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의 고용실태와 처우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ployment Status and Treatment of Temporary Librarians in the School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6 no.3, 2015년, pp.101 - 128  

류제희 (충북단양초등학교)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에 80%가 넘게 배치된 비정규직 학교도서관 직원들의 고용실태를 알아보고 그들의 직무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앞으로 비정규직 사서들의 업무수행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북지역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를 대상으로 면담조사 및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첫째,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들의 '업무만족, 고용여건, 근무환경, 대인관계' 등의 요인들은 전체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또한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무기계약직 전 후의 업무만족도 분석결과에서는 사전 사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정규직 사서의 수행업무를 조사하였으며, 자격증 유무에 상관없이 '열람 및 대출 업무'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들이 생각하는 학교도서관의 문제점에 대한 조사에서는 '비정규직 사서의 능력개발에 관한 문제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그들이 원하는 처우개선 방안에 대한 조사에서는 '고용안정 해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mporary librarians' employment status that have been placed in over 80% of the school libraries and deduce the issues of their job status for proposing some solutions to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d in this 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3년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숫자는 무엇인가? 전국 11,612개의 학교(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2014)에는 교사와 공무원 등 정규직 외에도 학교 곳곳(급식실, 교무실, 행정실, 도서관, 과학실, 전산실, 돌봄 교실, 방과 후 학교, 상담실 등)에서 학교운영, 교육지원, 수업 등 꼭 필요한 일을 하고 있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있다. 학교 교원은 403,830명이며 교육행정직 공무원과 기능직 공무원은 62,387명, 학교 비정규직은 전체 교직원의 25%를 차지하는 152,609명이다(유기홍 2013).
교사와 공무원 등 정규직 외에 학교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은 무엇인가? 전국 11,612개의 학교(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2014)에는 교사와 공무원 등 정규직 외에도 학교 곳곳(급식실, 교무실, 행정실, 도서관, 과학실, 전산실, 돌봄 교실, 방과 후 학교, 상담실 등)에서 학교운영, 교육지원, 수업 등 꼭 필요한 일을 하고 있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있다. 학교 교원은 403,830명이며 교육행정직 공무원과 기능직 공무원은 62,387명, 학교 비정규직은 전체 교직원의 25%를 차지하는 152,609명이다(유기홍 2013).
학교에 비정규직 인력이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공공부문 중에서도 비정규직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곳이 바로 학교이다(유기홍 2012). 교육의 다양화와 서비스 확대로 신규인력 수요가 발생했지만 정규직 대신 비정규직을 위주로 채용해왔던 정부의 인력정책 때문에 비정규직은 지속적으로 늘어났다. 그 동안 학교에서 존재감 없이 지냈던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노동조합으로 단결하였고 2012년에는 전국적인 총 파업을 진행하여 심각한 차별문제가 사회에 알려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곽철완, 장윤금. 2006.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 방안 효과에 대한 분석: 2003-05년도 사업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4): 143-160.(Kwak, Chul-Wan and Yunkeum Chang. 2006.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4): 143-160.) 

  2. 교육과학기술부. 2014. 2014년 교육통계연보. 서울: 교육과학기술부.(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4.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 권은경. 2007. 사서교사의 전문성이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3): 247-276.(Kwon, Eun-Kyung. 2007. "The Impact of Teacher Librarian's Professionalism on the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3): 247-276.) 

  4. 김미령. 2008. 학교도서관 구성원 간의 학교도서관 활성화 요인에 대한 인식도 연구: 서울.경기지역 중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Kim, Mi Roung. 2008. A study on recognition to activation factors of a school library among members of a school library. M.A.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t. of Librarianship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5. 김상미. 2004. 학교도서관 정규직 사서교사와 비정규직 사서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학과.(Kim, SangMi. 2004.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Librarians and Contingent Librarians in School Library. M.A.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t. of Librarianship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6. 김영훈. 2007. 학교도서관 운영인력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Kim, Younghoon. 2007. A study on student's recognition of school library management manpower. M.A. thesis. Kei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t. of Librarianship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7. 노영희. 2007.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의 성과와 전망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1): 117-146.(Noh, Younghee. 2007.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the Prospect of School Library Rehabilitation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8(1): 117-146.) 

  8. 박정숙. 2005. 비정규직 사서가 인식한 학교도서관 현장 문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학과.(Park, JungSuk. 2005. A Study on the Field Problems Perceived by Contingent Librarians in School Library. M.A. thesis. Kyong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t. of Librarianship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9. 송기호. 2012. 사서교사 자격 제도 및 직무에 대한 반성적 고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161-180.(Song, Gi-Ho. 2012. "A Reflective Inquiry of the Qualification System and Jobs for the Teacher Libraria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4): 161-180.) 

  10. 송기호. 2013. 학교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전개 방향과 활성화 전략.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2): 49-61.(Song, Gi-Ho. 2013. "Progress and Activation Strategies of Information Service in the School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2): 49-61.) 

  11. 안인자, 노영희, 오무석, 오세훈, 이종문. 2013. 사서직 취업 실태조사 특별위원회 최종보고서. 서울: 한국도서관협회.(Ahn, In-Ja, Younghee Noh, Museok Oh, Sae Hoon Oh, and Jong-Moon Lee. 2013. Final Report of Special Committee for Librarianship Employment Survey.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2. 양재한. 2012. 경상남도 학교 비정규직 사서 고용안정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217-237.(Yang, Jae-Han. 2012. "A Study on the Stabilization of Employment about the Irregular Librarians in Kyungnam Public School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3): 217-237.) 

  13. 유기홍. 2012. 학교비정규직의 실태와 개선방안. 2012 국정감사 정책자료집. 서울: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Yoo, Gi-Hong. 2012. Status and Improvement of temporary workers in School. 2012 Policy materials of inspect of the government offices. Seoul: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 National unions of School irregular workers.) 

  14. 유기홍, 전국학교도서관사서연합회, 공공운수노조 전회련 학교비정규직본부. 2013. 정책토론회: 학교도서관 사서의 전문성 강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가?. 2013년 10월 23일. 서울: 국회헌정 기념관.(Yoo, Gi-Hong. Federation of Korea School Library librarian, Headquarters of school irregular workers. 2013. Policy Debate: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of school librarians, Which direction it will move?. 2013. 10. 23. Seoul: National Assembly Memorial hall.) 

  15. 윤종영. 2013. 학교비정규직 처우개선 정책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인적자원정책전공.(Yoon, JongYoung.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Conditions for Non-Regular School Workers -With Focus on the Case: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M.A.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al Policy and Adminstration.) 

  16. 이은경. 2012. 학교도서관 운영인력의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학과.(Lee, EunKyoung. 2012. Research on the Hiring Systems of Library Workers and their Job Satisfaction. M.A.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Gradute School of Education, Dept. of Librarianship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7. 장해숙. 2009. 학교도서관 운영인력의 역할에 대한 인식연구. 한국독서교육학회, 1(1): 67-90.(Jang, Hae-Sook. 2009. "A Study the Staffs' Perception of their Roles in the School Libraries." The Reading Education Society, 1(1): 67-90.) 

  18. 정동열, 조찬식. 2007. 문헌정보학 조사연구법. 서울: 계문사.(Jung, Dong-Youl and Chan-Sik Cho. 2007. Research Metho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oul: Gaemunsa.) 

  19. 정사랑. 2013.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의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학과.(Chung, S. 2013. A study of the effect factors of job satisfaction of irregularly employed librarians at school library. M.A. thesis. Chung-Ang University, Gradute School of Education. Dep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 정종기. 2007. 효과적인 학교도서관 경영을 위한 인적자원의 배치 현황 및 직무만족도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1): 165-184.(Jung, Jong-Kee. 2007. "An Analysis on Job Satisfaction & Disposition of Human Resources for Effective Administration in Korean School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1): 165-184.) 

  21. 정혜선. 2009.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운영을 위한 학부모 명예사서의 활동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Jung, HyeSun. 2009. A Study on Parents' Activity as Honorary Librarian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School Library. M.A. thesis. Daejin University, Gradute School of Education, Dept. of Librarianship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2. 조미아. 2009. 학교도서관 환경변화에 따른 학교도서관 운영 전문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493-516.(Cho, Mi-Ah. 2009. "A Study on the Roles of School Library Professionals Followed by Environment Changes of School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1): 493-516.) 

  23. 최민정. 2006. 고용형태에 따른 사서의 직무태도와 성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Choi, M. 2006. The differences in job attitudes and performance between permanent and contingent librarians. M.A. thesi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Dept. of Librarianship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4. 한겨레신문. 2013. 학교 비정규직 차별 해결해야 한다. 12월 19일.(Discrimination against irregular worker in school. It must be resolved. 2013. The Hankyoreh, December 19.) 

  25. Nu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 Hill. 

  26. Van, D. V. and J. Ferry. 1980. Measuring and Assessing Organizations. New York: Wile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