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영양표시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동 조사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Nutritional Label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3, 2013년, pp.391 - 397  

최정화 (숭의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  이나영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280 University students towards nutrition label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nutrition labeling, and whether body mass index (BMI) with nutrition label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영양표시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식품관련 교양수업을 듣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행되었다. 대학생들의 비만도에 따라 영양표시에 대한 태도, 지식 및 행동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 조사하였으며,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영양표시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동 수준을 조사하고, 응답자의 비만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으며, 대학교에서 개설된 식품영양 관련 교양과목에서의 영양정보 교육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표시제도란 무엇인가? 소비자들의 생활수준 향상과 식품산업의 발달, 핵가족화 및 식생활의 서구화 등의 사회적 변화에 따라 가공식품과 인스턴트식품의 이용과 외식이 증가하였고, 대학생들의 경우 집밖에서 대부분의 식사를 해결하고 있어 식품을 선택하는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영양표시제도(nutrition labeling)는 개별 식품에 함유된 영양소의 종류와 함량 등을 표시하여 영양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소비자들이 식품의 영양적 가치를 근거로 합리적인 식품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도입된 제도(Park 등 1995; Chang S 1997)이며, 제품의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합리적인 식품 선택 유도와 생산되는 제품의 영양품질을 향상을 통해 국민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h 등 2008). 또한 영양표시는 소비자들에게 유용한 영양교육 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영양정보의 제공과 올바른 식품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Oh & Jang 2004).
영양표시제도의 장점은? 소비자들의 생활수준 향상과 식품산업의 발달, 핵가족화 및 식생활의 서구화 등의 사회적 변화에 따라 가공식품과 인스턴트식품의 이용과 외식이 증가하였고, 대학생들의 경우 집밖에서 대부분의 식사를 해결하고 있어 식품을 선택하는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영양표시제도(nutrition labeling)는 개별 식품에 함유된 영양소의 종류와 함량 등을 표시하여 영양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소비자들이 식품의 영양적 가치를 근거로 합리적인 식품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도입된 제도(Park 등 1995; Chang S 1997)이며, 제품의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합리적인 식품 선택 유도와 생산되는 제품의 영양품질을 향상을 통해 국민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h 등 2008). 또한 영양표시는 소비자들에게 유용한 영양교육 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영양정보의 제공과 올바른 식품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Oh & Jang 2004).
소비자들은 영양표시제도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 영양표시제도(nutrition labeling)는 개별 식품에 함유된 영양소의 종류와 함량 등을 표시하여 영양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소비자들이 식품의 영양적 가치를 근거로 합리적인 식품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도입된 제도(Park 등 1995; Chang S 1997)이며, 제품의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합리적인 식품 선택 유도와 생산되는 제품의 영양품질을 향상을 통해 국민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h 등 2008). 또한 영양표시는 소비자들에게 유용한 영양교육 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영양정보의 제공과 올바른 식품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Oh & Jang 2004). 식품위생법(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0)에 따르면, 영양표시란 식품에 들어있는 영양소의 양 등 영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lmanza BA, Nelson D, Chai S. 1997. Obstacles to nutrition labeling in restaurants. J Am Diet Assc 97:157-161 

  2. Burton S, Creyer EH, Kees J, Huggins K. 2006. Attacking the obesity epidemic: the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providing nutrition information in restaurants. Am Public Health Assoc 96:1669-1675 

  3. Cha YS, Choi OS, Rho JO. 2008. A study on the purchase patterns of processed food and perception of school dietitians on nutrition labelling in Chonbuk area of Korea. Korean J Food & Nutr 21:87-96 

  4. Chang S. 1997. A study on the current nutrition labeling practices for the processed foods retailed in the supermarket in Korea. Korean J Nutr 30:100-108 

  5. Chang SO. 2000. A study on the perception, use, and demand of housewife-consumers for nutrition label. Korean J Nutr 33:763-773 

  6. Cho SH, Yu HH. 2007.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 and awareness of food nutrition labe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2: 519-533 

  7. Choi JH, Chung YJ. 2003. Consumer preferred fomats of nutrition labels: housewives of Daejon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8:220-230 

  8. Chung EJ, Jeon JS, Ahn HS. 2010. Reading and understanding o food & nutrition labels and dietary behaviors of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6: 239-254 

  9. Chung JY, Kim MJ. 2007. Using and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s and related factors among female adults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2:417-425 

  10. Garg N, Wansink B, Inman JJ. 2007. The influence of incidental affect on consumers food intake. J Markt 71:194-206 

  11. Joo NM, Yoon JY, Kim OS, Park SH, Ko YJ, Kim JY. 2006.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emale-consumers for nutrition labeling system. J Food Culture 21:209-215 

  12. Jung HY, Chang KJ. 2004. School dietitians' perception on nutrition labeling of the processed and packaged foods in Incheon. Korean J Comm Nutr 9:636-643 

  13. Kahn BE, Wansink B. 2004. The influence of assortment structure on perceived variety and consumption quantities. J Consumer Res 30:519-533 

  14. Ko SY, Kim KW. 2010. Nutrition label use, self-efficacy, snacking and eat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gi area. Korean J Comm Nutr 15:513-524 

  15.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0. The Food Sanitation Act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Accessed May 15, 2011 

  16. Kozup JC, Creyer EH, Burton S. 2003. Making healthful food choices: The influence of health claims and nutrition information on consumers' evaluations of packaged food products and restaurant menu items. J Mark 67:19-34 

  17. Kwon KI, Yoon SW, Kim SJ, Kang H, Kim HN, Kim JY, Kim SY, Kim K, Lee JH, Jung SM, Oak SW, Lee EJ, Kim JW, Kim MC, Park HK. 2010. A survey on customers'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ing for processed food and restaurant meal. Korean J Nutr 43:181-188 

  18. Lando AM, Labiner-Wolfe J. 2007. Helping consumers make more healthful food choices: consumer views on modifying food labels and providing point-of-purchase nutrition information at quick-service restaurants. J Nutr Educ Behav 39: 157-163 

  19. Lee HY, Kim MK. 2008. Dietaty behavioral correlated of nutrition label use in Korea women. Korean J Nutr 41:839-850 

  20. Lee KO, Kim YS. 2007. Consumer's practicality, acknowledgement, trust, satisfaction, necessity degrees about food nutrition labeling system. Korean J of Human Ecology 16:761-773 

  21. Marietta AB, Welshimer KJ, Anderson SL. 1999.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 1990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act food labels. J Am Diet Assc 99:445-449 

  22. Oh SY, Jang YA. 2004. A study on nutrition composition labeling and nutrition claim practices for the processed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9:100-111 

  23. Oh SY, Kim WK, Ahn HJ, Lee JW, Park HK. 200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 nutrition signposting concepts. Korean J Nutr 41:851-859 

  24. Park HJ, Lee JS, Kim EK. 2010. Assessment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6:226-238 

  25. Park HK. 2009. Nutrition policy for nutrition labeling in Korea. Food Industry & Nutr 14:9-14 

  26. Park HR, Min YH, Jung HR. 1995. A basic research for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nutrition labeling(2): Comparative perceptions of consumers, producers and government officials. Korean J Dietary Culture 10:175-184 

  27. Park SS, Kim NY, Han MJ. 2008.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food and nutrition labeling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164-173 

  28. Parmenter JP, Wardle J. 1999. Development of a feneral nutrition knowledge questionnaire for adults. European J Clin Nutr 53:198-308 

  29. Pelletier AL, Delzell J, McCall JW. 2004. Patients' understanding and use of snack food package nutrition labels. J Am Board Fam Pract 17:319-323 

  30. Przyrembel H. 2004. Food labeling legislation in the EU and consumers information. Trends in Food Sci Tech 15:360-365 

  31. Satia JA, Galanko JA, Neuhouser ML. 2005. Food nutrition label use is associated with demographic,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nd dietary intake among African Americans in North Carolina. J Am Diet Assoc 105:392-402 

  32. Shin DJ, Jung KW, Lee GC, Kwon KI, Kim JY, Kim JW, Moon GI, Park HK, Cho YM, Kim YK. 2010. Understanding and use of nutrition labeling based on one serving size among female consumers in Seoul area. Korean J Food Culture 26: 725-733 

  33. Wansink B, Chandon P. 2006. Can low-fat nutrition labels lead to obesity? JMR 43:605-617 

  34. Wansink B, Huckabee M. 2005. De marketing obesity. Cal Mgt Rev 47:6-18 

  35. Yoo J, Jeong HS. 2011. Consumer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in restaurants according to level of health consciousness. Korean J Food & Nutr 24:282-290 

  36. Yu KH, Kim MJ, Ly SY. 20120. A comparison of convenience food purchasing behaviors and food habits: How female college students use nutrition labeling. Korean J Food & Nutr 25: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