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등 수학교사의 함수에 대한 지식(MKT) 측정 및 분석
Measuring and Analyzing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of Functions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7 no.3, 2015년, pp.469 - 492  

문진수 (계양중학교) ,  김구연 (서강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함수 영역에서 현직 중등 수학 교사들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이하 MKT) 수준을 검증할 수 있는 문항을 영역별로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검사를 통해 중등 수학교사들의 함수 영역의 MKT 수준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고등학교 1학년 수준에서 함수 영역에 대한 검사 문항을 개발하여 서울 지역의 총 5개의 고등학교 현직 수학 교사 34명을 상대로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교사들이 얻은 점수를 백점 만점으로 환산 시 검사지 총점의 평균은 67.4점으로 나타났는데, Common Content Knowledge[CCK], 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KCT] 영역의 점수에 비해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영역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각 영역별 총점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SCK, KCS 그리고 KCT 영역이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와 다르게 CCK와 나머지 영역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in particular, it focused on teachers' knowledge of functions. In order to measure teachers' MKT, we developed items according to Ball, Thames & Phelps (2008)'s domains and conducted to 34 secondary mathe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용교수지식이란? 또한 특정 상황에서 교구를 수업에서 활용했을 때 학생들이 보일 수 있는 긍정적인 반응과 부정적인 반응에 대한 이해도 교육과정 지식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내용교수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은 특정한 내용을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교사가 설명할 수 있는 지식으로 학습자가 특정 주제를 쉽게 혹은 어렵게 생각하도록 만드는지 이해하는 것을 포함한다.
Shulman(1986)은 교사가 교과를 가르치기 위해 필요한 지식으로 무엇을 제안하였는가? Shulman(1986)은 교사가 교과를 가르치기 위해 필요한 지식으로 내용지식(Content Knowledge), 교육과정지식(Curricular Knowledge), 내용교수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을 제안했다. Shulman에 따르면 첫째, 내용지식은 학문적 내용과 학문의 구조에 대한 지식을 말하는 것으로 교사가 특정한 과목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그 학문의 내용과 개념에 대한 이해를 넘어 왜 그러한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의 KCS는 무엇이 강조되는가? 일례로, 교사의 KCS는 학생들의 수학적 추론 능력을 장려하고 촉진하는데 핵심적인 지식이다(Ball, Lewis & Thames, 2008; Carpenter, Fennema, Peterson, Chiang, & Loef, 1989). 무엇보다도 수학 교사의 수학과제(mathematical tasks)의 선택 및 변형 능력과의 연계성이 매우 강조되는데(김대영ㆍ김구연, 2014; 이혜림ㆍ김구연, 2013; Boston & Smith, 2009; Henningsen & Stein, 1997; Wilhelm, 2014), 이는 교사가 어떤 과제를 어떻게 표현하며 과제들 간의 연결성을 제시할 수 있고 학생들의 “왜” 라는 질문에 그 원리를 개념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지식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Ball, Thames & Phelps, 2008; Henningsen & Stein, 1997). 중요한 것은 교사들의 지식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강윤수.전성아(2006). 수학과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적지식 형성 과정 탐구-함수 개념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45(2), 217-230. 

  2. 고희정.고상숙(2013). 고등학교 미적분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임교사의 교수를 위한 전문화된 수학 내용 지식(SCKT).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1), 157-185. 

  3. 김구연(2007).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case study of a middle-school mathematics teacher. 수학교육학연구, 17(3), 295-308. 

  4. 김구연(2009). An experienced teacher's representations of beliefs and knowledge in mathematics instruction. 학교수학, 11(3), 335-349. 

  5. 김구연(2010). Knowledge variation of teachers in middle-school mathematics classrooms. 수학교육학연구, 20(3), 357-371. 

  6. 김대영.김구연(2014). 중등 수학교사의 교과서 수학과제 이해 및 변형 능력. 학교수학, 16(3), 445-469. 

  7. 나귀수(2010).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수학적 지식 구성에 대한 연구-구성주의적 교수실험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2(2), 151-176. 

  8. 남윤석.전평국(2006). 교육실습 과정에서 배우는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교수학적 내용지식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 45(1), 75-96. 

  9. 박달원.홍순상.신민영(2012). 연속함수에 대한 고등학교 교과서의 정의와 고등학생들의 이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453-465. 

  10. 방정숙(2007). 수학 과제 분석을 통한 예비 초등 교사의 전문성 신장. 수학교육, 46(4), 465-482. 

  11. 방정숙.Yeping Li(2008). 예비 초등 교사들의 분수 나눗셈에 대한 지식. 수학교육, 47(3), 291-301. 

  12. 서관석.전경순(2000). 예비 초등 교사들의 분순 연산에 관한 내용적 지식과 교수학적 지식 수준에 대한 연구: 교사교육적 관점. 수학교육학연구, 10(1), 103-114. 

  13. 송근영.방정숙(2013).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1), 265-287. 

  14. 이승훈.조완영(2013). 수학교사의 이차곡선에 관한 내용지식의 분석. 학교수학, 15(4), 995-1013. 

  15. 이혜림.김구연(2013). 수학교과서 문제에 대한 예비중등교사의 이해 및 변형 능력. 수학교육학연구, 23(3), 353-371. 

  16. 차인숙.한정순(2004). 중등 예비교사의 함수 관계 상황 표현 능력에 대한 조사 연구. 수학교육, 43(2), 199-210. 

  17. 최승현(2007).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학과 내용 교수지식(PCK) 연구. 연구보고 RRI2007-3-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한정순.차인숙(2006). 중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지식. 수학교육, 45(1), 105-121. 

  19. Ball, D. L., Hill, H. C., Rowan, B. & Schilling, S. (2002). Measuring teachers'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release items, 2002. Ann Arbor Michigan: Study of Instructional Improvement. 

  20. Ball, D. L., Hill, H. C. & Schilling, S. G. (2004). Developing measures of teachers' mathematics knowledge for teaching.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5(1), 11-30. 

  21. Ball, D. L., Lewis, J., Thames, M. H. (2008). Making mathematics work in school.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Monograph 14, 13-44. 

  22. Ball, D. L., Lubienski, S. T., & Mewborn, D. S. (2001). Research on teaching mathematics: The unsolved problem of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In V. Richardson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4th ed., pp. 433-456). Washington, DC: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23. Ball, D. L.,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24. Cooney, T. J., Beckmann, S. & Lloyd, G. M. (2010).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functions for teaching mathematics in grade 9-12.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5. Copur-Gencturk, Y. (2015). The effects of changes in mathematical knowledge on teaching: A longitudinal study of teachers' knowledge and instruc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6, 280-330. 

  26. Fennema, E., & Franke, M. L. (1992). Teachers' knowledge and its impact. In D. A.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147-164). New York: Macmillan. 

  27.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8. Henningsen, M., & Stein, M. K. (1997). Mathematical tasks and student cognition: Classroom-based factors that support and inhibit high-level mathematical thinking and reason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8, 524-549. 

  29. Hill, H. C. (2007). Mathematical knowledge of middle school teachers: Implications for the No Child Left Behind policy initiative.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29, 95-114. 

  30. Hill, H. C., Schilling, S. G., Ball, D. L. (2004). Developing measures of teachers'mathematics knowledge for teaching. Elementary School Journal, 105, 11-30. 

  31. Hill, H. C., Sleep, L., Lewis, J. M., & Ball, D. L. (2007). Assessing teachers'mathematical knowledge: What knowledge matters and what evidence counts? In F. K. Lester J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111-155).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32. Hill, H. C., Ball, D. L., & Schilling, S. G. (2008). Unpack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teachers' topicspecific knowledge of student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9, 372-400. 

  33. Kim, G. (2015). Examining key issues in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In B. Sriraman, J. Cai, K. H. Lee, L. Fan, Y. Shimizu, C. S. Lim & K. Subramaniam (Eds.), The first sourcebook on Asian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China, Singapore, Japan, Malaysia, and India (pp. 909-916).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34. Leinhardt, G. & Smith, D. A. (1985). Expertise in mathematics instruction: Subject matter knowledge.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77(3), 247-271. 

  35. Leikin, R., & Levav-Waynberg, A. (2007). Exploring mathematics teacher knowledge to explain the gap between theory-based recommendations and school practice in the use of connecting task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6, 349-371. 

  3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37. Petrou, M., & Goulding, M. (2011). Conceptualizing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In T. Rowland & K. Ruthven (Eds.), Mathematical knowledge in teaching (pp. 9-25). London: Springer. 

  38.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39. Steele, M. D., & Hillen, A. F. (2012). The contentfocused methods course: A model for integrating pedagogy and mathematics content. Mathematics Teachers Educator, 1, 52-69. 

  40. Steele, M. D., Hillen, A. F., & Smith, M. S. (2013). Developing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in a methods course: the case of function.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s Education, 16, 451-482. 

  41. Stein, M. K., Grover, B. W., & Henningsen, M. (1996). Building student capacity for mathematical thinking and reasoning: An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used in reform classroom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3, 455-4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