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7 no.3, 2015년, pp.493 - 513
문종은 (한양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 박미영 (한양대학교) , 주미경 (한양대학교) , 정수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학교교육개선을 위한 방안으로서 융복합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 13종에 수록된 실세계 기반의 과제 880개를 대상으로 융복합 맥락 차원 및 융복합 방식 차원과 관련하여 과제 구성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융복합교육의 맥락 차원에서는 개인적 맥락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융복합 방식 차원에서는 타 교과의 제재가 수학 문제해결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거나 단순하게 설명문 형식으로 제시되어 있는 순차모형의 과제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수학교과를 통해 학습자의 융복합적인 역량을 함양하고 문 이과 통합을 통해 융합적 사고를 증진시키려는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현행 교과서의 구성이 매우 제한적임을 보여주는 결과로써, 학습자가 살아갈 미래사회와 세계사회 맥락에서의 탐구가 가능한 과제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타 교과의 지식 및 사회적인 쟁점과 수학교과를 융복합교육의 관점에서 보다 의미 충실하게 연결할 수 있는 과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tasks in local and global contexts are important to raise students' ability to mathematically analyze and solve diverse phenomena and social issues as members of future civil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880 real world tasks from 13 types of 7th...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은 어떤 것을 포함하고 있는가? |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교육부는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과 학교의 교육과정을 연계하고자 창의ㆍ융합형 인재의 양성을 비전으로 공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균형 있게 발휘하는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이러한 맥락에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은 21세기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필요한 미래 핵심역량을 기본으로 하면서학교수학을 통해 함양하고자 하는 수학과 핵심역량 가운데 창의ㆍ융합을 포함하고 있다(이광우 외, 2009; 이근호 외, 2012, 2013; 최승현 외, 2011; 황선욱 외 2014). | |
미래 세계시민에게 필요한 자질과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 교육부는 무엇을 제시하였나? | 이러한 맥락에서 학교수학은 수학적 지식을 학습하고 탐구하며 실세계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미래 세계시민에게 필요한 자질과 역량을 함양하기를 요청받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차윤경 외, 2014; NCTM, 2000).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교육부는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과 학교의 교육과정을 연계하고자 창의ㆍ융합형 인재의 양성을 비전으로 공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균형 있게 발휘하는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이러한 맥락에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은 21세기를 살아갈 학생들에게 필요한 미래 핵심역량을 기본으로 하면서학교수학을 통해 함양하고자 하는 수학과 핵심역량 가운데 창의ㆍ융합을 포함하고 있다(이광우 외, 2009; 이근호 외, 2012, 2013; 최승현 외, 2011; 황선욱 외 2014). | |
융복합적인 역량이 요구되는 현대 사회의 특성은 무엇인가? |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는 인간의 삶과 환경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지식 및 정보들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기에 단순히 교과서적인 지식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상황과 문제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다원화되고 복잡성을 가진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는 실세계 맥락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역의 지식을 활용하고 창의적인 대안을 생각하며 합리적이고 민주적인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는 융복합적인 역량이 요구된다. |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교육부(2015).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2015-2019). 교육부.
문종은(2014). 융복합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변화율 개념의 이해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박미영, 문종은, 주미경, 정수용, 박모라(2015).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실세계 맥락 과제의 분석- 융복합교육의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 교육교육학연구, 19(2), 543-570.
박형주(2012). 통합 교육에 근거한 중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STEAM 교육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변희현, 권점례, 박선화, 박지현, 이광상, 임해미, 조윤동, 최승현, 도종훈, 조영미, 채정림 (2013). 미래 사회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수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3-22.
송미영, 최혁준, 임해미, 박혜영(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 PISA 2012 결과 분석 및 PISA 2015 예비검사 시행 기반 구축. 교육과정평가연구, 16(1), 51-66.
신보미(2012). 예비 교사들의 맥락 문제 해결 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2(4), 535-555.
윤회정, 윤원정, 우애자(2011). 2009 개정 교육과 정과 융합형 과학 교과서에 대한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5(3), 757-776.
이광우, 전제철, 홍원표, 허경철, 김문숙(2009). 핵심역량 기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9-20.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2012).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2-4.
이근호, 김기철, 김사훈, 김현미, 이명진, 이상하, 이인제(2013).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탐색: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교육평가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3-2.
이미경, 양정실, 서영진, 변희현, 최정순, 이영아 (2014).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4-6.
이선경, 구하라, 김선아, 김시정, 문종은, 박영석, 신혜원, 안성호, 유병규, 이삼형, 이승희, 이은연, 주미경, 차윤경, 함승환, 황세영(2013).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 현장 사례 분석을 통한 구성틀 적용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3), 483-513.
정수용(2015).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사회교과 제재의 통합 방식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차윤경, 김선아, 김시정, 문종은, 송륜진, 박영석, 박주호, 안성호, 이삼형, 이선경, 이은연, 주미경, 함승환, 황세영(2014). 융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최승현, 곽영순, 노은희(2011).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수학습 및 교사교육 방안 연구: 중학교 국어, 수학,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1-1.
한국과학창의재단(2015, 7).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 토론회. 서울교육대학교 종합문화관. 한국과학창의재단.
함승환, 구하라, 김선아, 김시정, 문종은, 박영석, 박주호, 안성호, 유병규, 이삼형, 이선경, 주미경, 차윤경, 황세영(2013). "융복합교육"의 개념화: 융(복)합적 교육 관련 담론과 현장 교사 포커스 그룹 면담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평가연구, 16(1), 107-136.
황선욱, 박혜숙, 이광연, 고호경, 이종규, 한준희, 박문환, 박상의, 이상민(2014). 주제 중심의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 모형 개발. 한국수학 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4(2).
Drake, S. M. & Burns, R. C. (2006). 통합교육과정 (박영무, 강현석, 김인숙, 허영식 공역). 서울: 원미사.(원저는 2004년 출간)
Fogarty, R. (2009). How to integrate the curricula (3rd ed.).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Freudenthal, H. (2002).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Lave, J. (1988). Cognition in practice: Mind, mathematics, and culture in everyday lif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Leonard, J. (2004). Integrating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language arts with "A Tale of Two Cities." Middle School Journal, 35(3), 35-40.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Petaglia, J. (1998). Reality by design: The rhetoric and technology of authenticity in educa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Vahey, P., Rafanan, K., Patton, C., Swan, K., van Hooft, M., Kratcoski, A., & Stanford, T. (2012). A cross-disciplinary approach to teaching data literacy and proportionali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1(2), 179-205.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