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교사와 예비교사의 추론 및 증명구성 역량 및 특성 탐색
Examining Pre- and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roficiencies in Reasoning and Proof-Produ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8 no.2, 2019년, pp.161 - 185  

유은수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구연 (서강대학교)

초록

이 연구에서는 중등 수학 교사와 예비교사들이 추론과 증명을 어떻게 이해하여 구성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부분 대수적인 증명을 시도하는데 이미 알고 있는 공식이나 식을 적용한 대수적 조작으로 답을 구하는 것에 그치며 주어진 문제에 내재된 수학적 구조를 통해 증명을 구성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참여자의 상당수가 대수적 식을 통한 증명만을 완전한 증명으로 판단하였으며 대부분은 기존에 접하지 못했던 새로운 문제유형에서 추론 및 증명구성을 완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pre- and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reasoning and how they justify their reasoning.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set of mathematical tasks that are based on mathematical contents for middle grade students and conducted the survey to pre- and in-service teachers i...

주제어

표/그림 (3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CTM에서 추론과 증명을 어떤 활동으로 세분화하였나? 특히, NCTM(2000)에서는 추론과 증명을 서로 다른 과정으로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과정으로 설명하며 모든 학년의 학생들에게 추론에서 증명까지의 일련의 활동을 통합적으로 지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구체적으로, 추론과 증명은 ‘수학의 구조적 측면으로 추론과 증명 인식하기, 수학적 추론을 만들고 조사하기, 수학적 주장과 증명을 평가하고 발전시키기, 추론과 증명의 다양한 방법들 중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고 사용하기’의 활동으로 세분화 할 수 있다(NCTM, 2000).
Stylianides(2008a)는 추론 및 증명 활동을 어떻게 구분하였나? Stylianides(2008a)는 추론 및 증명 활동을 ‘패턴 찾기’, ‘가설 세우기’, ‘증명 제시하기’, ‘증명이 아닌 논증 제시하기’의 4가지로 구분했다. 수학적 일반화 만들기(making mathematical generalizations)는 패턴 찾기(Identifying a Pattern)와 가설 세우기(Making a Conjecture)로 나누어진다.
수학 수업에서 기하영역에 국한하여서 증명을 다루는 것은 왜 바람직하지 못한가? 이렇게 교사가 다른 수학적 활동들로부터 고립된 영역으로 특히 기하영역에 국한하여서 증명을 다루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학생들에게 증명에 대한 제한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고 수학자들이 수학적 지식을 이해하고 확립해온 과정을 학생들이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수학 수업에서 기하영역에 국한하여서 증명을 다루는 것에 대하여 다각도에서 비판이 제기되었고 여러 학자들이 모든 학년과 학교수학의 모든 내용에서 증명을 다룰 것을 강조한다(NCTM, 2000; Schoenfeld, 1994; Knuth, 2002a; Stylianides, 2008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leiler, S. K., Thompson, D. R., & Krajcevski, M. (2014). Providing written feedback on students’ mathematical arguments: Proof validations of prospectiv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7, 105-127. 

  2. Davis, E. A. & Krajcik, J. S. (2005). Designing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to promote teacher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34(3), 3-14. 

  3. Day, L. (2015). Mathematically rich, investigative tasks for teaching algebra. Mathematics teacher, 108(7), 512-518 

  4. Gilbertson, N. J. & Rogers, K. C. (2016). Triangles with integer dimensions. Mathematics Teacher, 109(9), 654-661. 

  5. Hanna, G. & Jahnke, H. N. (1993). Proof and Applic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4(4), 421-438. 

  6. Healy, L. & Hoyles, C. (2000). A study of proof conceptions in algebra.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1, 396-428. 

  7. Heinze, A. & Reiss, K. (2009). Reasoning and proof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In Stylianou, D., Blanton, M. and Knuth, E. (Eds), Teaching and Learning Proofs Across the Grades (pp. 333-357). Mahwah, NJ, Lawrence Erlbaum. 

  8. Henningsen, M. & Stein, M. K. (1997). Mathematical tasks and student cognition: Classroom-Based Factors that support and inhibit high-level mathematical thinking and reason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8(5), 524-549. 

  9. Hong, C. J. & Kim, G. (2012). Function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he cognitive demand of the mathematical tasks. School Mathematics, 14(2), 213-232. 

  10. Kim, G. & Jeon, M. (2017a). Exploring teachers' pedagogical design capacity: How mathematics teachers plan and design their mathematics lesson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6(4), 365-385. 

  11. Kim, G. & Jeon, M. (2017b). Exploring how middle-school mathematics textbooks on functions provide students an opportunity-to-learn. School Mathematics, 19(2), 289-317. 

  12. Kim, M. & Kim, G. (2013). An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in the high school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5(1), 37-59. 

  13. Knuth, E. J. (2002a).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conceptions of proof.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3(5), 379-405. 

  14. Knuth, E. J. (2002b). Teachers' conceptions of proof in the context of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5, 61-88. 

  15. Knuth, E. J., Slaughter, M., Choppin, J. & Sutherland, J. (2002). Mapping the Conceptual Terrain of Middle School Students' Competencies in Justifying and Proving. In S. Mewborn, P. Sztajn, D. Y. White, H. G. Wiegel, R. L. Bryant and K. Nooney (Eds.), Proceedings of the 24th Meeting for PME-NA, Vol. 4 (pp.1693-1700). Athens, GA. 

  16. Knuth, E. J., Choppin, J. M., & Bieda, K. N. (2009). Middle school students' production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s. In Stylianou, D., Blanton, M. and Knuth, E. (Eds), Teaching and Learning Proofs Across the Grades (pp. 153-170). Mahwah, NJ, Lawrence Eribaum. 

  17. Kuchemann, D. & Hoyles, C. (2009). From Empirical to Structural Reasoning in Mathematics : tracking change over time. In Stylianou, D., Blanton, M. and Knuth, E. (Eds), Teaching and Learning Proofs Across the Grades (pp. 171-190). Mahwah, NJ, Lawrence Eribaum. 

  18. Kwon, J. & Kim, G. (2013). An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in the middle school geometry. The Mathematical Education 52(1), 111-128. 

  19. Lamon, S. J. (2006). Teaching Fractions and Ratios for Understanding: Essential Content Knowledge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ers. Routledge: New York. 

  20. Lappan, G., Fey, J. T., Fitzgerald, W., Friel, S. N., Philips, E. (2002). Getting to know Connected Mathematics Project: An implementation guide. Glenview, IL: Prentice-Hall. 

  21. Mata-Pereira, J. & da Ponte, J. (2017). Enhancing students' mathematical reasoning in the classroom: teacher actions facilitating generalization and justific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96, 169-186. 

  22.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2015-74. Author. Seoul, Korea. 

  2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4. Park, E. J. & Pang, J. (2005). A survey on mathematics teachers' cognition of proof.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8(1), 101-116. 

  25. Park, H. (2014).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nceptions and Understanding about Reasoning and Proof.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26. Park, K. et al. (2015) 2015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Development II. Ministry of Education. Seoul, Korea. 

  27. Remillard, J. T. & Bryans, M. B. (2004). Teachers' orientations toward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Implications for teacher learn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5, 352-388. 

  28. Ross, K. (1998). Doing and proving: The place of algorithms and proof in school mathematics.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3, 252-255. 

  29. Schoenfeld, A. (1994). What do we know about mathematics curricula?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13, 55-80. 

  30. Stylianides, A. J (2007). Proof and proving in school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8, 289-321. 

  31. Stylianides, A. J (2009). Breaking the equation "empirical argument proof.". Mathematics Teaching, 213, 9-14. 

  32. Stylianides, G. J (2008a). An analytic framework of reasoning-and-proving.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28(1), 9-16. 

  33. Stylianides, G. J. & Stylianides, A. J (2009). Facilitating the Transition from Empirical Arguments to Proof.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0(3), 314-352 

  34. Stylianides, G. J. & Silver, E. A. (2009). Reasoning-and-Proving in school mathmatics : the case of pattern identification. In Stylianou, D., Blanton, M. and Knuth, E. (Eds), Teaching and Learning Proofs Across the Grades (pp. 235-249). Mahwah, NJ, Lawrence Eribaum. 

  35. Stylianides, G. J., Stylianides, A. J., & Weber, K (2017). Research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Proof: Taking Stock and Moving Forward. In J. Cai (Ed.), Compendium for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pp. 237-259).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6. Varghese, T. (2009). Secondary-level Student Teachers' Conceptions of Mathematical Proof. Issues in the Undergraduate Mathematics Preparation of School Teachers, 1. 

  37. Waring, S. (2000). Can You Prove It? Developing Concepts of Proof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Leicester, UK: The Mathematical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