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 활용 가능한 식생활 조사항목 개발 및 유용성 검증
Development of dietary behavior items available i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8 no.5, 2015년, pp.407 - 418  

임아현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숙영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심재은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지윤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문현경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기랑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생활 조사영역에서 만성질환의 요인을 파악할 수 있는 항목의 개발 및 보완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국내 및 국외에서 실시하고 있는 식생활 조사항목을 고찰하였다. 고찰된 결과를 기반으로 국민 식생활 패턴이 반영되면서 국가 정책의 평가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식생활 조사항목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발 및 보완된 식생활조사항목은 국내외 식생활 관련 연구 및 정책에서 사용한 식생활 조사항목을 고찰한 결과를 기반으로 후보 항목을 도출하였고, 전문가 포커스 그룹 조사 및 수요도 조사를 통해 검토되어 8개의 식생활 조사 항목이 선정되었다. 2) 전문가 포커스 그룹 조사 및 수요도 조사 결과에서 선정된 8개의 조사 항목 중에서 조사 필요성 및 타당성에 대해 전문가 의견의 합의가 있는 항목을 최종 선정한 결과, 전체 대상으로는 소금 및 나트륨 섭취, 가당 및 단순당 섭취, 충분한 식사시간 확보 및 식사속도에 대한 항목이 선정되었고, 아동 및 청소년 대상에서는 전체 대상 조사 항목에 추가적으로 카페인 음료 섭취, 간식 및 건강한 식품섭취 항목이 추가되었고, 노인 대상에서는 섭취 제한, 간식 및 건강한 식품섭취 항목이 추가되었다. 3) 최종 선정된 식생활 조사 항목별 설문 문항을 구성하기 위하여 생태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한 사회인지이론에 적용하여 각 조사 항목별로 환경, 개인적 요인, 행동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문항을 개발하였다. 4) 개발된 식생활 조사 항목별 설문 문항은 학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안면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인지조사를 통해 이해도 평가와 신뢰도 평가를 측정한 결과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최종적으로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조사 담당자 및 영양분과위원회의 회의 및 검토를 통하여 설문문항이 확정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조사 문항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조사 영역 중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로 pilot study를 수행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가 높게 나타난 영역부터 우선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향후 우선순위에 따라 순환 조사를 할 수 있다. 둘째, 식생활 조사 시, 각 영역별의 환경, 개인적 요인, 행동 문항은 같이 조사하여 서로 문항 간의 상관성 및 유효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개발된 신규 조사 문항은 현재 중요한 영양 이슈 중심의 항목으로 개발되었으므로 향후 추가적인 영양문제로 새로운 항목 개발 시에도 좀 더 구체적인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생태학적 모델을 적용한 문항을 이용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정책 마련에 활용해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Given that the indicators related to chronic diseases are important to evaluating goals of the national health polic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dietary behavior items availabl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ethods: The dietary behavior items we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행동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적용되는 모델은 무엇인가? 최근 행동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생태학적 모델 (ecological framework)을 적용하고 있는데,28 이러한 적용은 세 가지의 핵심 원칙을 담고 있다. 첫째, ‘사람들이 알고 생각하는 것이 그들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
식생활이란 무엇인가? 1-3 이에 따라 현대에 이르러 건강검진을 위한 평가 중 식생활 항목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으며 만성질환 발생을 선별함에 있어서 식생활 평가 도구가 이용되고 있다. 국민영양관리법에 따르면 식생활이란 “식문화, 식습관, 식품의 선택 및 소비 등 식품의 섭취와 관련된 모든 양식화된 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국민 식생활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서 국민의 영양 상태를 평가하고 질환 발생 예방을 위한 정책 개발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건강 증진과 밀접한 환경에는 무엇이 있는가? 건강 증진과 밀접한 환경에는 일반적으로 물리적, 경제적, 정치적, 사회문화적 환경이 포함된다. 이는 건강한 선택을 할 수 있는 기회의 유용성을 제공하는 물리적 환경, 건강한 선택을 하기 위한 비용과 관련된 경제적 환경, 건강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규칙과 법령을 의미하는 정치적 환경, 건강한 행동 선택과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서술적인 규범, 건강한 행동을 취하는데 있어서의 사회적지지, 건강하지 않은 습관에 개입하도록 하는 사회적 압력과 같은 사회적문화적 환경 등이 해당된다.27 이와 같은 환경들은 물론 식생활 변화에도 같은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Kim HR. Nutrition transition and shifting diet linked non-communicable diseases and policy issues. Health Welfare Policy Forum 2013; 198: 27-37. 

  2. Shim JE, Kim JH, Nam GY, Paik HY, Moon HK, Kim YO.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s of Koreans by age groups: (3) Risk factors for chromic degenerative diseases. Korean J Nutr 2002; 35(1): 78-89. 

  3. McCullough ML, Feskanich D, Stampfer MJ, Giovannucci EL, Rimm EB, Hu FB, Spiegelman D, Hunter DJ, Colditz GA, Willett WC. Diet quality and major chronic disease risk in men and women: moving toward improved dietary guidance. Am J Clin Nutr 2002; 76(6): 1261-1271. 

  4. Kim MK, Kim K, Kim CI, Oh K, Oh YJ, Choi BY. The current status and the perspectives of nutrition survey. Korean J Epidemiol 2007; 29(2): 111-128. 

  5. World Health Organization.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World Health Organ Tech Rep Ser 2003; 916: iviii, 1-149. 

  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1-12 [Internet]. Hyattsville (MD):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2013 [cited 2014 Jan 5]. Available from: http://wwwn.cdc.gov/nchs/nhanes/search/nhanes11_12.aspx. 

  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S). 2012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questionnaire [Internet]. Atlanta (G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cited 2014 Jan 5]. Available from: http://www.cdc.gov/brfss/questionnaires/pdf-ques/2012_BRFSS.pdf. 

  8. Department of Health (GB). Diet and nutrition survey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2011 [Internet]. London: Department of Health; 2013 [cited 2014 Aug 13]. Available from: 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diet-and-nutrition-survey-ofinfants-and-young-children-2011. 

  9. Department of Health (GB). National diet and nutrition survey: headline results from years 1 and 2 (combined) of the rolling programme 2008-9 - 2009-10 [Internet]. London: Department of Health; 2011 [cited 2014 Jan 5]. Available from: 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national-diet-and-nutrition-survey-headline-results-from-years-1-and-2-combined-of-the-rollingprogramme-2008-9-2009-10. 

  10. Statistics Canada. Canadian community health survey (CCHS) cycle 2.2 nutrition: Questionnaire [Internet]. Ottawa: Statistics Canada; 2005 [cited 2014 Jan 5]. Available from: http://www23.statcan.gc.ca/imdb/p3Instr.pl?FunctiongetInstrumentList&Item_Id33187&UL1V&. 

  11.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and Nutrition (JP).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apan, 2004 [Internet]. Tokyo: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and Nutrition; 2004 [cited 2014 Jan 5]. Available from: http://www0.nih.go.jp/eiken/english/. 

  12.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ustralian health survey 2011-13 (AHS) [Internet]. Sydney: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12 [cited 2014 Jan 5]. Available from: http://www.abs.gov.au/websitedbs/d3310114.nsf/home/australian+health+survey.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community health survey [Internet].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cited 2014 Aug 13]. Available from: https://chs.cdc.go.kr/chs/index.do. 

  14. Ministry of Educati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9th (2013) Korean you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Interne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013 [cited 2014 Aug 13]. Available from: http://yhs.cdc.go.kr/. 

  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Internet].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cited 2014 Aug 13].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View.jsp?cid24606&viewType CDC&menuIdsHOME001-MNU1136-MNU1223-MNU1348. 

  16.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3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Internet]. Seoul: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3 [cited 2014 Aug 13]. Available from: http://foodsurvey.krei.re.kr/board/primitive_data. 

  17. Story M, Kaphingst KM, Robinson-O'Brien R, Glanz K. Creating healthy food and eating environments: policy and environmental approaches. Annu Rev Public Health 2008; 29(1): 253-272. 

  18. Park YS, Lee JW, Seo JS, Lee BK, Lee HS, Lee SK. Nutrition education & counseling, 5th revision. Paju: Kyomunsa; 2013. 

  19. Baranowski T, Perry CL, Parcel GS. How individuals, environments, and health behavior interact: social cognitive theory. In: Glanz K, Lewis FM, Rimer BK, editor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2nd edi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997. p.153-178. 

  20. Booth SL, Sallis JF, Ritenbaugh C, Hill JO, Birch LL, Frank LD, Glanz K, Himmelgreen DA, Mudd M, Popkin BM, Rickard KA, St Jeor S, Hays NP. Environmental and societal factors affect food choice and physical activity: rationale, influences, and leverage points. Nutr Rev 2001; 59(3 Pt 2): S21-S39. 

  21. Glanz K, Sallis JF, Saelens BE, Frank LD. Healthy nutrition environments: concepts and measures. Am J Health Promot 2005; 19(5): 330-333. 

  22. Willis GB. Cognitive interviewing - a "how to" guide. Research Triangle Park (NC): Research Triangle Institute; 1999. 

  23. Fowler FJ. Getting beyond pretesting and cognitive interviews: the case for more experimental pilot studies. In: Presser S, Rothged JM, Couper MP, Lessler JT, Martin E, Martin J, editors. Questionnaire Development Evaluation and Testing Methods. New York (NY): John Wiley; 2004. p. 109-130. 

  24. Madans J, Miller K, Maitland A, Willis G. Question evaluation methods: contributing to the science of data quality. Hoboken (NJ): John Wiley & Sons; 2011. 

  25. Jobe JB, Mingay DJ. Cognitive research improves questionnaires. Am J Public Health 1989; 79(8): 1053-1055. 

  26. Landis JR, Koch GG.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1977; 33(1): 159-174. 

  27. Brug J. Determinants of healthy eating: motivation, abilities and environmental opportunities. Fam Pract 2008; 25 Suppl 1: i50-i55. 

  28. Swinburn B, Egger G, Raza F. Dissecting obesogenic environment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framework for identifying and prioritizing environmental interventions for obesity. Prev Med 1999; 29(6 Pt 1): 563-570. 

  29.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Health (US). Nutrition & physical activity plan: policy & environmental approach. Olympia (WA): Washington State Department of Health; 2008. 

  3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Internet].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cited 2014 Aug 13].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31. Kim HJ, Paik HY, Lee SY, Shim JE, Kim YS. Salt usage behaviors are related to urinary sodium excretion in normotensive Korean adults. Asia Pac J Clin Nutr 2007; 16(1): 122-128. 

  32. Ahn SH, Kwon JS, Kim K, Yoon JS, Kang BW, Kim JW, Heo S, Cho HY, Kim HK.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practicability of guidelines for reducing sodium intake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in housewiv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6): 724-736. 

  33. Bjelland M, Lien N, Grydeland M, Bergh IH, Anderssen SA, Ommundsen Y, Klepp KI, Andersen LF. Intakes and perceived home availability of sugar-sweetened beverages, fruit and vegetables as reported by mothers, fathers and adolescents in the HEIA (HEalth In Adolescents) study. Public Health Nutr 2011; 14(12): 2156-2165. 

  34. Hedrick VE, Savla J, Comber DL, Flack KD, Estabrooks PA, Nsiah-Kumi PA, Ortmeier S, Davy BM. Development of a brief questionnaire to assess habitual beverage intake (BEVQ-15):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total beverage energy intake. J Acad Nutr Diet 2012; 112(6): 840-849. 

  35. Park S, Sherry B, Foti K, Blanck HM. Self-reported academic grades and other correlates of sugar-sweetened soda intake among US adolescents. J Acad Nutr Diet 2012; 112(1): 125-131. 

  36. Davis JN, Whaley SE, Goran MI. Effects of breastfeeding and low sugar-sweetened beverage intake on obesity prevalence in Hispanic toddlers. Am J Clin Nutr 2012; 95(1): 3-8. 

  37. Sinn DH, Shin DH, Lim SW, Kim KM, Son HJ, Kim JJ, Rhee JC, Rhee PL. The speed of eating and functional dyspepsia in young women. Gut Liver 2010; 4(2): 173-178. 

  38. Thivel D, Aucouturier J, Isacco L, Lazaar N, Ratel S, Dore E, Meyer M, Duche P. Are eating habits associated with physical fitness in primary school children? Eat Behav 2013; 14(1): 83-86. 

  39. Wolfe WS, Olson CM, Kendall A, Frongillo EA Jr. Understanding food insecurity in the elderly: a conceptual framework. J Nutr Educ 1996; 28(2): 92-100. 

  40. Suh Y, Seok YH, Chung YJ. Relationship of dietary self-efficacy and illness beliefs,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barriers for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in the elderly. Korean J Nutr 2012; 45(4): 324-3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