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계육에서 병원성 미생물 오염도 조사
Survey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contamination of chicken carcasses 원문보기

韓國家畜衛生學會誌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v.38 no.3, 2015년, pp.167 - 171  

이은미 (전라북도축산위생연구소) ,  신동수 (전라북도축산위생연구소) ,  권미순 (전라북도축산위생연구소) ,  이성재 (전라북도축산위생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thogenic microorganisms were monitored on the chicken carcasses in slaughterhouse of Jeonbuk area. I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n 204 chicken carcasses. Staphylococcus (S.) aureus was isolated in largest number and its ration was 41.2%, Salmonella spp. 6.4%, Campylob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조사는 생산의 중간 단계인 도계된 닭 유래의 국내 식중독 발생 원인균인 Salmonella spp., S. aureus, C. jejuni, C. coli의 오염도를 조사하여 위생적인 축산물 생산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 aureus의 특징은 무엇인가? S. aureus는 그람 양성의 직경 0.8∼1.0 μm인 통성 혐기성 구균으로 증식할 수 있는 온도범위는 5∼47.8ºC로 넓고 최적온도는 30∼37ºC이며, 증식 pH 영역은 4.0∼10.0으로서 운동성과 편모가 없고 포자를 형성하지 않으며 색소는 20ºC에서 가장 잘 만들며 사람이나 동물의 피부, 점막 및 장관 등에 정착하고 있다. 젖소에서 유방염의 주요 원인균이며, 가금에서는 피부염, 관절염, 제대염, 심내막염 등을 유발하고, 병원성이 강하고 조직 침습성이 높아 사람과 동물에 농가진, 농양, 봉와직염 등의 피부감염증, 식중독, 폐렴, 패혈증 및 뇌수막염 등을 유발한다.
Salmonella의 특징은 무엇인가? Salmonella는 그람 음성, 비아포성, 통성혐기성간균(0.5∼1.0 μm)으로 주모성 편모를 가지고 있어 대부분 운동성이 있다. 성장 온도는 5∼45.
S. aureus는 어떤 질환을 유발하는가? 0으로서 운동성과 편모가 없고 포자를 형성하지 않으며 색소는 20ºC에서 가장 잘 만들며 사람이나 동물의 피부, 점막 및 장관 등에 정착하고 있다. 젖소에서 유방염의 주요 원인균이며, 가금에서는 피부염, 관절염, 제대염, 심내막염 등을 유발하고, 병원성이 강하고 조직 침습성이 높아 사람과 동물에 농가진, 농양, 봉와직염 등의 피부감염증, 식중독, 폐렴, 패혈증 및 뇌수막염 등을 유발한다. 또 주된 식중독 원인체의 하나일 뿐 아니라 독성 쇼크성 증후군을 일으켜 치사에 이르게 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John-son 등, 1992; Marrack와 Kappler, 19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이종경, 신성균, 박인희, 조경련, 김지영, 송미령. 2011. 주요 식중독균 저감화 정책 개발 연구. 식품의약품안정청. 

  2. Baggesen DL, Sandvang D, Aarestrup FM. 2000. Charaterization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DT 104 isolated from Denmark and comparison with isolates from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J Clin Mirobiol 38: 1581-1586. 

  3. Betancor L, Schelotto F, Martinez A, Pereira M, Algorta G, Rodriguez MA, Vignoli R, Chabalgoity JA. 2004.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and phenotyping analysis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enteritidis isolates collected from humans and poultry in Uruguay from 1995 to 2002. J Clin Microbiol 42: 1155-1162. 

  4. Chae SJ, Lee DY, Nam JH, Chung GT, Kang YH. 2013.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Salmonella spp. in Korea, 2012. Public health weekly report, KCDC: 385-390. 

  5. Evans SJ, Sayers AR. 2000. A longitudinal study of Campylobacter infection of broiler flocks in Great Britain. Prev Vet Med 46: 209-223. 

  6. Fitzgerald C, Nachamkin I. 2011. Campylobacter and acrobacter. pp. 885-899. Versalovic J, Carroll KC, Funke G, Jorgensen JH, Landry ML, Warnock DW(ed). In: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10th ed. ASM press, Washington. 

  7. Jeong OM, Kwon YK, Jang I, Lee JH, Kang MS , Moon JS, Park HJ, Oh SM, Lee HS. 2013.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sanitation control and survey for prevalence of Campylobacter in domestic chicken slaughterhouse. QIA KORMARC: 216-231. 

  8. Johnson HM, Russell JK, Pontzer CH. 1992. Superantigens on human disease. Sci Am 266: 92-95, 98-101. 

  9. Kim AR, Lee YJ, Kang MS, Kwag SI, Cho JK. 2007. Dissemination and tracking of Salmonella spp. in integrated broiler operation. J Vet Sci 8: 155-161. 

  10. Marrack P, Kappler J. 1990. The Staphylococcal enterotoxins and their relatives. Science 248: 705-711. 

  11. Park HJ, Kim YJ, Kim JH, Song SW, Heo EJ, Kim HJ, Ku BK, Lee SW, Lee JY, Moon JS, Wee SH. 2010. Prevalence of Campylobacter jejuni and Campylobacter coli isolated from domestic and imported meats in Korea, 2005-2009. Korean J of Vet Public Health 34: 181-187. 

  12. Park SD, Kim YH, Koh BRD, Kim CH, Yoon BC, Kim CK. 2002. A study on the contamination level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beef distribution stages. Korean J Vet Serv 25: 117-126. 

  13. Park YH. 2004. Foodborne disease outbreak categorized by pathogens for current 3 years. Korea J Vet Res 44: 217-224. 

  14. Peterson MC. 1994. Clinical aspects of Campylobacter jejuni infections in adults. West J Med 161: 148-152. 

  15. Rabsch W, Andrews HL, Kingsley RA, Prager R, Tschape H, Adams LG, Buumler AJ. 2002. Salmonella enterica serotype Typhimurium and its host-adapted variants. Infect Immun 70: 2249-2255. 

  16. Rosenquist H, Sommer HM, Nielson NL, Christensen BB. 2006. The effect of slaughter operations on the contamination of chicken carcasses with thermotolerant Camphylobacter. Int J Food Microbiol 108: 226-232. 

  17. Takehisa Chuma. 2012. 'The present status and prospects of against Campylobacter infection'. 日本食品衛生協會, 食品衛生硏究 62: 7-15. 

  18. Wedderokpp A, Rattenborg E, Madsen M. 2000. National surveillance of Campylobacter in broilers at slaughter in Denmark in 1988. Avian Dis 44: 993-999. 

  19. Yoon SH, Hwang IG, Kwak HS. 2010.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us aureus as a Foodborne Biological Hazard. Safe Food 5: 26-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