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정규직 임상연구 간호사의 근무경험
Work Experience of Irregular Clinical Research Nurses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6 no.4, 2015년, pp.623 - 634  

김혜옥 (Kyungnam University Department of Nursing)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방 종합병원 임상 시험센터에서 근무하는 임상연구 간호사로서의 근무경험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함이다. "비정규직 임상연구 간호사로서의 근무경험은 어떠한가?" 임상연구 간호사의 업무 역할 경험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해석하고 그 의미를 밝히기 위해 Spradley의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주제는 다음과 같다. 임상연구 간호사로서의 업무 역할 경험에 있어 기존 간호업무와 관련하여 '임상연구 간호사로서의 사회화 되어 가는 과정', '연구 대상자들을 통한 애환'이었다. 임상연구 업무전문성은 전문교육부재', '연구 총 기획자의 역할'이었다. 근무환경 측면은 '자신만의 공간', '여유와 배려 속에서 주도적인 근무 환경'이었다. 복지 측면은 '비정규직만이 가진 고충'이었다. 비정규직 임상연구 간호사로서 근무경험은 간호사 역할 확대와 더불어 사회화 학습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업무과정을 원활하게 수행하려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결론은 간호사의 역할 확대에 따른 간호 전문직론에 임상연구 간호사의 직무분석과 역할이 추가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사회적으로 비정규직 임상연구 간호사의 근로조건 개선에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to perform an in-depth investigation about meanings and essence of working as clinical research nurses in local general hospitals. In order to interpret and reveal the meanings of role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objects of 7 participants for 3 months. Data were analyze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연구 간호사에게 필요한 능력은 무엇인가? 또한 최근 신약개발과 바이오 의약품 개발 분야에 임상시험의 절차, 규정, 윤리적 측면이 부각 되면서 인체의 특성, 질병 및 약물 등에 지식을 갖추고 있는 간호사가 임상연구 코디네이터로 역할을 하고 있다[5]. 임상연구 간호사의 역할은 피험자의 대변자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인간애를 지녀야 하고, 임상 시험의 시작부터 완료까지 전 과정을 수행 할 수 있도록 관리, 조직화 기술, 행정적 업무처리 능력 및 연구과정 전반에 걸친 관련 문서의 정리 및 보관을 위한 세심함이 요구된다고 하였다[6]. 임상 연구 간호사가 직접간호를 높은 비중으로 제공하고, 교육자 및 대변자 역할을 포함하고 있어 임상시험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간호사가 적당하다고 하였다[7].
임상 연구 간호사에게 임상대상자 모집 및 관리 업무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임상 연구 간호사의 업무역할에 있어서는 임상시험대상자를 모집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업무이다. 임상시험 대상자는 환자와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연구에 참여하고 그 수혜를 받는 기회를 창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업무를 수행하는 중에는 좋은 임상 시험 결과를 가져오는 것임과 동시에, 임상시험대상자에게 최소한의 위험이 초래 하지 않도록 관리를 해야 한다고 한다.
임상실험이란 무엇인가? 임상실험은 치료나 예방을 위해 의약품 개발 단계에서 약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증명할 목적으로, 해당 약물의 약동, 약력, 약리, 임상적 효과를 확인하고 이상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시험 또는 연구이다[1]. 법률적으로는 인간과 인체 유래물 등을 연구하거나, 배아나 유전자 등을 취급할 때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침해하거나 인체에 위해(危害)를 끼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생명윤리 및 안전을 확보하고 국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고[2] 규정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orea good clinical practice 200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Retrieved from http://mfds.go.kr/index.jsp . February 10, 2015. 

  2. National Government Organization Act, " Bioethics and the law with regard to the safety," law the title No.12844, partial amendments. Focus Act, medical codes. 2014, Ministry of Health Welfare, Retried fro m http://www.mw.go.kr/front_new/jb/sjb0403vw.jsp, November 19, 2014. 

  3. "The global development of medicines Assessment trends," Administrative Publication No.11-1470550- 000286-01, 2, Chungcheongbuk-do, National Institut 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Retried from, July, 2012. 

  4. S. McDermott, K. Hathaway, C. Saunders, "Develpoing Good Practice for Clinical Research Nurses," Journal of Nursing Standard, Vol. 28, No. 26, pp. 40-44, 2013. 

  5. M. S. Jung, O. S. Kang, M. H. Ko, D. H. Kim, S. Y. Kim, E. K. Kim, K. J. Kim, J. H. Kim, K. O. Park, K. A. Seomun, S. H. Jo, "Introduction to nursing," pp. 255-272, Seoul: Hyunmoon, 2012. 

  6. C. Mori, N. Mullen, & E. E. Hill, "Describing the role of the clinical research nurse," Research Practitioner, Vol. 8, No. 6, pp. 220-228, 2007. 

  7. S. J. Do, "The role of clinical research nurses at regional clinical trials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6, No. 3, pp. 348-359, 2010. 

  8. K. E. Bowen, L. S. Rice, "Who is clinical research nurse?", Journal of Research Nurse, Vol. 4, No. 4, pp. 1-4, 2007. 

  9. W. Carpentier, "Clinical research nurse career ladder," Journal of Research Nurse, Vol. 4, No. 5, pp. 1-13, 1998. 

  10. H. S. Kang, W. O. Kim, I. S. Jeong, J. M. Baik, "The working conditions and clinical trial practice of research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9, No. 2, pp. 42-55, 2004. 

  11. Y. S. Hwang, l. S. Ko, "Role Performance and Related Factors of the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4, pp. 524-537, 2011. 

  12. l. S. Ko, Y. S. Hwang, H. K. Kim, "Comparison of the Perception between Investigators and Clinical Research Associates in Role Performances of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Journal of Korean Acad emia Industrial Coopreation Society Vol. 15, No. 8, pp. 5095-5108, 2014. 

  13. T. E. Kim, K. H. Kim. "Status and Job satisfaction among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5, No. 3, pp. 336-345, 2009. 

  14. N. Y. Lim, Y. H. Sung, H. J. Hong, M. S. Hwang, M. A. Kim, W. H. Kwak, S. K. Song, M. K. Lee, "Expanding Role if Nurses in Hospitals: Focus on Nurse Administrato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7, No. 3 pp. 349-362. 2011. 

  15. K. L. Shin, M. O. Cho, J. H. Yang, "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pp. 318-345, Seoul: Ewha University, 2004. 

  16. J. P. Spradley. "The ethnographic interview," New York. NY: Holt, Rinehart & Winston, 1979. 

  17. Y. S l.incoln, E. G. Guba, "Effective evaluation (4th Eds)," San Francisco: Jossey-Bass. 1985. 

  18. S. Y. Shin, M. Y. Lee, "The Effect of Need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Organization Climate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6, No. 3, pp. 51-61, 2010. 

  19. R. D. Poston, C. R. Buescher, "The Essential Role of the Clinical Research Nurses," Journal of Urologic Nursing, Vol. 30, No. 1, pp. 55-77, 2010. 

  20. C. U. Gibbs, K.. Lowton., "The Role of the Clinical Research Nurses," Journal of Nursing, standard, Vol. 26, No. 27, pp. 37-40, 2012. 

  21. L. Stephens, A. Papke, "Cerrtified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Applied Clinical Trials, Vol. 4, No. 9, pp. 58-63, 1995. 

  22. Mosa, A. S. Yoo, I., & Sheets, L. (2012). A systemat icreview of healthcare applications for smartphones. BMC Med Inform Decis Mak, 12, 67. doi: 10.1186/14 72-6947-12-67. 

  23. J. H. Choi, J. H. Jeong, "The Effect of readiness to Self Directed Learning on Nursing Pracctice Competenc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7, No. 1, pp. 16-26, 2011. 

  24. M. Muller, L. Mamo, "The nurse clinical trial coordinator benefits and drawbacks of the role," Research and Theory for Nursing Practice, Vol. 16, pp. 33-42, 2002. 

  25. P. J. Guglielmino, I. M. Guglielmino, "Moving toward distributed learning model based on self managed learning model based on self managed learning," Journal of SAM Advanced Management , Vol. 66 No. 3, pp. 36-43, 20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