역사적 사고력을 기반으로 융합적 사고력의 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융합적 사고력을 탐색하는 과정의 예를 제시하고, 역사 소재를 활용한 PBL 수업 진행을 위한 문제의 예를 제시하고, 평가 활동을 수반하는 수업지도안의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와 역사 교과(영역)의 두 교과에서 각각 추구하는 교육 목표 및 이념에 따라, 학교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인식, 이해, 판단하여야 할 역사적 사고를 바탕으로 중요한 수학적 개념 및 내용을 이해하도록 하는 데에 요구되는 융합적 사고력이 무엇인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 하에 융합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 과제에서 지향하는 창의 및 도전은 기본적으로 수학 교과와 역사 교과에서의 교육 목적의 의미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두 교과에서 지향하는 수학적 사고력과 역사적 사고력을 기반으로 융합적 사고력의 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
  • 하지만, 수학 교과와 마찬가지로, 역사 교과의 경우에도 몇몇 학자들의 정의에 따라 역사적 사고력의 요소 내지 특징을 섣불리 단정 짓기는 어려우므로 이에 관한 지속적이면서도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그림 Ⅳ-2]에서와 같이 교육과정에서의 수학 교과와 사회(역사)교과의 교육 목표를 비교하여, 주변 현상을 이해하는 능력 및 문제 상황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능력을 키운다는 공통 교육목표를 추출하고, 문헌 연구를 통해 수학적 사고력과 역사적 사고력에 관한 요소를 정리하였다. 수학교육, 수학, 역사 전공자 5인이 모여 수학적 사고력에 추론, 문제해결, 의사소통, 반성적 사고, 정보처리를, 역사적 사고력에 연대기 파악력, 역사적 탐구력, 역사적 상상력, 역사적 판단력을 마련하고, 융합적 사고력 요소로 문제해결력, 논리적 판단력, 추론 능력, 창의력을 선정하였다.
  • 본고에서는 수학과 PBL을 중심으로 타교과와의 연계를 고려하여 도달 가능한 융합적 사고력에 관해 탐색하되, 학교 교육에서 여러 교과와의 통합이 가능할 터인데, 역사 교과를 그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즉, ‘역사 바로 알기’, ‘역사적 사건이나 사실에 대한 간접 경험을 통하여 현 사회에 올바르게 대처하기’ 등에 관한 역사 교과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올바르고 판단력 있는 역사적 의식을 갖추도록 함은 물론, 수학 PBL을 통하여 수학 개념에 관한 이해를 돈독히 하고, 이러한 두 교과의 연계를 통해 도달 가능한 융합적 사고력 요소를 마련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 끝으로, 학습자도 스스로 평가에 참여하되, 단순히 참여도와 기여도를 따지는 외형적 평가가 아닌,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협동학습 능력을 스스로 점검하고 학습 단계별로 목표 영역을 설정하여 학습 단계별 PBL의 목표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반성적 평가가 이뤄지도록 한다. 본고에서는 위의 사항 중 네 번째에 중점을 두어 학습자 스스로 학습 내용, 학습 태도, 사고력을 점검하는 자기평가 활동의 예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는 [표 V-2]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와 역사 교과(영역)의 두 교과에서 각각 추구하는 교육 목표 및 이념에 따라, 학교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인식, 이해, 판단하여야 할 역사적 사고를 바탕으로 중요한 수학적 개념 및 내용을 이해하도록 하는 데에 요구되는 융합적 사고력이 무엇인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 하에 융합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 과제에서 지향하는 창의 및 도전은 기본적으로 수학 교과와 역사 교과에서의 교육 목적의 의미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두 교과에서 지향하는 수학적 사고력과 역사적 사고력을 기반으로 융합적 사고력의 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융합적 사고력을 탐색하는 과정의 예를 제시하고, 역사 소재를 활용한 PBL 수업 진행을 위한 문제의 예를 제시하고, 평가 활동을 수반하는 수업지도안의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 선정된 역사 소재들을 중심으로 수학 교과에서 유의미하게 다뤄질 수 있는 중요한 수학 내용을 선정한다. 이로써, PBL 수업을 위한 문제 및 수업지도안의 예시를 마련하고, 수업 진행에 적합한 학습자 자신의 평가 활동의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문헌 연구 및 전문가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융합적 사고력 요소를 탐색하고, 역사 소재를 활용한 PBL을 위한 문제 상황의 예와 이를 활용하여 수업 진행을 이끌도록 하는 수업지도안의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본고를 통해 기대하는 것은 수학 교과에서 역사 소재를 이용한 문제 상황을 통하여 수학 수업을 PBL에 근거하여 진행하고 그 결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융합적 사고력이 향상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해 PBL에 관한 이해를 강구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본고의 2장에 제시하였다. 둘째, 교육과정 문서를 통해 수학 교과와 사회(역사) 교과의 교육 목표를 비교 분석한다.
  • 즉, ‘역사 바로 알기’, ‘역사적 사건이나 사실에 대한 간접 경험을 통하여 현 사회에 올바르게 대처하기’ 등에 관한 역사 교과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올바르고 판단력 있는 역사적 의식을 갖추도록 함은 물론, 수학 PBL을 통하여 수학 개념에 관한 이해를 돈독히 하고, 이러한 두 교과의 연계를 통해 도달 가능한 융합적 사고력 요소를 마련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 교과 역량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최근 들어 우리나라 2015 개정에 교육과정의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핵심역량의 강조인데, 특히 수학과의 경우 기존의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 능력과 더불어 ‘창의 융합’, ‘정보처리’, ‘태도 및 실천’ 능력을 추가하여 여섯 가지의 수학 교과 역량을 규정하였다(교육부, 2015). 이 중, 창의 융합 능력은 교육과정 문서상에 새롭고 의미 있는 아이디어를 다양하고 풍부하게 산출할 수 있는 수학적 과제를 제공하여 학생의 창의적 사고를 촉진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수학 이외의 타 교과와의 실생활 관련 지식, 기능, 경험을 연결 융합하여 새로운 지식, 기능, 경험을 생성하고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것으로 규정되고 있다(교육부, 2015).
창의 융합 능력이란? 창의 융합 능력은 교육과정 문서상에 새롭고 의미 있는 아이디어를 다양하고 풍부하게 산출할 수 있는 수학적 과제를 제공하여 학생의 창의적 사고를 촉진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수학과 이외의 타 교과나 실생활의 지식, 기능, 경험을 연결 융합하여 새로운 지식, 기능, 경험을 생성하고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것으로 규정되고 있다(교육부, 2015). 이렇듯, 최근 교육의 변화를 반영하여 수학 지식의 일방적인 전달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개념을 구성하고 능동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초점을 두고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문제 상황 및 이로부터의 해결은 PBL(Problem Based Learning)이 이론이 추구하는 목적과 그 역할이 부합한다고 하겠다.
문제중심학습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어떠한 효과에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졌는가? 문제중심학습(PBL)의 목적은 PBL을 통하여 문제해결 능력, 협동 기술,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등을 신장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제해결 능력, 지식의 습득과 활용 등의 학업 성취에 관한 효과와 학습에 대한 흥미,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자신감 등의 정의적 특성에 관한 효과에 관련한 국내․외에서의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주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미애.송상헌 (2011). 초등학교 4학년 소수단원에서의 수학과 PBL 모형 적용 수업 분석. 학교수학, 13(1), 189-206. (Kang, M. A., Song, S. H. (2011). Application of Mathematics PBL Model Courses in the Chapter of a Decimal for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Mathematics, 13(1), 189-206.) 

  2. 고호경.김응환.양순열.권세화.권순학.정낙영.장인선.임유원.최수영.이성재.노솔.백형윤.홍창섭(2013). 중학교 수학 1. 서울: (주)교학사. (Ko, H.K., Kim, E. H., Yang, S. Y., Kwon, S. H., Kwon, S. H., Jung, N. Y., Jang, I. S., Lim, Y. W., Choi, S. Y., Lee, S. J., Noh, S., Bak, H. Y., & Hong, C. S. (2013). Middle School Mathematics 1. Seoul: Kyohaksa.)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해설 사회(역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2009 Reformed National Curriculum Guide of Social Studies(history). Seoul: MEST.) 

  4.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11). Mathematics Curriculum. Seoul: MEST.) 

  5.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세종: 교육부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Se Jong: The Ministry of Education.) 

  6. 김부윤.정두영.정원경 (2005). 문제중심학습(PBL)을 통한 수학적 태도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9(1), 253-269. (Kim, B. Y., Jung, D. Y., Jung, Y. K. (2005). A study on the change of students' attitudes mathematics via Problem - Centered Learningl.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9(1), 253-269.) 

  7. 김선자 (1998). 구성주의에 의한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설계 및 적용: 문제중심학습(PBL) 방법에 의한 사례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Kim, S. J. (1998). An In 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by PBL : A Case Study of Social Studies in a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Master's thesi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hee University.) 

  8. 김한종 (2005).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서울: 책과 함께. (Kim, H. J. (2005). History Education and HIstorical Awareness. Seoul: Cum libro Publishing Co.) 

  9. 김홍원.김명숙.송상헌 (1996). 수학 영재 판별도구 개발 연구(I)-기초연구편. 한국교육개발원 CR 96-26. (Kim, H. W., Kim, M. S., & Song, S. H. (1996). A Study on developing instrument of judgement for the selection of students in mathematics class for the talented students(I)-Basic Research. KEDI, CR 96-26.) 

  10. 박흥준 (2004). 기술교과 건설기술단원의 문제중심학습이 학업성취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ark. H. J. (2004).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ment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construction unit of technology education. Doctori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1. 신인선.권점례 (2002). 문제중심학습을 통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1(2), 189-202. (Shin, I. S., Kwon, J. R. (2002). A study on the change of students' attitudes to mathematics via Problem - Centered Learning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Mathematical Education, 41(2), 189-202.) 

  12. 신준식.고정화.박문환.박성선.서동엽 (2011). 수학적 사고력 측정을 위한 수학 평가 도구의 개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3), 619-540. (Shin, J. S., Ko, J. H., Park, M. H., Park, S. S. & Seo, D. Y. (2011). Development of the Items for the Assessment of Mathematical Thinking. Journal of Element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5(3), 619-540.) 

  13. 안효정 (2013). 융합적 사고력 육성을 위한 STEAM 기반 디자인 수업 방안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hn, H. J. (2013). Study on STEAM-based design curriculum for cultivation of convergent thinking. Master's thesi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4. 양호환.이영효.김한종.정선영.송상헌 (2009). 역사교육의 이론. 서울: 책과 함께. (Yang, H. H., Lee. Y. H., Kim, H. J., Jung, S. Y., & Song, S. H. (2009). The Theory of Histoty Education. Seoul: Cum libro Publishing Co.) 

  15. 오만록 (1999). 구성주의에 근거한 문제중심학습(PBL)이 학업성취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Oh, M. L. (1999). The Effect Analysis of Problem-Based Learning(PB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Doctori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16. 이광연.설한국 (2013), 조선의 산학서로 보는 이순신 장군의 학익진. 동방학, 28, 8-41. (Lee, G. Y., Seol, H. G. (2013). A Study on the Modality of Guandi Temple in China -Focusing on the HaiZhou Guandi Templ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28, 8-41.) 

  17. 이환철 (2010). 수학적 사고의 발달 메커니즘과 학교 수학.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Lee, H. C.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mechanism of mathematical thinking in school mathematics. Doctori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18. 임유정 (2012). 수학 교과와 타 교과간의 융합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과정에 대한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Lim, Y. J. (2012).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lesson about mathematics with other subject and application process. Master's thesi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YongNam University.) 

  19. 전평국.이진아 (2002). 수학적 문제중심학습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3. 409-424. (Jeon, P. K., Lee, J. A. (2002). An Analysis of Sicial Interaction on Mathematial Problem Base-Learning.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3. 409-424.) 

  20. 조연순.성진숙.채제숙.구성혜 (2000).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 과학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307-328. (Cho, Y., Seong, J. S., Chae, J. S. & Koo, S. H. (200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2), 307-328.) 

  21. 진선양 (2009).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에 대한 중학교 수학교사들의 인식 고찰.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Jin S. Y. (2009). On Mathematics Teachers' Recognition for Problem-based Learning. Master's thesi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f SungKyunKwan University.) 

  22. 최정숙 (2008). 구성주의에 기초한 고등학교 수학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Choi J. S. (2008). A Study on Problem Based Learning in High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the Constructivism. Doctorial Dissertation, K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3. 허난 (2009). 수학과 문제중심학습(PBL)을 위한 문제분석기준 개발과 학습모형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uh, N. (2009). A Study to Develop Criteria to Judge Mathematical Problems and a Learning Model in Mathematics Problem-Based Learning. Doctori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24. 허난.하영화 (2011). 문제중심학습(PBL)의 실행에 관한 수학교사의 인식 조사: 카드 활용 면담을 이용한 분류체계 및 성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2), 143-161. (Huh N., Ha Y. H. (2011). On Mathematics Teachers' Recognition about Problem-Based Learning(PBL) Implementation :Taxonomic Analysis & Componential Analysis by using cards.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4(2), 143-161.) 

  25. Diggs, L. L. (1997). Student Attitude Toward and Achievement in Science in a Problem-Based Learning Educational Experience. University of Missouri Doctorial Dissertation Abstract(AAg9842589). 

  26. Elshafei, D. L. (1998). A Comparison of Problem-Based and Traditional Learning in Algebra II. Doctori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27. Nowak, J. A. (2001). The Implication and Outcomes of using Problem-Based Learning to Teach Middle School Science. Doctorial Dissertation Abstracts, Indiana University. 

  28. Patel, V. L., Groen, G. J., & Norman, G. R. (1993). Reasoning and Instruction in Medical Curricula. Cognition & Instruction, 10, 335-378. 

  29. Savoie, J. M. (1995). Problem-Based Learning in social studies: Results of Field Trial with Adolescents. Doctori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New Brunswick. 

  30. Shepherd, N. G. (1998). The Probe Method :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s Affect on Critical Thinking Skills of Fourth and Fifth Grade Social Studies Student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Section A: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59(3-A) : 0779. 

  31. Torp, L. & Sage, S. (2001). Problem as Possibilities : Problem-Based Learning K-16 Education (2nd Ed.).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2. Watts, D. G. (1972). The Learning of History.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